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들였던 <마리 리뷰대회>이벤트에서 물먹었다.
내가 마음산책을 알게 된 건,<나의 책사용법>관련 이벤트가 시작이었다.
나의 책사용법을 올리러 블로그에 갔다가 <마리 리뷰>이벤트를 발견하고,
1등 상금 50만원에 혹해(3등만 돼도 5만원~)
한동안 마리 여사를 열심히 읽고 리뷰도 작성하고 했다.
읽은 책들,



이벤트 종료 후 특별한 심사위원을 초빙한다고 하길래,속으로 '고종석'을 점찍었었다.
고종석의 <여자들>에서 마리 예찬을 읽었던터라,고종석이 심사위원이 됐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잠깐 했었다.
결과적으로 '고종석'심사위원이었고,나는 물먹었다.

'글은 남고 말은 날아간다'는 속담이 가리키듯,통역사의 노동은 대개 기록으로 남지 않는다.그것은 허공으로 사라진다.반면에 번역가의 노동은 기록으로 남는다.기록으로 남지 않는 자신의 노동을 보상하기 위해 요네하라 마리는 문필가가 됐는지도 모른다.
-'고종석'의 <여자들>중에서-
<올가의 반어법>은 옛날에 읽었고,<발명마니아>를 가지고 있었지만...
<마리 리뷰>이벤트가 아니었다면 우선 순위가 한참 뒤로 밀려있었을 것이다.
뽑힌 리뷰들을 다시 읽어보지 못했지만,
처음엔 잘 쓴 리뷰를 뽑는 거란 선입견 때문에,
번역가를 꿈꾸며 인생의 2막을 준비한다고 커밍 아웃을 한 상태였고,
번역가의 여러 자질 중에 글쓰기 실력도 포함된다고 생각하는지라,
그동안 이곳에서 여러분이 글을 잘 쓴다고 한참 부추겨준 터라,더~
살짝 창피했고 그로인해 의기소침해 질뻔하였다.
그러다가,심사위원 고종석의 말대로 '관점'에 따라 잘 쓴 리뷰라고 생각하기로 했다.
심사위원이 공식적인 마리 예찬론자 고종석이니까 고개 끄덕여 수긍할 수도 있고,
나 자신을 추스리고 일어날 수도 있겠다.
('관점에 따라 잘 쓴 리뷰'라고 해서 살짝 오해의 소지가 있을수도 있겠으나,내가 자기위안을 얻을 수 있으니 그냥 놔두기로 하자~)
이제 훌훌 떨고 <마음산책>에서 또 어떤 이벤트를 준비하는지 보러 가야 겠다.
사심 없이 마리여사에게 홀릭하며 남은 여름을 건너 가야 겠다.
아직 안 읽은 마리여사의 책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