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의 기쁨과 슬픔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이레 / 2009년 8월
평점 :
절판



알랭 드 보통을 처음 접한 건 <나는 왜 너를 사랑하는가>였다.

그 책에서 드 보통은 시시각각 변하는 사람의 감정을 해박한 지식으로 담아냈는데,

당시 그런 류의 지식에 목말라 있던 난 드 보통에게 흠뻑 매료됐다.

그 뒤에도 보통은 날 실망시키지 않았고,

난 그가 쓴 <여행의 기술>, <행복한 건축>, <불안>, <프루스트를 아시나요>를 읽으면서

거의 빈 채로 놔뒀던 내 지적 호기심을 마음껏 충족시켰다.

딱 한번 그에게 실망했던 건 <Kiss & Tell>인데

<키스하기 전에 우리가 하는 말들>이라는 제목에 속았던 탓이었다 (알고보니 철학책!).

그 책이 유독 기억에 남는 건

“재밌는 책 없냐?”는 친구의 부탁에 당시엔 읽지도 않았던 그 책을 추천한 거였는데,

나중에 내가 읽고 나서 친구한테 미안하다고 했다.

그랬다고 해서 내가 드 보통을 싫어하게 된 건 아니었고,

주위 사람들한테 “앞으로 난 드 보통 씨와 쭉 함께 한다”고 떠들고 다녔을 정도였다.


드 보통의 거의 모든 책을 다 읽었던 내가

이번에 나온 <일의 기쁨과 슬픔>을 주문하는 건 당연한 일이었다.

책이 오자마자 난 그의 책을 읽을 땐 늘 그렇듯이 막연한 설레임을 안고 책을 폈는데

이상하게도 진도가 나가지 않았다.

한줄 한줄이 다 예술인지라 음미하다 보니 그런 적도 있었겠지만,

한 일주일 쯤 읽다 자다를 반복하다 결론을 내렸다.

“이 책, 별로 재미없잖아!”

일주일이면 대개 책 한권을 읽는 스피드를 감안할 때

열흘이 넘도록 아직 참치 얘기에 머물러 있는 걸 재미없다는 말 이외에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설마 드 보통이 쓴 책인데 재미가 없다는 게 말이 되냐,

혹시 내가 이상한 게 아닌가 싶어 다른 분들이 쓴 리뷰를 찾아봤다.

“역시 그의 책은 보통이 아니다”-이환님

“그에게 팬이 많은 이유를 발견하다”-violamuse님

내가 이상하구나,란 결론을 내리려고 보니 그렇지 않은 리뷰도 있다.

“...문장들은 너무 길고 난해하다”-하쿠나마타타님

“난 에세이에 취미가 없으며, 그 결과 알랭 드 보통의 글솜씨에도 빠져들지 못한다는 것을 그저 확인만 했을 뿐”-몽자&콩자님

보통이 갖는 이름값을 생각할 때 이 정도의 반응은 예전 같으면 상상도 못할 일,

확실히 이전 책들보다 이번에 나온 책은 재미가 덜한 것 같다.


한때 베르나르 베르베르에 열광했었다.

나뿐 아니라 다른 한국 독자들도 그에게 찬사를 보냈다.

베르베르는 그에 대한 보답으로 소설 주인공을 한국 사람으로 하는 등

나름의 노력을 했는데,

그런 것에 신경을 쓰느라 그런지 정작 소설은 점점 재미가 없어졌다.

그래서 난 그 책의 리뷰에 이런 말을 썼다.

“천재작가에게 우리가 바라는 건 한국 사람을 넣어주는 게 아니라

소설을 재밌게 써주는 거다.”

물론 베르베르는 내 리뷰를 읽지 않았고,

계속 재미없는 소설을 쓰다가 지금은 과거의 명성을 많이 잃었다 (이건 물론 나만의 생각일 수도 있다).

근데 <일의 기쁨과 슬픔>을 보면 드 보통도 한국 독자들에게 보답하려는지

우리나라를 여러번 언급한다.

그리고 이 책 역시 재미가 없다.

베르베르와 드 보통은 급이 다르다고 생각은 하지만,

좀 불안하다.

앞으로 드 보통의 책이 점점 재미가 없어질까 봐.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늘빵 2009-09-24 23: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책은 그냥... -_-

비연 2009-09-25 01: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흠...신나게 사둔 저로선 충격입니다..;;;;;

비로그인 2009-09-25 07: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흠...일이 더 괴로워지면 읽으려고 사둔 저로서도 충격이어요 흐흑

무스탕 2009-09-25 08: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흠.. 베르베르와 드 보통의 책을 한 권도 안 읽어본 저로서는 할 말이 없..

무해한모리군 2009-09-25 08: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보통님의 글은 제게 늘 보통이었던 관계로..
이 책은 제목부터 좋아하던 주제가 아닌 관계로..
그럼에도 보관함에 있었는데..
마태우스님이 결정을 내려주시는군요 ㅎㅎ

다락방 2009-09-25 08: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보통의 글은 제가 한번도 좋아한 적이 없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섯권인가를 읽었었는데 이 책을 아예 염두에 두지 않았던 저로서는 앞으로도 그러해야겠군요.

마태우스 2009-09-25 10: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락방님/흠, 저처럼 보통을 좋아하는 사람도 잼없다니, 염두에 두지 않으시는 게 좋을 듯합니다. 늘 감사합니다 친절한 댓글 주셔서용
휘모리님/제가 오늘 여럿 구하는군요 호홋!!!
무스탕님/이미지가 언제 저리도 귀여워지셨는지요. 말보다 훨 낫군요!!
주드님/울지 마세요 기분에 따라 책은 달라지니깐요...
비연님/앗 제가 오늘 여럿 충격 드리는군요ㅠㅠ
아프님/지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 더 열심히 하겠습니다.

stella.K 2009-09-25 11: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떤 작가든지 한때 열광하는 때가 있고 그때를 정점으로 하향 곡선을 그리게 되어있는 것 같습니다. 그게 작가가 자기 영향을 더 이상 재대로 발휘하지 못해서인지
아니면 독자가 그 작가에 대해서 관성이 생겨서인지 정확한 걸 잘 모르겠어요.
아무래도 전자쪽이 혐의가 더 짙겠죠?
저도 보통의 책은 몇권 읽었고, 아직 읽지 못한 책이 몇권있는데 이 책부터는 그닥 읽게될 것 같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왜 제목에 2를 넣었죠? 언제 같은 제목의 1을 쓰신 적이 있는가요?
아무리 찾아도 못 찾겠던데...OTL

가넷 2009-09-25 12: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드 보통은 <불안> 하나만 달랑 사놓고 아직 읽지도 않은 상태라(드 보통을 좋아하는 친누나가 가져가서 주지를 않네요...-_-;;;) 별 할말은 없지만, 보통을 좋아하시는 분도 그저 그렇다니... 그냥 넘기는게 좋겠네요.ㅎㅎ;

저도 베르베르는 좋아하는 작가에 속했는데, 개미 이후에 너무 하향곡선이라... 저 같은 경우에는 <천사들의 제국>을 읽고 정나미(?)가 급작스럽게 떨어져 베르베르라면 아예 쳐다보지도 않고 있어요..-.-;;;

마태우스 2009-09-28 00: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스텔라님/그렇겠지요. 같은 패턴이 반복되면 재미가 점점 반감될 거예요. 제목이 2를 넣은 이유는 본문에서 말한대로 베르베르한테 이 말을 한번 써먹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리뷰는 교봉에 실은 관계로 검색에 안나온 거구요.
가넷님/네 그냥 넘기는 게 좋을 듯합니다. 흠, 님도 베르베르랑 결별하셨군요! 혹시 아멜리 노통은 어떤가요? 몇년 전에 그녀와도 결별했다는...^^

마냐 2009-09-29 01: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보통 팬을 자처한 시절이 있지만...이 책은 외면 중. 목차만 봐도, 안 땡기던데요. --

마태우스 2009-10-02 11: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냐님/참고 읽으려고 했는데 잘 안되더군요. 좀 더 우울해지면 한번 다시 시도해 보려구요.

sceptic 2009-10-06 22: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적절한 평가와 재밌는 이야기들 잘 읽고 갑니다. 댓글로 다른 분들의 평가도 덤으로 얻어가네요...^^

마태우스 2009-10-07 22: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인식의 힘님/안녕하세요 좋게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앞ㅇ로 열심히 하겠사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