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1 | 112 | 113 | 11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이덕일 / 김영사 / 200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우선, 이 책을 써준 저자께 깊이 감사드린다.  

그 이름 드 높은 송시열의 진면목을 적나나하게 보여주는 내용은 우리가 알 권리를 느낄 수 있게 해주는 그런 책이기 때문이다.  

송시열을 알고 싶다면 일독을 적극 권해드린다.  이 책은 우리 역사의 정곡을 쩔러주는 알맹이 이기 때문이다.

-------------------------------------------------------------------------------------  

역사, 특히 조선사에 관심이 많아 전반적인 조선사를 두루 살펴보고 있는 중이다. 위 책 뿐아니라 여타의 다양한 도서로 조선사에 대한 나름대로의 지식을 경험한 상태이다.  읽는 내내 가슴이 답답할 뿐이다. 추앙받아 마땅한 조선의 대학자는 왜 그다지도 정치에 연연해하며 늙은 나이에 어명을 받들어 약 사발을 들이키며 피를 토하고 죽어갔을까... 답은 간단하다. 끝까지 놓고 싶지 않았던 권력....바로 그것이었다. 

 존경해 마지 않는 율곡선생님의 계보를 제대로 이어받지 않은 송시열... 대 스승님이었던 율곡선생님의 화합의 노력에는 관심이 없었던 탓일까... 스승님 율곡께서는 동서의 화합을 이루어내기 위해 그야말로 동분 서주하며 오해를 받기도 하는 등  고독한 정치 인생을 보내셨다 할 수 있다. 퇴계 이황선생님과는 다르게 "이기일원론"을  설파하신 배경에는 동서화합이라는 정치적 상황과 목적의식이 있었을 것이다.  

율곡선생님의 그 정치 인생이 장엄하고 지고하며, 특히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은 역사를 공부하는 내내 언제나 따듯하게 다가온다... 그런 대 스승님의 계보를 이었다하는 김장생과 송시열은 어떠한가... 

율곡선생님의 계보를 이었다는 명목은 있으되, 그 스승님의 백성을 사랑하고 화합하려는 정신은 온데간데 없다. 훌륭하신 스승님의 진정한 공부 중 송시열은 오로지 "예학"에만 외골수로 매달린다.  그 스승 김장생께서 예학에 대가라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정말로 무섭도록 강한 집념으로 예학 하나만을 떠받치고 평생을 살다가 그 예학 때문에 사약이 든 약 사발을 들이키고 사사된다.   

어쩌면 그리도 외골수였을까... 

주자는 그가 죽을 때까지 함께 했던 종교였다.  주자 없는 송시열은 껍데기인 셈이다. 정녕 대 학자로서의 올바른 면모일까... 자신의 뜻과 맞지 않는 의견은 모두 사문난적이요, 그리하여 자신과 견해가 다른 사람들은 그렇게 죽여버렸다.  대표적인 예가 윤휴의 죽음이다. 너무나도 편협하고 외골수적인 그의 언행들은 책을 읽는 나를 한없이 답답하게만든다. 

 자신의 학문을 오로지 권력을 차지 하는데만 열중한 나머지 백성의 안위와 평안을 안중에도 없었 송시열....대동법의 시행을 적극 반대하던 그의 모습에서 학문으로 교묘히 위장된 탐욕이 서려있다. 북벌이라는 명분으로 임금을 기만하고 백성을 기만하며 일생을 보내다시피 한 송시열... 백성을 기만하고 권력을 탐한 죄, 여타의 모든 견해를 사문난적으로 몰아 죽인 죄, 생각에도 없는 북벌을 명분으로 임금을 희롱한 죄만으로도 백번 죽어 마땅한 송시열... 

 

독자는 올바른 사관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본다.  그런 점에서 정치인이 해야할 일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백성을 위함이 있을 뿐이다. 그런 점에서는 우리에게는 왕으로서는 세종과 영조가 있고  신하로서는 청백리 "맹사성"이 있다. 우암 송시열은 과연 정치인으로 백성을 위해 한 일이 무엇인가...  정치적인 독점으로 인한 안정이 었던가...  송시열의 제자들도 한결같이 그 스승을 빼다 박는다.  다만, 정치인으로 자존심과 당파적인 이익이 있을 뿐이며, 그밖의 것들은 관심이 없었던 듯 보이는 송시열의 인생은 정치인으로, 학자로서 정녕 존경할 가치가 있는 것일까하는 점은 지극히 회의적이다..그런 정치인이라면 차라리 없었던 것이 낫다.  

조선의 백성들은 배불리 먹어본 적이 별로 없었던  백성들이었다. 송시열은 그들을 위해 봉사한 것이 무엇이었는가. 대미수공법을 반대하는 일 이었던가.. 아... 안타깝고도 안타깝다. 대스승님인 율곡 선생님께서 그토록 시행하기를 바라고 바라시던 대미수공법을 대학자이자 정치가였던 송시열이 임금앞에서 그 시행을  반대하고 나섰다니.... 차라리 없어도 좋았을 송시열은 바로 이대목이다... 

임금을 도와 주청하고 또 주청해도 모자랄 판에, 오히려 반대자 무리의 우두머리에 앞장섰던 지극히 소인배적인 인간이었다는 것은 정녕 실망하고도 실망할 일이다... 생각 같아서는 대 학자라는 타이틀도 뻬버리고  싶다. 대학자다운 면모가 보이지 않으니 그저 농군이 자식으로 태어 났더라면 그 고통들을 조금이라도  이해했을 것인저......   

 백성의 안위는 온전히 무시해버린 송시열의 정치 역정을 보건데 이책의 제목은 "송시열과 그만의 나라"가 더 적합하다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나의 사관에 도움을 많이 준 저자께 다시 한 번 깊이 감사드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왕을 참하라 - 상 - 백성 편에서 본 조선통사 우리역사 진실 찾기 1
백지원 지음 / 진명출판사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없다. 

하지만 작의 글은 매우 설득력이 있으며 

기타의 여러 동시대를 배경으로 저술된 유사 서적들보다 탁월하다 하겠다.   

독자인 내게 새로운 시각이라고 보기는 어려움이 있지만 

호쾌한 필치가 마음에 쏙든다.

한권에 너무 많은 이야기를 담아내려 했던 것은 작가의 욕심이었을까? 

유일한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런 정도의 책이라면 상 하 두권으로 나누기 보다는 몇권을 추가해서라도 

좀더 깊이 있는 내용을 다루어 주었더라면 하는 아쉬움만이 

남을 뿐이다. 

 작가에게  깊은 감사들 드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1 | 112 | 113 | 11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