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인 이야기 2 - 한니발 전쟁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2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199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위기가 닥치면 국론이 분열되지만, 

로마에서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다.

 

1. 요약 。。。。。。。

     1권에서 어떻게 주변국가들 보다 건설시기도, 발전도 늦었던 로마가 이탈리아 반도의 패권을 차지할 수 있었는가를 기술했던 시오노 나나미는, 이제 반도 내에서의 패권을 어떻게 고작 100여 년에 달하는 기간 만에 어떻게 지중해 전역으로 확장시킬 수 있었는지를 다룬다.

     이 시기 로마는 페니키아의 후손들이 건설한 해양국인 카르타고와의 두 차례의 큰 전쟁을 벌이게 되는데, 로마와 카르타고, 그리고 지중해 연안의 여러 나라들의 운명을 바꾸게 된 그 전쟁은 사전에 치밀한 준비를 거쳐 시작된 것이 아니라 우발적인 사건들의 연속으로 발생되었다. 이탈리아 남부의 시칠리아 섬에 있던 여러 도시들의 다툼이 당시 강대국이었던 카르타도와 로마의 대리전 양상으로 확대되었고, 결국 로마의 승리로 끝난다.

     하지만 전쟁에 패배한 카르타고의 장군 하밀카르는 포기하지 않고 카르타고가 있던 북아프리카를 떠나 오늘날의 스페인에 새로운 근거지를 마련해 힘을 기르기 시작했고, 로마를 굴복시키겠다는 그의 꿈은 아들인 한니발에 의해 실제 행동으로 옮겨진다. 그는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기동력을 이용한 적의 주력의 무력화’라는 전술을 사용해 이탈리아 전역을 종횡무진 휩쓸지만, 목표 달성의 중요한 요건이었던 로마 연합의 해체에 실패하며 결국 전쟁에서 패하고 만다.

     이후 카르타고는 로마에 의해 완전히 도시가 파괴되며 역사에서 이름이 사라지고, 로마는 이후 지중해의 패권국가로 발돋움하게 된다.

 

2. 감상평 。。。。。。。

     2권으로 들어서면서 남겨진 사료들의 양도 늘고, 저자가 매력을 느낄만한 두 명의 인물- 한니발과 스키피오 -도 등장해서인지 책의 두께가 훨씬 두꺼워졌다. 하지만 그렇게 두꺼워진 책의 두께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내용은 짧아진 듯한 느낌이 들 정도로, 책은 전혀 지루함 없이 내용을 채워가고 있다. 작가 자신이 신나게 써 내려갔기 때문인 것 같다. 역시나 글이란 본인이 재미가 없으면 읽는 사람에게도 재미가 없는 법이다. 논문이 재미가 없는 이유는 여기에 있지 않을까.

 
     2권의 핵심은 역시나 책 전체의 부제이기도 한 ‘한니발 전쟁’이다. 희대의 전술가였던 한니발의 침공으로 이제 막 기지개를 켜던 로마는 큰 위기를 맞게 된다. 싸우는 족족 승리를 거두는 상승장군(常勝將軍)의 앞을 막을 수 있는 사람은 로마에 없었고, 시간이 지날수록 로마 쪽의 희생은 커져만 갔다. 하지만 한 명의 뛰어난 영웅의 활약은 로마연합이라는 단단한 시스템을 깨뜨릴 수 없었다. 부러지지 않는 나무를 계속 치다보면 결국 자신의 손이 아픈 법.

     그렇다면 이 두 번째 책의 핵심은 한니발의 뛰어난 전술이 아니라, 결국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었던 로마의 전략, 나아가 정략(政略)이 될 것이다. 1권에서 저자가 찬양해 마지않았던 ‘패자까지도 동화시켰던 로마의 방식’이 그 유효성을 확인했던 걸까. 물론 이 설명도 틀린 것은 아니지만, 이는 지나치게 시스템에 의한 승리라는 측면만을 강조시킨 면이 있다. 시스템이 아무리 좋아도 결국 그것을 실제로 움직이는 것은 사람이다. 일이년도 아닌 십 수 년의 전쟁 기간 동안 끊임없이 병역을 졌던 로마와 인근 도시의 시민들이 아니었다면 또, 전쟁을 용병들에게 맡겼던 카르타고와는 달리 직접 병역을 수행하기를 마다하지 않았던 로마 시민들의 피와 땀이 아니었다면, 전쟁은 훨씬 일찍 카르타고 쪽으로 기울었을 지도 모른다.
 


     강대국이란 뛰어난 능력을 가진 소수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성실히 자신의 일을 하는 수많은 일반인들에 의해 건설되는 것이다. 그리고 좋은 나라란, 그런 성실한 다수가 인정받는, 그래서 그들이 자신의 나라를 자랑스러워할 수 있는 나라일 것이다. 그런 나라의 국민이라면 굳이 누가 국가를 위한 희생과 헌신을 강요하지 않더라도, 자발적으로 나서게 될 터.

     진정으로 중요한 가치는 인간이 되어야지, 시스템의 유지가 되어서는 곤란하다. 국가의 운영자들의 시야에서 사람이 사라지고 시스템만 남게 될 때, 사람은 시스템을 돌리기 위한 부속품으로 전락해버리게 된다. 당연히 사람은 대체할 수 있는 무엇으로 생각되기에, 얼마든지 폭력을 가하고, 제거할 수 있다.(이 시대 선진국과 저개발국, 독재국가와 민주주의를 표방하는 국가를 막론하고 전 지구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현실처럼.) 적어도 포에니 전쟁 당시 로마는 시스템보다는 사람을 좀 더 중요하게 생각했고(그들은 결코 양반과 상민이 함께 싸울 수 없다는 식의 어리석은 신분질서를 끝까지 옹호하지 않았다), 결국 그런 태도는 시스템까지도 유지시키는 중요한 열쇠가 되었다.

     오늘 우리의 현실은 어떠한가. 인간인가, 시스템인가.(물론 고작 자기의 영달을 추구하는 시답잖은 부류들은 처음부터 생각 외로 하고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