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버 렛미고 - Never Let Me Go
영화
평점 :
상영종료


1. 줄거리 。。。。。。。                  

     영국에 있는 기숙학교인 헤일셤에는 수많은 아이들이 교육을 받고 있다. 엄격하기로 유명한 영국식 기숙학교의 특징이 그대로 드러나는 그곳에서 캐시와 루시, 토미가 만나게 된다. 캐시는 은근히 따돌림을 당하던 토미를 마음에 두고 있었지만, 친구였던 루시가 토미와 사귀게 되면서 마음을 접을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얼마 후 밝혀진 비밀. 아이들이 학교로만 알고 있었던 헤일셤은 사실 의학적 목적을 위해 복제인간을 길러내기 위한 기관이었고, 그렇다 다 자란 아이들은 서너 번의 장기이식을 하고는 생명을 잃게 된다는 것. 세 친구는 다른 이들이 정해놓은 이 충격적인 운명을 담담히 마주하면서 서로를 향한 사랑을 계속한다.

 

 

 

 

2. 감상평 。。。。。。。                 

     복제인간을 다룬 여러 영화들이 있었지만, 다들 그 소재가 주는 파괴력에 영화적 감성이 매몰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 영화만큼은 복제인간이라는 소재를 이렇게 서정적으로 그릴 수도 있구나 하는 느낌을 주는 수작이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영화는 과도한 슬픔에 빠져 허우적대지도 않는다(개인적으로 그런 영화는 딱 질색이다). 감독은 배우들의 절제된 감정표현을 잘 이끌어 냈다.

 

     영화의 배경이 되는 것은 ‘의학혁명’이라는 아름다운 이름으로 불리지만, 실제로는 아름답지 못한 기술인 의료용 인간 복제라는 분야다. 사람들은 자신의 건강과 수명을 위해 자신의 유전자와 동일한 복제인간을 ‘제조’해 놓고는 몸에 이상이 생길 때마다 그 ‘복제품’으로부터 필요한 부분을 잘라내 자신의 몸에 붙인다. 옛날 드라마 ‘전설의 고향’에 나왔던, 병에서 낫기 위해 시체의 다리를 잘라다 삶아 먹었다던 예의 없는 (그리고 비인간적인) 어떤 사람들과 딱히 다를 바가 없는 행위다. 여기엔 기본적으로 내 유전자로 내가 복제를 했으니, 그렇게 ‘만들어진 것’은 내 것이라는 태도가 깔려 있다. 인간 배아를 가지고 의료용 장기를 만들겠다는 현금의 멋들어진 계획도, 사실은 이런 종류의 극단적인 자기중심적 사고와 다르지 않다.


 

     영화 속 헤일셤의 교장은 복제된 아이들도 영혼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아이들의 그림과 시들을 모아 미술관으로 보낸다. 하지만 이미 그 아이들을 팔 다리를 잘라내고 장기를 파내서 자기들의 건강을 위해 삶아 먹는 데 맛을 들인 사람들에게 그런 것들은 단지 종잇조각에 불과했다. 자기들이 그 아이들이 인간이라는 것을 인정하지 않으면 그 아이들은 물건일 뿐이라는 태도는, 마치 400년 전 아메리카 대륙의 원주민들을 놓고 그들도 사람인가 동물인가를 논쟁했던 유럽의 법정을 떠올리게 만든다. 물론 여기엔 그들을 동물처럼 다뤄서 자기들의 이익을 얻으려했던 사람들의 욕심이 뒤에 있었다. 결국 인간은 욕심 때문에 스스로 인간됨을 포기하기에 이르게 된 것인데, 아마 시간이 지날수록 이런 경향은 점점 더 강해지리라.

     사실 이미 지금도 이런 ‘복제 인간들’을 이용해 자신의 평안한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로 세상은 넘쳐난다. 비정규직원들은 고용의 안정을 보장받지 못하는 것은 물론, 그들이 일한 만큼의 대가조차 제대로 받지 못하고 착취당하고 있다. 뻔히 다 알면서도 하청의 재하청을 허용하는 대기업 총수들은 영화 속 ‘인간들’과 뭐가 다르다 하겠는가. 자신들이 착취하고 빼앗아가는 그들도 꿈을 꾸고 사랑을 하는 자기들과 같은 존재라는 기본적인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하는 한, 이런 문제는 쉽게 해결될 수 없을 것이다.

 

     이 봄날 보기에 괜찮은 로맨틱 드라마다. 아울러 영화를 보고 나올 때쯤이면 이런저런 생각들을 많이 가지고 나오게 될 것 같다. 킬링 타임용 영화를 보는 것보단 이편이 좀 더 낫지 않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