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얼빈
김훈 지음 / 문학동네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포수', '무직', '담배팔이'. 첫 둘은 안중근 의사가 검사와 판사에게 본인의 직업으로 진술했던 것이고, 마지막은 함께 거사를 계획했던 우덕순이 직업으로 진술했던 것이다. 원래부터 이념을 싫어하고 몸과 몸이 부딪치는 곳으로서의 세계를 그리고 싶어하는 김훈 작가에게 위의 진술은 꽤 인상 깊었던 모양이다.


영웅으로 일컬어지는 안중근 의사의 내면이 일반인인 우리와 크게 다르지 않음을 보이고 싶었던 것이라면, 작가는 성공했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다만, 난 오히려 이토를 쏘고자 했던 그 동기를 대의와 함께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었는데, 그 부분이 당시 조선인이라면 누구라도 그렇게 느꼈다는 듯 심심하게 넘어가는 것이 좀 아쉬웠다. 물론 소설이 전기는 아니므로, 우리는 작가가 역사를 바탕으로 창조한 인물을 바라보게 되는 것일 뿐이다.


역사소설이므로, 당시 이토가 정세에서 차지하는 역할과 대한제국 황실과 지도층의 행태 등을 엿볼 수 있는데 매우 흥미롭다. 서류로 나라를 넘겨주는 지도층과, 이를 그대로 바라보지 못하고 의병으로 봉기하여 싸우는 민초들의 모습은 그 대비가 너무 선명하여 눈이 아프다. 조선이 싸우지도 않고 그냥 망했다고 말하는 이들도 있지만, 절대 그렇지 않다. 우리는 있는 힘껏 저항했지만 일본의 잔인한 무력에 굴복한 것이다. 그 외 안중근 의사의 집안 배경, 뮈텔 신부 등 당시 조선 천주교의 입장을 책에서 볼 수 있다.


결국 안중근 의사와 같은 이들의 희생으로 나라는 다시 태어난 것이다. 그 와중에 밀정으로 활동한 조선인들이 있다. 소설은 전혀 내색하지 않지만, 우덕순도 이후 밀정으로 활동한 의심이 있다고 한다. 이러한 모든 것들은 우리 속에 내재한 선과 악의 반영이라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어찌 됐든 금수는 되지 말자고 양심은 내게 말한다. 욕망에만 따라 산다면 우리가 금수와 다를 것이 무엇인가.


<칼의 노래>는 내가 좋아하는 책 몇 권 안에 들어가는데, <하얼빈>은 아마 다시 읽게 되지는 않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loud Atlas (Paperback) - 빌 게이츠 2020 여름 추천 도서
Mitchell, David / Random House Inc / 200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섯 개의 이야기가 실타래처럼 이어진다. 역사소설에서 모험, SF까지 다양한 이야기이다. 인간의 삶이 끊어지는 것 같아도 끊어지지 않고, 좋은, 또는 나쁜 여파가 계속 이어진다는 얘기를 저자는 하고 싶은 모양이다. 물리적이고 불교적이다. 감동적이기도 하다. 난 내 인생의 미래 여파를 볼 수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좋은 여파를 낳을 물 한 방울을 바다에 더하라는 교훈을 얻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ower, time, gravity, love. The forces that really kick ass are all invisible. (p. 396)

  "Another war is always coming, Robert. They are never properly extinguished. What sparks wars? The will to power, the backbone of human nature. The threat of violence, the fear of violence, or actual violence is the instrument of this dreadful will. You can see the will to power in bedroom, kitchens, factories, unions, and the borders of states. Listen to this and remember it. The nation-state is merely human nature inflated to monstrous proportions. QED, nations are entities whose laws are written by violence. Thus it ever was, so ever shall it be. ..."

...

  The League of Nations? Surely nations knew laws other than warfare? What of diplomacy?

  "Oh, diplomacy," said M.D. [Morty Dhondt], in his element, "it mops up war's spillages; legitimizes its outcomes; gives the strong state the means to impose its will on a weaker one, while saving its fleets and battalions for weightier opponents. Only professional diplomats, inveterate idiots, and women view diplomacy as a long-term substitute for war."

  The reductio ad absurdum of M.D.'s view, I argued, was that science devises ever bloodier means of war until humanity's powers of destruction overcome our powers of creation and our civilization drives itself to extinction. M.D. embraced my objection with mordant glee. "Precisely. Our will to power, our science, and those v. faculties that elevated us from apes, to savages, to modern man, are the same faculties that'll snuff out Homo sapience before this century is over! You'll probably live to see it happen, you fortunate son. What a symphonic crescendo that'll be, eh?" (pp. 444-445)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2-11-18 16: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Probable Impossibilities: Musings on Beginnings and Endings (Paperback) - 『모든 것의 시작과 끝에 대한 사색』원서
앨런 라이트먼 / Vintage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앨런 라이트먼은 미국의 천체물리학자이자 작가이다. <Probable Impossibilities>는 우주와 그 속에 사는 인간의 의미에 대한 그의 에세이 모음집이다. 화려하지 않은 담백한 글이 그의 성품을 엿볼 수 있게 한다. 양념하지 않은 순두부의 맛이랄까... ^^ 커피 한 잔 들고 매일 한 챕터씩 읽으며 음미하면 좋을 글들이다. 매우 새로운 시각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우주 속에서 인간의 의미에 대해 성찰할 기회를 준다.


책 속 한 구절:

  Paradoxically, if we can give up the belief that our bodies and brains contain some transcendent, nonmaterial essence, if we can embrace the idea that we are completely material, then we arrive at a new kind of specialness--an alternative to the specialness of vitalism. We are special material. Not special because our atoms are different from atoms in rocks and water, and not special because we have a nonmaterial essence inside us, but special because our atoms are arranged in a special way as to create life, and consciousness. We humans living on our one planet wring our hands about the brevity of our lives and our mortal restraints, but we do not often think about how improbable it is to be alive at all. Of all the zillions of atoms and molecules in the universe, we have the privilege of being composed of those very, very few atoms that have joined together in the special arrangement to make living matter. We exist in that one-billionth of one-billionth. We are that one grain of sand in the desert. (p. 142) 


위의 구절 번역: 만약 우리 몸과 뇌가 초월적이고 비물질적인 실체를 담고 있다는 믿음을 버릴 수 있다면, 만약 우리가 완벽히 물질적이라는 생각을 받아들일 수 있다면, 모순적이게도 바로 그때 우리는 새로운 종류의 특별함에 도달하게 된다. 생기론vitalism의 특별함과는 다른 특별함이다. 우리는 특별한 물질이다. 우리 몸의 원자들이 바위나 물의 원자들과 달라서 특별한 것이 아니며, 우리 안에 비물질적인 실체가 있어서 특별한 것도 아니다. 우리 몸의 원자가 생명과 의식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특별한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특별한 것이다. 우리 인간은 이 행성 위에서 살면서 우리의 삶이 짧고 유한하다고 괴로워한다. 하지만 우리는 살아있음 자체가 얼마나 희박한 가능성인지를 종종 잊고 있다. 우주 안에 있는 엄청난 수의 원자와 분자들 중에서, 우리는 살아있는 물질로 특별히 배열된 매우 작은 숫자의 원자들로 구성돼 있다. 우리는 이런 수십억 분의 수십억 분의 일이란 확률 속에서 존재한다. 우리는 사막에 있는 수많은 모래 중에서 바로 이 특별한 모래 한 알이다.


영화 '코다CODA'의 명장면. 왠지 일맥 상통하는 면이 있는 것 같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오늘날 우리가 근본적이라고 생각하는 모든 것 또한 결국에는 근사적인 것, 출현한 것으로 이해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중력에 대한 뉴턴과 아인슈타인의 법칙, 양자역학의 법칙들, 심지어는 공간 그 자체도 말이다.

   우리가 찾는 근본적인 물리 이론은 공간에서 움직이는 사물들에 대한 것이 아닐 것이다. 이 이론에서 중력, 전기력, 자기력은 근본적인 힘이 아닐 것이다. 양자역학은 그러한 근본적인 이론이 아닐 것이다. 이 모든 것은 우리의 우주가 충분히 커졌을 때 출현하는 근사적인 개념들일 것이다.

   만약 공간이 출현한 것이라면, 그것은 시간 또한 출현한 것임을 의미할까? 만약 우리가 자연의 근본적인 수준으로 충분히 들어간다면 시간은 사라지게 될까? 지난 세기에 우리는 시간이 자연의 좀 더 근본적인 기술로부터 출현했다고 보는 관점에 도달했다. 이 근본적인 기술에서는 시간이 사라진다.

   나는 과학자로서 그들이 잘못되었다고 믿는다. 시간은 우리의 일상적인 경험 중 유일하게 근본적인 측면이라는 것이 밝혀질 것이다. 시간이 항상 우리의 지각 속 어떤 순간이라는 사실, 우리가 순간을 순간들의 흐름 속 하나로 경험한다는 사실은 환상이 아니다. 시간은 근본 실재에 대해 알려줄 최선의 단서다. (38~39 페이지)


시간이 환상이라는 주류 물리학의 주장에 스몰린은 어떤 반론을 펼치는지 알고 싶은 분들에게 추천한다. 급진적이지만 귀 기울여 들어볼 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