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행은 뭘까? : 오행편 젊은 한의사가 쉽게 풀어 쓴 음양오행
어윤형, 전창선 지음 / 와이겔리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음양과 오행은 동양 사상을 이해하는 기본이 된다. 시대적으로는 미신으로 치부되기 쉬우나 음양오행은 우주와 인간세상의 작동원리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 성리학에 기본을 두고 발전해온 한국의 동양사상도 중화라는 균형의 미학이다.  

위의 책은 목화토금수의 상생과 상극을 단순한 상생상극으로 이해하기보다는 자연의 섭리와 이치를 바탕으로 설명하여 보다 근원적인 이해를 돕는다. 예를 들어 금은 목을 극하는 것으로 이해되하기 보다는 '열매가 익으면 줄기는 시들어간다'로 이해하는 것이 좀더 오행의 의미를 더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극의 대상은 그 상대를 꺼리는 것이지만 그 상대가 없다면 오행은 원활한 작동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오행은 거대한 우주의 작동 원리이기도하지만 인간 신체의 원리이기도하다. 우리의 신체는 오행의 요소들이 원활한 상호기능을 해야한다.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친 상태의 신체 작동은 서양에서 말하는 disorder, 즉 질병을 뜻하게된다. 하여 사람의 균형을 잃은 상태인 것이다. 균형의 파괴는 곧 질병을 뜻하고 이 불균형을 다시 균형있는 신체 조건으로 돌려놓는 것이 치료의 의미가 된다. 

한의약에서 환자의 생년월일을 따져 약제를 구성하는 이유도 바로 이런 오행의 원리에 의한 처방이 되는 것이다.  

동양에서는 희노애락이 드러나지 않는 것을 '중'이라하고, 드러나서 절도에 맞는 것을 '화'라고 한다. 중이란 세상의 큰 근본이고 화란 세상의 공통된 도이다. 주희는 '희노애락은 감정이고, 그것이 아직 드러나지 않는 것은 본성이다'라고 했다. 치우치거나 기울어짐이 없는 것을 중이라고 한다. 드러나 모두 절도에 맞는 것은 감정의 바른 상태이고 어긋나 온당하지 않음이 없기 때문에 화라고 한다. 하늘이 내려준 것이 바로 우리의 본성인데 이는 온 세상의 이치가 모두 중으로 말미암은 것이라 했다. 중은 도의 본체이고 화는 도의 작용이다. 그러므로 중화는 동양 철학의 기본을 이루는 요체이다. 

여기서 말하는 중화는 바로 우주의 이치이며 세상 모든 것의 작동원리가 되는 것이니 중화를 이루려고 노력하는 삶이 인간이 갈 길인 것이다. 오행은 중화를 지향하기 위한 이해이며 그 이해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매우 기본적인 오행의 작동원리를 아는 것은 자신을 이해하는 시작인 것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