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
파울로 코엘료 지음, 이상해 옮김 / 문학동네 / 2003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아! 만약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내부에 있는 광기를 인식하고
그와 더불어 살아갈 수 있다면!
세상은 더 나빠질까? 아니, 사람들은 보다 올바르고 보다 행복해질 것이다.
1. 줄거리 。。。。。。。
슬로베니아의 한 수녀원에서 베로니카라는 이름을 가진 여자가 자살을 하기 위해 수면제 세 통을 한 알, 한 알 삼켰다. 하지만 아직 죽을 때가 되지 않았던지, 정신을 잃은 채 다른 사람에게 발견되었고, 사람들은 그녀를 빌레트라는 이름의 정신병원에 입원시킨다.
의식을 되찾은 베로니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실패하긴 했지만, 의사로부터 희망적인(?) 말을 듣는다. 다량의 수면제 섭취로 인해 심장에 치명적인 문제가 생겼고, 일주일 정도밖에 살지 못할 것이라는 소견을 들은 것이다. 어차피 자살을 하려고 했던 차에 잘 된 일이라고도 할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런 베로니카의 심정에 변화가 생기기 시작한다.
자살을 시도한 시한부 인생의 베로니카와 그녀를 둘러싼 정신병원 안의 여러 사람들이 만들어 가는 흥미로울 뻔 한 드라마.
2. 감상평 。。。。。。。
혹시나 하고 읽었으나, 역시나 하는 결론이었다. 이 작가는 그를 단숨에 세계적인 작가가 되게 만들어 준 『연금술사』라는 작품에서 도대체 벗어날 의지가 없어 보인다. 『연금술사』에 이어 『11분』, 『오 자히르』, 그리고 이 책까지 네 권의 소설을 읽어봤지만, 모든 소설은 한결 같이 인간 내부에서 발산되는 힘과 에너지에 집중해서 그것을 표출하라는, 쉽게 말해 다른 사람 신경 쓰지 말고 네가 하고 싶은 것을 마음대로 하라는 메시지만을 무한반복하고 있다.
정신병원과 광기(狂氣), 자살에 실패한 여인이라는 흥미로운 소재를 사용한 이번 작품에서도 이 점은 변함이 없었다. 언뜻 일상적인 삶의 진정한 가치라든지, 사회적 편견을 뛰어 넘는 사랑 이야기 같은 ‘좀 다른’ 주제를 담아 낼 수도 있었겠지만, 파울로 코엘료라는 사람은 아무리 좋은 재료를 가져다주어도 늘 똑같은 비빔밥만 비벼댄다.
무엇이 이 작가의 작품들을 늘 똑같은 느낌이 들게 만드는 걸까? 아마도 작가가 지나치게 설명을 덧붙이려고 하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앞서의 작품에서도 그랬지만, 작가는 굳이 작품 속 등장인물의 생각이나 대사를 통해 자신이 직접 말하고자 하는 주제를 전달하려고 애를 쓴다. 그것도 꽤나 구체적으로. 그래서 마치 뉴에이지 영성운동의 지침서 같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을 정도. 여기에 작가가 청년기 경험했다는 히피 생활에 대한 동경이 여전히 남아 있는 것도 한 가지 원인으로 보인다.
문득 작품에서 작가가 주장하는 것처럼 모든 사람이 다른 사람의 눈을 신경쓰지 않고 자신이 하고 싶은 대로 하면 어떻게 될까 하는 엉뚱한 생각을 해 본다. 코엘료는 사람들이 보다 올바르고 행복해질 것이라고 설명하지만, 오히려 다른 사람들의 눈을 의식하느라 사람들 내부에 숨겨두었던 탐욕과 폭력성이 드러나 더 큰 혼란이 일어나는 건 아닐까. 작가는 사람 내부에 있는 힘이 선한 무엇이라고 생각하지만, 그건 악한 무엇일수도 있다. 그리고 내 생각엔... 세상 돌아가는 꼴을 보니 후자일 가능성이 더 높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