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를 움직이는 보이지 않는 손


중국의 쑹홍빈이 쓴 ‘화폐의 전쟁’은 보이지 않는 손이 세계경제에 어떤 영향력을 행사하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화폐의 전쟁이 그 모습을 갖추게 된 출발점은 워털루 전투라고 한다.

  1813년에 있었던 라히프찌히 전투에서 패배한 보나파르트는 엘바섬으로 유배당하지만 1815년 섬을 탈출한 뒤 병력을 모아 파리에 입성, 프랑스 제국의 부활을 도모한다. 프랑스 제국을 해체시키고 그에 해당하는 이익을 목전에 두고 있었던 유럽은 보나파르트의 복귀에 급 당황하면서 즉시 연합전선을 구축, 프랑스로 진격한다.


그리하여 연합군 총 21만 명, 프랑스 주력군 13만 명이 대치하게 된다. 워털루 전투는 1815년 영국∙네덜란드∙프로이센 연합군인 7만 병력과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이끄는 7만 병력, 즉 7만 대 7만의 병력으로 벨기에의 워털루에서 벌인 전쟁이다. 결과는 보나파르트의 패배였고 현대유럽국들의 국경을 결정하는 직접적인 동기가 되었다. 그는 마지막 전쟁인 워털루 전투의 패배로 세인트헬레나섬으로 유배당한다. 당시 프랑스군의 사망자는 약 5만 명, 연합군은 2만 3천명이라고 한다.


쏭훙빈에 따르면 바로 이 워털루 전투는 세계의 금융역사에 한 획을 긋는 결정적 사건이었다. 워털루 전투는 유태계 독일인 로스차일드 가문을 세계 금융의 핵심으로 부상시키는 발판을 마련해준다. 당시의 뉴스 전달 속도가 느리다는 점을 이용, 로스차일드가는 엄청난 부를 일궈낸다. 워털루 전투의 승패가 결정된 날은 1815년 6월 18일, 월링턴 장군이 승전의 소식을 공표한 시각은 21일 밤 11시 였다. 로스차일드가는 공식적인 뉴스가 전파되기 만 하루 전인 20일에 이 소식을 정보원을 이용하여 입수했다. 로스차일드가는 워털루 전투의 결과를 영국 본토보다 하루 먼저 알고 있었던 것이다.


  당시 영국은 국가의 운명을 결정하는 전쟁 비용을 조달하기 위해서 엄청난 액수의 국공채를 발행한 상태였다. 전쟁에서 진다면 영국은 쫄딱 망하는 것이고 이긴다면 엄청난 이익을 거머쥐는 그야말로 한 판의 도박이나 다름이 없는 전쟁이었던 것이다. 영국은 기필코 이기고야 말겠다는 필사의 선택을 할 수 밖에 없는 처지였다.


 

영국의 증권가는 전쟁의 결과를 초조하게 기다리고 있었다. 그 때 로스차일드가는 엄청난 정쟁의 결과를 공표했다. ‘영국, 워털루 전투 패배’ 이 소식은 일 순간 증권가에서 영국 국공채의 투매현상을 일으켰다. 투자자들은 공채를 팔아치우기 시작했다. 순식간에 공채 값는 땅바닦에 떨어졌다. 공채값이 휴지조각이 된다 싶을 정도로 하락하자, 때를 기다린 로스차일드가는 투자자들이 투매한 공채를 전면 조용히 거두어들이기 시작했다. 로스차일드가가 6월 20일 하루 만에 벌어들인 금액은 투자금의 20배에 달했다. 이는 나폴레옹과 웰링턴이 전쟁을 통해 벌어들인 돈을 합친 것보다 더 큰 액수였다고 한다.   


 워털루 전투를 교묘하게 투자의 기회로 이용한 로스차일드가는 이를 계기로 영국 최고의 채권자로 부상했고, 공채발행을 주도하면서 잉글랜드 은행의 실권을 장악했다. 영국의 국민들이 내는 세금은 고스란히 로스차일드의 가문으로 들어가게 된 것이다. 이상의 내용은 현재 세계 금융을 주도하는 보이지 않는 손의 출발점이다.


이를 발판으로 로스차일드가는 전 세계의 금융망을 구축하고 보이지 않는 여타의 금융세력들과 연합, 심지어 미연방준비제도 이사회(FRB)의 실권을 장악하게 된다. 버냉키, 그린스펀등 유명한 금융인사들은 바로 RRB의 의장들이다. 또한 보이지 않는 손에 해당하는 거대 금융기업들은 로스차일드가를 비롯, 골드만삭스, 리먼브러더스, JP 모건, 모건 스탠리등이고 관련 기업들은 미국의 5대 언론사 및 카네기 재단, 록펠러 재단, 기업으로는 포드사를 비롯,  록히드, 엑슨 모빌, 쿤롭, 시티뱅크, 20세기 폭스, 파라마운트, 유니버설, 워너브러더스, 인물로는 JP모건, 버냉키, 조지 소로스, 케인즈 등등이다. 해당 기업들과 재단 및 인물들은 미국 정부와도 끈끈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보이지 않는 손의 국제 단체이며 드러나지 않는 힘을 가진 인물과 기업들의 통제를 받는 단체들은 NATO, UN, IBRD, TWO, IMF등등이다. 우리는 구제금융 당시 IMF에 의하여 엄청난 요구를 들어주는 댓가를 치루어야 했다.

 

 

<김영삼정부 이전의 한국 경제 구조는 외국인이 한국기업에 개입할 수 없는 구조였고 외국기업이 개입을 하더라도 그 상한선을 분명하게 그어주고 있었으므로 한국의 기업이 외국인의 손에 경영권을 넘기는 일은 발생할 수 없는 구조였다. 그러나 금융 시장의 개방은 외국인에게 한국 기업의 주식 보유를 늘려 경영권을 박탈 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준 것이다.  

그리하여 외국인들은 하나 둘씩 한국기업의 경영권을 빼앗아 갔다. 그 결과 현재 시중 은행은 물론 한국의 산업구조의 중요한 기저가 될 수 있는 기업들이 외국인의 손에 넘어간 상태이다. 외국인의 경영 방침은 한국의 경제 구조에 커다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윤을 창출하는 방식이 과거 한국 기업의 방식과는 전혀다른 것이 그것이다. 외국 기업은 투자를 최소화한다. 인건비를 줄여 이익을 극대화하려 한다. 결과적으로 기존의 근로자들은 명퇴를 하기에 이르른다. 전국의 금융기업들은 물론 대기업들의 구조조정이 시작된 것이다. 현재 국내 고용의 문제는 심각한 상태이다. 계약직 근로자들의 문제가 바로 그것인데 그 원인은 위와 같은 국내경제의 구조변화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는 한국 경제의 기반을 흔들기에 충분했다. 한국은 바로 구제금융에 손을 내밀지 않을 수 없었다. 드디어 한국도 IMF의 조정책을 받아들이게 된 것이다. IMF는 경제강국들의 시종이나 마찬가지인 국제 기구이다. IMF는 한국의 경제 정책에 적극개입했다. 구제 금융당시 한국은 한국의 예산조차도 마음대로 행사할 수 없는 나라였다. 한국이 금융시장을 개방한 댓가는 너무나 가혹한 일이 아닐 수 없었다.   

멀쩡하던 중소기업들이 줄줄이 도산하게된다. 근로자들은 하루아침에 실업자로 전락했고, 국민들의 수입구조에 커다란 변화가 몰아닥쳤다. 구제금융 당시 한국의 이혼율을 아시는 분들은 다 아실 것이다. 국가 경제의 변화는 가정경제 구조의 변화에 직접적인 타격을 가하기 시작했다.  한국의 가정이 뿌리채 흔들리기 시작한 것이다.  

근로자들은 실업을 하거나 계약직으로 일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에 이르렀다. 우리는 기아자동차 사태를 잘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그 얼마나 치열했던가... 물론 이는 널리 알려진 결과물의 하나에 불과하다. 금융시장의 개방이 가져온 결과는 우리나라의 구석구석에서 상상을 초월하는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중이다.>

 

 

사금융의 중심이 모여 있는 괴물 FRB


 

<이 책의 저자는 경제 저격수였다고 한다. 일종의 양심선언을 한 것이다. 자신이 보이지 않는 손의 하수인으로서 어떻게 한 국가의 경제력을 장악했고 그 나라를 경제적으로 지배하게 되었는지 매우 잘 드러내주고 있다. 경제 저격수가 나서면 틀림없이 그 나라의 경제를 장악하고 만다. 만약 실패한다면 더 큰 힘을 작동시켜 그 목적을 반드시 이루어 낸다. 파나마 운하를 미국이 장악하게 되는 과정도 잘 나타나 있다. 파나마 운하를 손에 넣기 위해 미국은 콜럼비아로부터 파나마를 독립시키는 전략을 구사한다. 이 과정은 전형적인 경제 저격수들과 배후 세력의 작전을 잘 보여준다. 결국 미국은 85년간 파나마 운하의 경영권을 장악해 막대한 이익을 창출한다.>  

 

미국의 달러를 찍어내는 곳은 FRB 즉 미연방준비제도이사회이다. 우리나라 돈은 한국은행에서 찍어내기 때문에 달러를 찍어내는 곳이 미국의 국영중앙은행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실상은 미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인데 이는 미국 정부가 운용하는 국영은행이 아니다. 한마디로 FRB는 사채를 운용하는 사적 영리단체인 것이다. 초대 FRB의 의장이 로스차일드가의 폴 워버그였다는 점은 이를 입증하고 있다. FRB 의장직은 미국 대통령의 지명권에 해당하는 자리이지만 실상은 자체 선출된 인물을 통보하면 미대통령은 이를 따르는 것 뿐이다. 

 결과적으로 미국은 발행되는 달러 그 자체를 채무로 떠안아야 하고 그에 대한 이자도 꼬박꼬박 지불해야 한다. 달러를 발행 할 수록 빚이 늘어가는 나라가 바로 미국이다. 이는 미국인의 세금이 고스란히 FRB라는 사기업으로 들어간다는 이야기이며, 미국으로서 이 얼마나 억울한 일인가...



1920년대 경제대공황의 진실


<화폐 전쟁과 일맥 상통하는 책이다. 화폐전쟁의 요약본이라고 생각하면 틀림이 없는 책이다.>

 

이렇게 미국에서 자리를 확실하게 잡은 긍융재벌가들은 본격적인 돈벌이에 나선다. 수많은 전쟁등에 깊이 관련하여 어마어마한 금액을 거머쥐었다는 점은 차치하고라도 1920년대 미국발 경제 대공황은 본격적인 돈벌이의 일환이었다고 저자는 쓰고 있다.

  그 뿌리를 확실하게 내린 FRB는 1914년부터 1919년까지 달러를 아낌없이 찍어내어 시중 은행에 거의 100%에 달하는 금액을 뿌려댄다. 소규모 은행들은 저렴한 이자로 미국민들에게 대출을 해주면서 엄청난 주식 투자에 나선다. 미국의 국민들 역시 저렴한 이자의 대출을 받아 주택을 구입하는가하면 주식에 투자하게 된다. 당시 소규모은행들과 미국 국민들은 저렴한 이자로 활기 좋은 주식투자로 짭짤한 이익을 내고 있었다. 경기는 살아나고 미국의 경제는 거침없이 돌아가고 있었다.

 

  그런데 1920년, FRB가 갑자기 시중은행에 뿌려댄 돈을 무자비하게 거두어들이기 시작했다. 소규모 은행들은 미국의 국민들에게 대출해준 돈을 긴급하게 회수하지 않을 수 없었다. 순식간에 미전역은 금융 대혼란의 도가니에 빠져들었다. 미국민들과 시중 은행들이 엄청난 빛더미에 올라 줄줄이 도산하고 있었다. 당시 FRB에 가입하지 않은 5,400여개의 미전역에 소재하던 은행들이 완전히 파산해버린 것이다. 이렇게 파산한 전국의 인행들을 금융재벌들은 헐값에 거두어들였다. 1920년대 미국의 대공황은 금융재벌들의 작전에 불과한 것이고, 이를 모르고 있던 미국의 국민들은 그들의 덪에 걸려든 것이다. FRB는 다시 통화량을 늘려 미국을 빛 더미에 앉혀놓았다. 이렇게 해서 미전역의 금융망을 그들이 접수한 것이다.  



금융 과두들의 모임


<금융 과두들의 조직 중 하나인 빌더버그클럽을 중심으로 매우 세부적으로 파헤친 책이다. 세계의 경제를 움직이는 힘의 동력원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이 책에 의하면 한국에도 20여명의 회원이 있다고 한다 ㅠ.ㅠ 도대체 누군거?>

 

300인 위원회, 미국외교협회, 삼각위원회, 로마클럽, 빌더버그클럽 등이다. 우리가 비정부기구라고 알고있는 NGO 역시 이 범주를 벗어나지 못한다. 이들은 물론 드러나지 않는 금융과두들의 모임이다. 세계의 금융을 어떤 방향으로 흘러가도록 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그들의 결정사항은 향배 세계의 경제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게 된다.

 

1차 세계대전은 그 예이다. 1915년 영국은 여객선 ‘루시타니아호’를 독일군 잠수함이 있는 바다로 흘러보 낸다. 이는 고의였다고 한다. 기대했던 대로 독일은 U-보트를 이용 여객선은 침몰시킨다. 그 여객선에는 미국 민간인 128명이 타고 있었다.


 자 이쯤하면 미국의 여론을 분발시킬 수 있는 충분조건이 되어준다. 전쟁돌입에 미지근한 윌슨을 루즈벨트는 강력하게 비난하면서 대통령에 오르고 미국은 328,000명 이라는 상상을 초월하는 미국의 젊은이들을 전쟁터에 내보내 죽게 만든다. 미국은 전쟁비용으로 300만 달러를 지출했지만 록펠러는 20억 달러라는 엄청난 전쟁 수입을 벌여들였다. 그런데 더욱 흥미로운 것은 전쟁비용은 모두 FRB에서 나오는 자금이며 이에 대한 이자를 FRB에 또 물어야 한다. 매우 흥미로운 금융구조를 가진 나라가 바로 미국이며 세계 경제의 혈관을 틀어쥐고 있는 존재가 바로 보이지 않는 그들이다. 이는 마치 일본을 자극하여 진주만을 공습하게 만들어 미국 국민들의 공분을 일으키며 전쟁참여를 무사히 의회에 통과시키는 전략과 동일 한 수법이었다.


 그간 일본의 경제가 심상치 않다는 생각을 해본 분들이 계실 것이다. 사실 일본은 약 10여년 전 부터 강력했던 경제력을 상실했고 과거의 영화에 비하면 영 시원치 않게도 비실거리고 있다. 인건비에 따른 경쟁력을 상실해왔다는 점과 부동산 버블이 일본 전역을 강타하면서 영 헤어날 줄을 모르고 있다.


 또한 그리스의 심각한 경제적 역경의 상황을 잘 아실 것이다. 표면적으로는 그리스의 사회적 요인들을 그 이유로 꼽고 있지만 실상은 지하금융이 차지하는 비중이 너무 큰 때문이다. 지하금융이란 바로 눈에는 보이지 않는 경제의 흐름을 말한다. 그 보이지 않는 경제원동력은 어디에서 오는 것인가... 이탈리아 또한 만만하지 않은 상태의 금융문제로 심각한 상황이다.


 <쑹홍빈도 이점을 지적하고 있다. 미국의 부채가 GDP를 넘어서는 2057년 달러의 붕괴를 예측하고 있다. 새로운 화폐의 전쟁이 시작된다는 것이다. 쑹홍빈은 새로운 화폐로 금과 탄소화폐를 들고 있다. 탄소가 어떻게 화폐로서의 역할을 하게될지에 관한 정보는 화폐 전쟁에 잘 서술되어 있다.> 

 

이들의 원인을 통찰력있게 분석한 쑹홍빈에 따르면 키워서 깍아먹는 다는 전형적인 ‘양털깍기’에 당한 것이라고 보면 된다. 그렇다면 다음은 어느 나라 차례인가...대한민국은 좀 멀었다고 본다. 일차적으로 IMF 구제금융 당시 1차적으로 손을 본 국가이기도 하지만 아직 경제력의 규모로 보건데 털이 덜 자란 양이다. 어쩌면 다음의 타겟은 중국일 가능성이 높다. 중국은 지난 30여년간 엄청난 부를 창출한 국가이다. 중국 국민 전체적인 삶의 질로 판단한다면 아직 한참 멀었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국가적으로 본다면 당연 군침이 도는 나라이다. 30여년간 벌어들인 외화의 규모는 세계 최대이다. 그들이 보유하고 있는 금 역시 만만찮은 량일 것이다.

 

 지난 30여년간 10억이 훨씬 넘는 인구가 열심히 벌어들인 부의 액수를 상상해보시라...전 세계의 소비제품들을 생산하는 나라가 중국이며 미국에는 중국의 저렴한 생활용품이 없으면 당장 도산 가능한 가구들이 셀 수 없이 많다. 중국인들이 만들어낸 생활용품이 전 세계 구석구석 휩쓸고 있다. 그렇게 벌어들인 화폐의 가치는 무려 달러로 3조 8000억에 이른다. 가히 천문학적인 액수를 국고에 담아두고 있는 것이다. 중국은 그동안 벌어들인 돈을 모두 달러화하여 보존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중국은 보이지 않는 금융과두들의 눈에 그 얼마나 군침이 도는 국가 이겠는가...조만간 중국이 위험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녀고양이 2012-02-24 20: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차트랑공님의 이 페이퍼는 제가 현재 생각하는 것들과 너무나 비슷하여
무척 공감이 갑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이 준비도 없이, 겉으로 보이는 화려함으로 우리나라 금융을 홀랑 열어버린 것이, 첫번째 우리 몰락의 시초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리고 김대중 전 대통령, 노무현 전 대통령께서 시장주의를 여전히 옹호하신게 그 다음 비극이라는 생각이 들구요, 그 분들이 왜 그러셨을까 저는 좀 궁금합니다.

<화폐전쟁>은 정말 읽어보고픈 책인데, 영... 시간이 나질 않네요. ㅠ

일본이 확실하게 휘청거리는거 같습니다. 수출이 삼성이나 LG등에 밀려서 줄어들고 외국에 투자한 금융 자본도 이율이 적어지면서 형편없고, 국가 부채 장난 아니라고 하는데 거기가 무너지면, 세계 경제가 어찌될지도 무섭고... 우리나라가 꼭 10-15년 정도 일본보다 뒤떨어져서 똑같이 달려간다는 점도 우려스럽습니다. 전에 마립간님께서 페이퍼에서 언급하셨듯이, 혁명이나 전쟁이라도 날 분위기 직전 같습니다. ㅠ

차트랑 2012-02-24 21:42   좋아요 0 | URL
화폐전쟁은 정말 읽어보셔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미력한 힘이지만 개인으로서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그나마 나은지도 알 수 있구요 ㅠ.ㅠ
말씀해주신대로 미래가 좀 걱정되더라구요 ㅠ.ㅠ
찾아주셔서 고맙습니다 마녀고양이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