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에게 전도할 때 사용하는 간략화된 “복음 소개 책자”와는 달리, 이제 본격적으로 신앙생활을 시작하면 수많은 요구들을 맞닥뜨리게 된다. 성경을 읽고, 기도를 하고, 봉사를 하는 것을 넘어, 기독교인이라면 마땅히 해야 할 일의 목록은 계속 늘어난다. 물론 때로 그런 요구들 중 어떤 것은 별 필요가 없어 보이기도 하지만, 또 중요한 게 분명해 보이기도 하니까.
문제는 우리가 이 많은 요구들을 “제대로” 해 낼 능력이 없다는 것이다. 완벽주의적 목표를 세우면 세울수록, 우리는 더 자주, 더 크게 실패하고 만다. 그리고 이런 실패의 경험이 반복되다보면 자연스럽게 신앙적 패배주의에 젖어들게 된다. 이 패배주의에는 여러 별명들도 붙기도 하는데, 현실은 어쩔 수 없다는 식의 현실주의나 모든 인간은 죄 아래 있어서 스스로 뭔가 이룰 수 없다는, 좀 더 영적으로 보이는 변명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 책의 저자는 이런 태도가 결코 옳지 않다는 점을 강력하게 주장한다. 그리스도인은 죽어라 애쓰다가 결국 실패를 맞닥뜨리고 좌절하는 삶으로 부름을 받은 것이 아니다. 물론 제자의 삶은 고난을 동반하지만, 패배주의와는 분명 다르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불가능한 명령(그분의 말씀을 지키고 따르라는)을 하시는 분일 리 없지 않은가.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221/pimg_7495781144539139.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