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죽은 시인의 사회
N.H 클라인바움 지음, 한은주 옮김 / 서교출판사 / 2004년 3월
평점 :
이 소설은 원래 웰튼 아카데미 출신의 작가이자 영화감독인
톰 슐만의 영화 <Dead Poets Society>를 소설가 낸시 클레인바움이 각색한 영화소설이다.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는 톰 슐만의 실제 체험을 바탕으로
1990년 아카데미 최우수상과 음악상을 받으면서 세계적으로 유명해졌다.
여기까지는 책의 도입부에 설명된 그대로를 옮겨본 것이다.
전통 명문고인 웰튼고등학교에서도 잘 나가는 모범생들이다.
아이비리그 진학율 최고를 자랑하는 학교답게 웰튼고교는
전통, 명예, 규율, 최고 이 네 가지의 덕목을 앞세워 아이들의 숨통을
바짝 쥐고 흔들어 대고 있다.
부모가 정해준 탄탄대로의 길을 의심없이 걷던 이 아이들 앞에
'카르페 디엠(오늘을 즐겨라)를 들이대며 키팅선생이 국어교사로
부임해온다.
"내가 바라는 것은 여러분이 스스로 생각하고 주체적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라 자신있게 행동하고 말하는 것이 얼마나 아름답고 소중한 것인지를 깨닫게 되는 것이다.
자기 자신의 말과 행동, 스스로 내린 판단과 결정을 진정
사랑하는 사람이 되길 바란다.
누가 어떻게 지껄이든 말과 생각은 이 세계를 바꿀 만한 힘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자, 어떤 누가 이 말에 매혹되지 않을 수 있을까?
아이들은 점점 자신이 원하는 것, 진정 하고 싶은 것을 생각하게
되고 그 와중에 연극을 너무나도 하고 싶어했던 닐은 아버지 몰래
연극에 참가했다가 들킨 후 강제로 전학을 가게 되자
더이상 아버지의 독선을 참을 수 없었던 터라
권총으로 자살을 하고 만다.
이 사고로 <죽은 시인의 사회> 멤버들 중 키팅선생님으로부터
자신감을 되찾게 된 토드를 제외한 모두는 키팅선생님의 사주였다는
거짓 서류에 강제로 서명을 하게 되고 키팅 선생님은 학교를 떠나게 된다. 그리고 여기에서 그 유명한 장면이 연출된다.
토드를 위시해서 아이들 전체가 책상 위로 올라가
떠나는 키팅선생님에게 그 나름의 인사를 보내는 것이다.
하필이면 왜 책상위로 올라가는 인사를 했을까?
답은 키팅 선생님이 수업 중 던진 이야기 속에 있다.
"과연 어떻게 해야 우리가 휘트먼의 시에서처럼
있는 그대로의 자연이 소리를 내게 할 수 있을까?
다시 말해 편견이나 습관, 외부의 압력 따위로부터
어떻게 우리 각자를 해방시킬 수 있겠느냔 말이다.
그건 끊임없이 사물을 새롭게 바라보는 시각을 갖도록 애써야
한다는 것이다"
"내가 교탁 위로 뛰어올라왔을 때는 뭔가 중요한 까닭이 있을 거라고 생각하지 않나?
조금 전에 말한 대로 나는 여러 분이 다른 각도에서 끊임없이 사물을 바라봐야 한다는 점을 증명해 보이려는 것이다.
좀더 높은 곳에서 보면 세상은 달라 보이거든."
선생님의 가르침을 우리는 분명히 간직하고 있습니다.
세상을 달리 보겠습니다. 우리의 꿈을 지켜나가겠습니다.
참다운 인생을 살겠습니다.
뭐, 이런 등등의 약속인 셈이다.
사실 이 책은 그다지 매력은 없는 책이다.
영화를 만들고 그 뒤에 각색한 소설이기 때문인지
문장도 매끄럽지 못하고 읽는 중간 중간에 감독이 외치는
컷! 소리가 들리는 듯 하다
이런 지경이라면 오히려 영화를 보는 편이 나을 것 같다.
그러면서도 끝까지 다 읽은 것은 무엇보다
키팅선생님이 아이들에게 가르쳐주고자 했던 것이 무엇일까에 대한
궁금증이 컸기 때문이고 편집부가 밝혀놓은대로
'교사들에게는 진정 참된 가르침이 무엇인지 깨닫게 해주는
길잡이가 될 것이다' 에 현혹되었기 때문이다.
참된 가르침이라..참으로 어려운 말이다.
다 읽은 지금 그것을 알겠느냐? 묻는다면
글쎄올씨다..머리를 긁적이게 된다.
끊임없이 사물을 다르게 보는 시각을 어떻게 가질 수 있는지를
가르쳐야 되고, 스스로의 판단과 결정을 따르게 하려면
사물을 보는 눈부터 가르쳐야 되고,
생각하는 방법부터 가르쳐야 한다는 뜻인데
그런 걸 가르치는 방법으로 어떤 것이 적절할 지는
아직 구체적인 확신이 서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나도 바란다.
아이들이 인생의 참맛을 맛보며 살 수 있게 되기를..
나는 숲으로 갔다. 인생을 자유롭게 살고 싶어서였다....
나는 인생의 참맛을 마음 속 깊이, 그리고 끝까지 맛보며 살고 싶다. ...
삶이 아닌 모든 것들을 털어 버리기 위해 ...
목숨이 다하는 그 순간까지, 삶이 끝났다고 포기하지 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