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랑한 1초들 - 곽재구 산문집
곽재구 지음 / 톨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매 순간을 다투듯 살아 본 적이 있었던가?

세계적인 스프린터들이야 1초를 잘게 나눈 그 시각까지 피를 말리며 살았겠지만

나야 그럴 일이 별로 없었다.

기껏해야 가야 할 약속시간에 늦었을 때 지나가는 초바늘을 붙잡고 싶었을 뿐

그닥 허덕대며 1초까지 아까워하며 사랑한 기억이 없다.

그런데 그는 그랬단다.

어떤 1초는 무슨 빛깔의 몸을 지녔는지, 어떤 1초는 무슨 음악을 좋아하는지,

어떤 1초는 지금 누구와 사랑에 빠졌는지, 어떤 1초는 왜 깊은 한숨을 쉬는지

다 느끼고 기억하고 싶었다고 고백한다.

책머리에 밝힌 이 이야기를 듣고서야

'아, 나도 그랬지!' 하는 뒤늦은 깨달음이 찾아왔다.

콜럼버스의 달걀이다.

아니다, 그가 시인이기 때문이다.

 

질투에 가까운 감정을 가지고 시작한 책읽기는 그러나, 나를 사로잡았다.

2009년 7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라빈드라니드 타고르의 시편을

타고르의 모국어인 벵골어로 읽고 우리글로 옮기고 싶어서 떠난 여행기록인데

생전 보도 듣도 못한 그 사람들이 어느새 내 이웃이 되고 삼촌이 되고

여동생이 되었다.

타고르가 사랑한 챔파꽃을 보기 위해 길을 떠난 것만으로도 반할 지경이었는데

크와이 멜라에서 아이가 만든 종이배를 기꺼이 사들고 돌아오는 그를 보며,

아이들이 다니는 초등학교 조회시간에 꼬박꼬박 찾아오는 이유를 묻자

'이렇게 평화롭고 따뜻한 시간은 내 생애에 없었다. 이 시간들은 내게 꿈이다.'

라고 말할 줄 아는 이 '다다'(아저씨라는 벵골어)를 어찌 사랑하지 않을 수 있을까.

 

9월 어느 날 비내리는 밤에 잠을 이룰 수 없다면서,

세상이 고요한데 빗소리만 들리는 그 풍경을 이야기하면서

쪼로록 빗방울들을 14줄에 걸쳐 그려놓았을 때

나는 이 시인을 더욱 사랑하게 되었다.

산티니케탄에 머물며 벵골어를 배우고 사람들과 소박하게 살아가면서

'이 보석같은 행복한 시간들을 어떻게 감당해야 할지요?'

라고 묻는데 가식이라곤 티끌 한 점만큼도 없는 진정이 느껴져서 나는 웃었다.

긍정적으로 살아야 해. 밝게 살아야 해, 모든 것에 감사하는 마음을 가져야지.

이렇게 설교하지 않고도 그런 것이 제일 좋다는 걸 제대로 보여준다.

오랜만에 휴식같은 책 읽기였다.

읽는내내 1초, 1초를 사랑했다.

오래도록 그 1초들이 생각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