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은자들
이나미 리츠코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2002년 10월
평점 :
절판


“책은 남에게 빌리지 않으면 읽을 수 없는 법이다.

자기 책은 책꽂이에 꽂아놓고 나중에 읽으려고 할 게 뻔하다.”

- 원매


 . 요약                                                         

        어지러운 세상을 피해 자신만의 세계에서 한껏 삶을 즐겼던 사람들. 은자(隱者), 즉 숨어 사는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이다. 백이와 숙제, 죽림칠현, 이백 등 익숙한 이름도 등장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썩 익숙지 않은 이름들이다.

 

        저자는 전설 속의 은자들로부터 비교적 최근이라고 할 수 있는 청나라 대의 은자들까지, 각 시대의 은자들을 정리하고 있다. 흔히 은자라고 하면 세속과는 완전히 담을 쌓고 혼자 사는 사람들을 떠올리는데, 저자는 그런 ‘고전적인 은자’ 뿐만 아니라, 도시 속에서, 심지어 궁중 안에서 생활을 하면서도 은자의 생활을 즐기는 ‘도시적인 은자’들도 은자의 계열에 넣는다. 약간은 새로운 이 도시적인 은자들은 어떤 사람들이 있을까. 과연 은자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하는 여러 생각들을 하면서, 책장을 넘기게 만드는 책이다.

 

 

. 감상평                                                         

        저자는 ‘중국의 은자들’이라는 대단한 이름을 책에 붙이고, 중국의 역사 가운데 등장했던 이름 난 은둔자들을 시대별로 정리하는 방대한 작업을 시작한다. 하지만 은자란 숨어 사는 사람들이 아닌가. 안 그래도 과거의 사건들을 새로 기술하려면 자료의 부족을 느낄 텐데, 하물며 드러나지 않으려고 기를 쓴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시 쓰기가 쉬울까. 역시나 책장을 넘겨가면서 점점 피상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또 하나 책을 읽으면서 들었던 생각. 역시 은자로 살려면 돈이 있어야 한다는 것. 어느 정도 재산이 있어야 일을 안 할 수 있는 법이니 말이다. 세상 사람들에게 무릎을 꿇거나 머리를 숙이며 살지 않으려면, 뭔가 받쳐 주는 게 있어야 하나보다. 그렇지 않은데도 은자로서 살려면 매우 곤궁한 삶을 살던지 해야 하는데, 역시나 이 점이 가장 큰 걸림돌이다. 가족이나 친지들과의 관계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어야 한다는 점도 추가. 생각보다 꽤나 비싼 삶의 방식이다.

 

 

        한편 책에 등장하는 여러 은자들의 삶을 살펴보면서, 내 안에도 이런 은둔적인 기질이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복잡하고 다툼의 연속인 사람들 사이에서 혼자 있으려는 모습이 종종 발견되니 말이다. 하지만 반면 사람들 사이에서 적극적으로 활동을 하려는 의지도 동시에 발견되는 걸로 봐서는, 완전히 은자로서 살기는 틀린 것 같다. 도시형 은자에 그나마 근접하려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