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상대성이론의 효과 번역에서 일부 잘못된 부분이 있다. 기록으로 남겨 놓는다. 1장 '물리법칙은 누구에게나 동등하다' 부분이다. 다음의 밑줄 친 부분이 이상하다.

일련의 사건들이 일어난 시간을 측정할 때, 사건을 기준으로 움직이고 있는 관찰자는 정지한 관찰자보다 측정 시간이 더 길어질 것이다(시간이 지연된다). 움직이는 물체의 길이를 측정할 때, 물체에 올라탄 관찰자가 잰 길이가 정지한 관찰자가 잰 길이보다 더 짧을 것이다(길이가 수축한다). (40 페이지)

운동하는 물체의 길이가 정지한 관측자에게 짧아 보이는 것(실제로 짧아짐)이 특수상대성이론의 길이 수축 효과이다. 번역서는 이 부분을 반대로 기술하고 있다. 원서를 찾아보면, 저자는 제대로 표현했지만 역자가 번역에서 오류를 범했음을 알게 된다.

An observer moving relative to a series of events will measure these to unfold in a time that is longer (time is dilated) when compared with the measurements of a stationary observer. The length of an object moving relative to a stationary observer will appear to contract compared with the measurements of an observer riding on the object. (원서 p. 21)

올바르게 번역하자면 다음과 같을 것이다.


움직이는 물체의 길이를 측정할 때, 물체에 올라탄 관찰자가 잰 길이보다 정지한 관찰자가 잰 길이 더 짧을 것이다.


별 거 아닐 수도 있고, 별 거일 수도 있다. 어찌 됐든 오류는 오류고, 출판사에서 나중에라도 바로잡으면 좋겠다. 번번이 지적했던 것이지만, 나의 지식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잘못된 번역으로 인해 이해 못하는 부분은 없으면 없을수록 좋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1-01-19 22: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욘다님 번역이 맞습니다. 번역자가 relative to / compared with 로 이어지는 문장 어순을 정확하게 번역 못했네요 그런데 이거 저 학부 교양떄 객관식 퀴즈였는데 ㅋㅋ

blueyonder 2021-01-20 10:11   좋아요 1 | URL
scott 님 감사합니다.^^ 학부 교양 문제도 기억하시다니 대단!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han22598 2021-01-22 05: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별거가 아니고, 중요한 것 같은데요. 그런데, 원서, 번역본 두권다 읽으시다니. 대단하십니다 ^^

blueyonder 2021-01-22 10:55   좋아요 1 | URL
원서와 번역본 둘 다 읽은 것은 아닙니다.^^ 번역본을 먼저 읽고 이상한 부분을 나중에 원서에서 찾아보았습니다.
반대의 경우도 있는데요, 종종 내가 잘 이해가 되지 않았던 부분을 역자가 훌륭하게 번역한 부분도 있는 반면, 나는 당연하게 넘어갔던 부분인데 역자가 이상하게 번역한 부분이 있을 때도 있습니다.
번역이 쉬운 일이 아니라는 것은 충분히 인정합니다. 양쪽 언어를 모두 잘 알아야 하니까요. 번역가도 사람이니 실수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주 수준 미달만 아니면, 그리고 의도적 오역만 아니면, 번역가를 비난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이런 글을 올리는 것은 그저 번역가와, 그리고 특히 편집자의 주의를 촉구하는 정도입니다. 무엇보다도 과학도서는 사실을 올바르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