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자도에 관한 설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그것이 간헐적으로 이루어진 특별교육 같은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관계, 상태를 가리키는 말이라는 지적이다. 제자가 된다는 건 “쉬지 않고 바라보며 귀 기울여 듣는 삶의 상태”라는 것.
제자됨의 정의를 이렇게 할 때, 제자가 되기 위해 우리에게 필요한 것 역시, 우리가 일상적으로 생활하는 공간과 시간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그건 “기독교적이기만 한” 어떤 덕목이 아니라, 우리의 삶 속에서 실현(그리고 실천)되어야 하는 것들로 채워지게 된다. 예를 들어 저자는 거룩함을 설명하는 자리에서 “거룩함과 세상 속에 참여하는 일은 서로 상충하지 않으며, 그 사이에는 갈등이 있을 수 없다”고 말한다.
성경 본문에 관한 독특한 관찰도 흥미로운 부분이 잔뜩 보인다. 요한복음 21장에 나오는 부활 에피소드에서 저자는 마리아가 자신을 부르시는 예수님의 목소리만을 듣고도 부활하신 주님을 알아볼 수 있었다면서, 성령 안에서 살아가는 우리에게는 하나님께 “제가 어떤 사람인지 말씀해 주소서”라고 묻는 태도가 필요하다는 교훈을 이끌어낸다. 또, 마지막 만찬을 드신 후 주님이 “도시 밖으로” 나가시는 장면에서, “도시 밖”을 사람들이 멸시당하고 고난받는 자리로, 물건과 묶여 사람들까지도 버려지는 자리로 정의하면서 예수님을 따라 우리 또한 그분이 가셨던 “밖”으로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하기도 한다.
제자로 살아가는 것이 무엇인지에 관한 핵심들이 잘 정리되어 있다. 물론 좀 더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겠지만, 이런 요절에 가까운 책으로도 충분히 불은 붙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사실 여기 저기 밑줄을 긋다 보면 어느새 책이 끝나 있을 가능성이 있다. 다시 읽어 봐야 할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