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바타 - Avatar
영화
평점 :
상영종료


1. 줄거리 。。。。。。。

 

     과학자인 형이 비운의 죽음을 맞게 되어 그 대신 판도라로 날아오게 된 제이크. 전직 해병인 그는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면 사용할 수 없는 두 다리를 고칠 수 있는 막대한 돈을 벌게 될 것이라는 말에 깊이 생각할 것도 없이 수락한다. 하지만 그가 도착한 기지 사람들은 모두가 똑같은 생각을 하고 있지 않았다. 무력을 동원해서라도 자원을 가져가야겠다고 생각하는 쿼리치와 이에 반대하며 대화와 설득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그레이스 박사의 의견이 충돌되고 있었던 것. 자신에게 협조하면 금방 다리를 고쳐 주겠다고 약속하는 쿼리치의 제안을 받아들인 제이크는 나비족들 사이로 들어가지만, 나비족 처녀인 네이티리를 만나 그들의 삶을 이해하게 되면서 조금씩 마음이 흔들리기 시작한다.

     지구의 자원이 고갈되어 버린 미래의 어느 날. 인간들은 ‘판도라’라는 이름의 새로운 행성에 엄청난 에너지 자원이 있음을 알게 되고, 그 자원을 탐사하고 채굴할 사람들을 파견한다. 하지만 이미 그 행성에는 ‘나비족’ 사람들이 살고 있었고, 그들은 자신들의 뿌리가 있는 그곳을 쉽게 내놓으려 하지 않는다. 이에 사람들은 나비족과 인간의 유전자를 섞어서 일종의 복제인간(아바타)을 만들어 낸다. 이 복제 나비족에게 유전자를 빌려준 인간은 특수한 장치에 들어가 아바타의 의식 속으로 들어가 나비족처럼 살 수 있게 된다.

 



 

2. 감상평 。。。。。。。

 

     이 엄청난 흥행을 일으키고 있는 영화는 참 단순한 해석코드를 제시한다. 사람에 따라서 이 영화를 보며 자신의 관심에 맞는 문제를 얼마든지 해설해 낼 수 있으니 말이다. 북미나 중국의 소수민족들은 제국주의적 침략을 하는 미국이나 중국의 폭력성을 떠올릴 수도 있고(도둑이 제발 저린지, 중국에서는 실제로 이 영화가 상영중지 되었다나..), 이 땅의 사회문제에 많은 관심을 가진 사람이라면 작년 겨울 도시재개발이라는 이름으로 휘두른 폭력에 희생된 어떤 철거민들의 모습을 대입할 수도 있다. 불교계에서는 최근 단체 관람을 한 후 영화 속 세계관이 이원론적 세계관이나 기독교 세계관과는 달리 모든 것은 서로 통한다는 불교의 일원론적 관점과 유사하다는 감상평을 내기도 했단다. 하지만 나비족을 구하기 위해 그들의 모습이 된다는 설정은 하나님이 인간이 되었다는 기독교의 오래된 ‘성육신’이라는 메시지의 21세기 판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 같다. 물론 어린이 관객들에게는 그냥 상상력을 자극하는 재미있는 이야기로 다가올지도 모른다.

     영화를 보는 사람들이 저마다 ‘이것은 나의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면, 영화의 흥행은 자연스러운 결과일 것이다. 인간이라는 존재는 자신의 이야기를 계속해서 듣고, 보고 싶어 하는 존재이니까. 어떤 이들은 이 영화를 단순한 짜깁기로 평가절하하기도 한다지만, 원래 이야기(내러티브)라는 것이 그 구조를 분석하면 사실 몇 개 되지 않는 법이다.(그렇게 말하는 사람들은 이런 영화를 아직 못 만들어 낸 걸 보면, 말하는 것과 실제로 무엇인가를 만들어 내는 것 사이에는 적지 않은 간격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 같기도 하다.)

 




     영화의 대박 흥행은 우리 사회에 여전히 ‘억압하는 자’와 ‘억압받는 자’ 사이의 끊임없는 갈등이라는 구조가 좀처럼 깨지지 않고 반복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일지도 모른다. 신자유주의 경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가진 자들은 자신들이 가진 그 힘을 의지하며 원하는 것을 더 가지려고 하고, 힘이 없는 사람들은 영화 속 나비족처럼 활같은 ‘원시적인 무기’밖에 들고 나올 것이 없는 게 현실이니까. 사람들은 멀리 갈 것도 없이 당장 자신들의 매일의 일상에서 벌어지는 모습을 영화 속에 투영하고, 나비족을 통해 일종의 대리만족을 느끼고 있는 것은 아닐까.

     영화는 한 편으로 ‘연대’의 힘에 대해 말하고 있기도 하다. 개인적으로 가장 인상적이었던 장면은 죽어가는 그레이스 박사를 앞에 두고 나비족 사람들 모두가 서로의 몸에 손을 댄 채 거대한 하나의 파도를 만들어 그녀를 위해 기도하는 장면이었다. 그들은 물리적으로도, 영적으로도 온전한 연대를 이루어낸다. 비록 그레이스 박사를 되살리는 것은 실패했지만, 나비족의 진정한 힘이 무엇인가를 알 수 있게 해 주는 중요한 부분이었다. 이런 ‘모두를 살리는 진정한 연대’가 단지 영화 속에서나 가능하게 되었다는 사실이 서글프다.

     영화가 담고 있는 철학적, 신학적 함의는 단지 영화의 메시지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 3D에 이어 4D로도 상영되기 시작한 이 영화의 상영방식은 영화 속 소재와 더불어 ‘무엇이 진정한 나인가’, ‘어떤 것이 진짜로 사는 것인가’와 같은 질문을 가볍지 않은 무게감을 담아 던져준다. 영화를 보고 한 스님이 불교적으로 해석하는 메시지를 남겼다는 이야기도 이런 차원을 엿보았기 때문에 나온 말이리라. 기술이 발전하면 영적인 차원이 퇴색할 것이라는 단편적인 예상은 지난 200년의 역사가 말해주듯이 앞으로도 빗나갈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이 영화는 기술이 철학과 종교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를 본격적으로 고민하도록 만드는 영화라고도 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한 번쯤 볼만한 영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