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 연휴 다음 날 오후, 텔레비전 채널을 이리저리 돌리다가 '다큐 공감'이라는 프로를 보게 되었다.
지리산 산내마을 청춘 식당 '마지' (==>링크)에 관한 내용이었는데,
청춘식당 '마지'는 지리산으로 귀농한 사람들의 2세대 청춘들이,
마을을 벗어나지 않고도 성장하고 자립할 기회를 갖게 되는 데 초점을 맞춘 곳이었다.
귀농은 자신 없지만,
버리고 비우고 소박해지는 것의 연장선 상에서시골에서 살고 싶은 나는,
그런 종류의 책도 몇권 읽었던 터라,
관심을 갖고, 완전 공감하고 응원하는 마음으로 봤다.
이들의 모토는 '적당히 벌고 잘 살자' 라는데,
적당히 벌고도 잘 살 수 있을까, 조금 염려스럽긴 했지만 뭐~(,.)
그러고 보니, 언젠가 읽었던 '시골생활'과 '시골빵집에서 자본론을 굽다'란 책이 생각났다.
시골생활
정상순 지음, 지리산 이음 기획 /
문학과지성사 / 2015년 11월
시골빵집에서 자본론을 굽다
와타나베 이타루 지음, 정문주 옮김 /
더숲 / 2014년 6월
'시골빵집에서 자본론을 굽다'의 경우,
내가 마르크스를 제대로 읽지 못하고, 이해하지 못해서 인지 모르지만, 그닥 재미있지 않았었다.
이윤을 내지 않겠다는 것은 그 누구도 착취하지 않겠다는 의미, 즉 그 누구에게도 상처를 주지 않겠다는 의미다. 우리는 종업원, 생산자, 자연, 소비자 그 누구도 착취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기 위해 필요한 돈을 필요한 곳에 필요한 만큼 올바르게 쓰고, 상품을 정당하게 '비싼' 가격에 팔 것이다. 착취 없는 경영이야말로 돈이 새끼치지 않는 부패하는 경제를 만들 수 있다. (196쪽)
라고 하고 있는데,
내가 이해하지 못한 것은 '필요한 돈을 필요한 곳에 필요한 만큼 올바르게 쓰고, 상품을 정당하게 '비싼' 가격에 팔 것이다.'라는 부분이었다.
이쯤에서, 그룹 쥬얼리의 맴버였던 조민아가 운영하는 빵집과 그곳의 어마무시한 가격들과 연결치켜 볼 수 있겠다.
저런 논리대로라면 전직 연예인이었다는 이유로 품위유지비가 많이 들고,
손도 금손일테니, (ㅋ~.)
그 금손으로 만든 빵들은 가격이 얼마가 되든 용서해야 한다는 논리도 적용될 터이다.
빵을 만든 이력이 5~6년 밖에 되지 않은 상황에서 자신을 달인이라고 하는 평가하는 '와타나베 이타루' 도 그렇지만,
어마무시한 가격을 매기고 똥손으로 만든 것보다 못한 솜씨와 맛을 내보이는 조민아 또한, 이해불가이기는 마찬가지였다.
'와타나베 이타루' 경우,
'빵을 만드는 장인이 숙련된 기술을 가졌다는 이유로 존경받으려면 잘 쉴 수 있어야 한다'는 논리는,
삼단 논법을 거치는 수고를 하면 취지는 그럭저럭 이해할 수 있다고 쳐도,
도시 생활에 실패하고 시골에서 빵집을 차리게 되는데 돌아가신 할아버지에게 영감을 받는다는 설정은,
좀 무모하게 여겨졌다.
'와타나베 이타루'를 보면 그렇게 해서 운영이 될까 싶을 정도로 휴일도 많다.
다만 이윤을 추구하지 않는다고 해도 적자를 예사로 내서는 가게가 존속할 수 없다. 수입과 지출을 엇비슷하게 맞추고 손익분기점을 넘기는 것이 중요하다. 손익 분기점 달성을 이루고 나면 투자한 만큼은 반드시 돌아온다. 그렇게 가게는 굴러간다. 이윤 덕에 덩치가 커지지도 않고 손실 탓에 위축되지도 않는 상태에서 다음날도 변함없이 빵을 구울 수 있는 것이다.
라고 하는데,
나는 빵집을 할 것도 아니니, 착한 소비나 현명한 소비 등으로 발상을 전환시켜 보는 것이 좋겠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0044/20/coveroff/8961962876_1.jpg)
시노다 과장의 삼시세끼
시노다 나오키 지음, 박정임 옮김 /
앨리스 / 2017년 2월
알라딘 서재 웹서핑을 다니다보니 취지는 다르지만, 이런 책도 있다.
재미있을 것 같지만,
그냥 읽기만 해서는 크게 재미있을 것 같지 않고,
직장에서 벗어나,
적어도 일본으로 식도락 기행이라도 할 수 있어야 묘미를 느낄텐데 말이다.
목구멍이 포도청이라고 벌어 먹어야 살 수 있지만,
저들의 취지대로 또는 이 페이퍼의 논리대로,
잠시 쉬어갈 수 있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