옥중서신 - 저항과 복종 디트리히 본회퍼 대표작 3
디트리히 본회퍼 지음, 김순현 옮김 / 복있는사람 / 2016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1. 요약 。。。。。。。

 

     독일의 신학자이자 목회자였던 본회퍼가 반체제 활동(당시는 히틀러의 나치 정부 치하였다)을 했다는 이유로 군 교도소에 수감되면서 쓴 편지들의 모음집. 책의 초반부는 그의 부모에게 보낸 편지들이고, 중반 이후의 가장 많은 분량은 본회퍼가 그의 한 친구에게 보냈던 편지들이다.

 

     ​부모에게 보낸 편지에서는 가능한 부모님을 안심시켜드리려는 본회퍼의 의도가 강하게 드러난다. 그는 감옥에 있는 자신이 잘 지내고 있으며, 책도 제법 읽어 있다면서 보고 싶은 책들의 목록을 적기도 한다. 친구에게 보낸 편지들도 기본적으로 비슷한 내용이지만, 군데군데 기독교회의 본질이나 신앙의 핵심적인 요소란 무엇인지와 같은 신학적 사유들의 단상도 적혀 있다.

 

 

2. 감상평 。。。。。。。

     책을 읽고 있는 모습을 본 사람들이 그 책이 재미있느냐고 묻는다. 하지만 한 사람이 제대로 된 재판과 판결 없이 감옥에 갇힌 채 언제 풀려날지 모르는 수감생활을 하며 쓴 편지들을 엮은 책이 재미있을 리는 없지 않은가. 물론 책 속에서 저자는 끊임없이 폭격이 일어나고, 최악 중의 최악이었을 나치 독일 치하의 군 교도소에서 생활을 하면서도 가능한 명랑한 기분을 잃지 않으려고 노력을 하는 모습이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그런 애써서 괜찮은 듯 보이는 태도 자체가 안쓰러워 보인다. 책 후반에 실려 있는 어떤 시에서는 본회퍼 자신의 불안한 내면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

 

남들이 말하는 내가 참 나인가?

나 스스로 아는 내가 참 나인가?

새장에 갇힌 새처럼 불안하고 그립고 병약한 나

목 졸린 사람처럼 숨을 쉬려고 버둥거리는 나

 

      사람들은 그를 대단히 용감하고, 그래서 두려움 따위는 전혀 없이 꿋꿋하게 감옥 안에서 생활하다가 영웅적으로 죽은 인물처럼 생각하기도 하지만, 용감하다고 해서 두려움이 생기지 않는 것은 아니다. 그 역시 캄캄한 밤 홀로 잠 못 들며 온갖 생각으로 날을 새우기도 했고, 자신에게 온 편지가 없음을 알고는 낙심하기도 했다(290).

     문제는 두려움이나 불안이 생겨나느냐 그렇지 않느냐가 아니라, 그런 감정들이 생겼을 때 어떻게 싸워나가느냐다. 많은 사람들은 그가 갇혀 있던 감옥에서 정신이 무너져 내렸지만, 본회퍼는 그 안에서 수많은 신학적 사유들을 (아마도 머릿속으로) 정리해 냈다. 그의 신학적 사유도 사유지만, 우선은 스스로가 말했던 것처럼 하나님을 부인하는 세상에서 하나님의 고난에 동참(345)’하는 생활을 했던 것만으로도 그의 용기는 찬사를 받기에 충분할 것 같다.

 

 

     사실 단편적인 편지들의 모음집이라, 이 책에서 체계적인 본회퍼의 신학사상을 제대로 이끌어내기는 좀 어렵다. 하지만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글들 중에서 분명히 떠오르는 것은, “현실중심적인 신앙”, 세상의 악과 고통의 문제를 회피하지 않고, 오히려 적극적으로 그 안으로 들어가 기꺼이 문제가 되는 상황을 해결하는 짐을 감당해 내는 모습이다.

 

     ‘행동이라는 이름의 짧은 시에는 이런 구절이 있다.(352)

 

제멋대로 행할 것이 아니라 옳은 일을 행하며 시도하고,

가능성 속에서 허우적거릴 것이 아니라 현실적인 것을 과감히 붙잡아라,

자유는 도망치는 생각 속에 있지 않고 행동 속에만 있음이니

 

      자주 생각의 늪에 빠져서 허우적거리는 나에게 묵직한 메시지를 던져주는 시였다. 그와 같은 용기를 갖지 못한 부끄러움이 책을 덮은 지 만 하루가 된 지금까지 나를 무겁게 누른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aint236 2016-12-01 23: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즘 다시 읽어 보고 생각하게 만드는 사람이죠

노란가방 2016-12-01 23:25   좋아요 0 | URL
네. 동감합니다. 이런 사람을 보면서 신앙생활을 할 수 있다면, 교회가 이런 본을 제대로 보여줄 수 있다면 새로운 일이 시작될 수 있을 텐데 말이죠..

saint236 2016-12-01 23: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즘 기자와 목사 두 바보 이야기를 읽고 있습니다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죠

노란가방 2016-12-01 23:54   좋아요 0 | URL
아 그런 책이 있었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