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어버리자고

바다 기슭을 걸어 보던 날이

하루

이틀

사흘

 

여름 가고

가을 가고

조개 줍는 해녀의 무리 사라진 겨울 이 바다에

 

잊어버리자고

바다 기슭을 걸어가는 날이

하루

이틀

사흘

 

   현대시의 특징은 난해함에 있다는데 조병화 시인의 추억이란 이 시는 전혀 난해하지 않다.

누군가를 잊고자 하지만 뜻대로 되지 않아, 먼 겨울 바닷가까지 왔다. 사흘씩이나 바닷가를 거닐지만 역시 잊을 수 없다는 가슴 아픔이 이 시의 내용이다.

 

동양화의 매력은 붓 칠을 멈춘 여백에 있다. 이 시에서 여름이나 가을은 짧게 한 줄로 표현되기에, 표현되지 않는 그 계절의 사연은 무한하다. 여름 내내, 가을 내내, 화자는 누군가를 잊고자 괴로운 날들을 보낸 것이다.

겨울을 맞아 바닷가까지 왔지만 과연 화자의 가슴 아픈 추억 잊기가 성공할지는 의문이다.

그런데 일 년 사 계절 중 왜 만 이 시에서 제외됐는지 그 까닭을 헤아려봐야 한다. ‘은 만물이 소생하는 계절이다. 화자는 추억의 소생을 바라는 게 아니라 소멸을 바라는 입장이다. 그 때문에은 제외했으되 겨울에는 집착한다. ‘겨울은 일 년 사 계절 중 마지막 계절이며 만물이 침묵하는 시간이다. 겨울 바닷가는 해녀 무리 이외에는 인적마저 끊긴 춥고 쓸쓸한 공간이다. 화자는 그런 겨울 바닷가를 혼자 걷고 있다.

 

하루/ 이틀/ 사흘이라 간략하게 표현했지만 사실 하루만 따져도 얼마나 간단치 않은 시간인가. 화자가 바닷가 부근 숙소에서 묵으며 세수하고 식사하고 바바리코트를 걸쳐 입고 혹 겨울비 내리는 날씨가 아닐까 일기예보에도 귀 기울이고…… 집에는 , 잘 있으니까 걱정 마라.’라는 안부전화도 해 놓아야 하고. 그런 간단치 않은 24시간의 일상을 한 줄의 단어로 제친 것이다.

따라서 하루/ 이틀/ 사흘에서의 줄 바뀜은 24시간이란 객관적 하루의 주관적인 처리다. 우리가 일상에서 맞는 세계는 철저한 객관적 존재물이건만 시인은 단 몇 줄의 시어로 쉽게 변형시켜 새로운 감동의 세계로 독자들을 이끌어준 것이다.

한편, 이 시에서

하루

  이틀

  사흘

이라고 세로로 나열한 것 또한 눈여겨볼 만하다. ‘해안선까지, 일정하게 밀려왔다가 밀려가는 파도의 모습이 눈앞에 선하게 그려지지 않는가.

 

그런데 이 시를 볼 때마다 떠오르는 가요가 하나 있다. 송창식의 철지난 바닷가이다.

 

철 지난 바닷가를 혼자 걷는다

달빛은 모래위에 가득하고

불어오는 바람은 싱그러운데

어깨 위에 쌓이는 당신의 손길

 

그것은 소리없는 사랑의 노래

옛 일을 생각하며 혼자 듣는다

 

~ 기나긴 길 혼자 걸으며

무척이도 당신을 그리곤 했지

~ 소리 죽여 우는 파도와 같이

당신은 흐느끼며 뒤 돌아 봤지

 

철 지난 바닷가를 혼자 걷는다

옛 일을 생각하며 혼자 웃는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매너나린 2016-11-03 20: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겨울 바다를 사진으로 보는건데도 이리 코끝이 찡해지네요..ㅜㅜ얼마 남지않은 오늘 행복하게 마무리 하세요~~^^

무심이병욱 2016-11-03 21:0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영턱스의 `타인`도 만만치 않습니다. 매너나린님께 선물로 올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