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낌의 공동체 - 신형철 산문 2006~2009
신형철 지음 / 문학동네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요일이 주는 아늑함을 실로 오랜만에 맛보는 아침이었다.

베개를 당겨 안은 채 어제 도착한 <느낌의 공동체>를 책상에서 끌어내렸다.

서문부터 내 눈을 잡고 내 마음을 잡고 내 느낌을 붙든다.

'잠을 자려고 하는 시인과 소설가들 앞에서 내가 춤을 추기도 했을 것이고,

내가 춤을 출 때 독자들이 잠을 자기도 했을 것이다. 때로 우리는 한 배를 타게 되지만

그 배가 하늘로 날아오를지 벼랑으로 떨어질지 대부분 알지 못한다.

글을 쓴다는 것은 그런 줄을 알면서도 그 어떤 공동체를 향해 노를 젓는 일이다'

감탄하는 내 귀에 밥이 다 되었다고 친절하게 알려주는 쿠쿠양의 목소리가 너무 멀었다.

밥을 잘 저어달라고 애원하는, 평소 같으면 발딱 일어서게 만드는 그 목소리를 계속 묵살했다.

아직 일어난 사람 아무도 없잖아? 떡이 되기야 하겠어?

 

책은 많은 부분을 시에 대한 사유로 채우고 있었다.

내가 정말 좋아하는 문태준, 이문재, 손택수를 제외하곤 불행하지만 신선하게도

모두 모르는 이들이라 수첩과 연필이 오랜만에 바빴다.

모두 다 읽어봐야지 했지만 사실 그게 말만으로 남으리리란 걸 너무 잘 안다.

바쁘다는 핑계가 일순위이고, 아무 거나 덥석덥석 먹지 못하는 비위 약한 위장이 두번째다.

그래서 내가 함께 배 저어가고 싶은 시집들을 추렸다.

이병률의 <당신은 어딘가로 가려 한다>

진은영의 <일곱 개의 단어로 된 사전>

성미정의 <상상 한 상자>

윤제림의 <그는 걸어서 온다>

김기택의 <껌>

일단은 여기까지다. 부지런함과 시를 읽어내는 촉수를 다시 가질 수 있을 때엔

여기 언급된 많은 시들을 만나 볼 수 있겠다는 희망 하나를 남겨둔다.

 

시뿐만 아니라 소설이나 영화, 음악, 이땅 위에서 벌어지는 사건에 대한 시각까지 다양한

읽을 거리가 넘치는 이 책은 작가가 말하듯 평론집이 아니라 산문집이라는 표현이 참 어울린다.

신문지를 깔고 슥슥 비벼서 거뭇한 자장을 입가에 묻히고 먹는 편안한 자장면이었다가

개인접시를 앞에 두고 조심스럽게 집어 먹지만 어느 순간 톡 쏘는 겨자맛에 놀라게 되는

팔보채로 변신을 반복한다.

여기서도 읽을 거리들을 좀 챙겼다. 맘 먹고 청소 한 번 했더니 소파 뒤에서, 책상 아래서,

빨래바구니에서 동전들이 제법 쏠쏠하게 나왔다. 주운 돈은 얼른 쓰라 했겠다.

레이먼드 카버의 <대성당>

구스타프 야누흐의 <카프카와의 대화>

김중혁의 <악기들의 도서관>

정홍수의 <소설의 고독>

파스칼 레네의 <레이스 뜨는 여자> 

 

MBC 뉴스데스크를 진행했던 신경민 앵커가 뉴스를 마무리할 때 직접 쓴 원고를 읽는다는

이야기 끝에 '시가 아니지만 시이기도 한 문장'이라는 표현을 했지만

작가야말로 시가 아니지만 시이기도 한 문장으로 나를 감탄하게 만들었다.

'삶을 견디게 하는 아름다움과 삶을 서글프게 하는 아름다움.

아름다움은 문득 이 두 손 중 하나를 우리에게 내밀고 우리는 하릴없이 그 손을 잡습니다.'

'느낌표를 남발하는 사람은 얼마 안 남은 총알을 허공에다 난사하는 미숙한 사격수와 같다.'

'화염병은 시가 될 수 있지만 시는 화염병이 될 수 없다. 이 긴장을 포기하면 시는 사라지고 만다.'

'나만 내야 땅볼을 친 게 아니라고, 세상 모든 사람들에게 '메리크리스마스'는

 9회말 2사 만루 홈런만큼이나 드문 일이라고.'

 

매번 책을 읽으면서 그저 재미있었다라고밖에 쓰지 못하는 내게 신형철의 이 책은

재능없음에 대한 암울함과 공부가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함과 동시에,

문학비평도 문학일 수 있다는 주장에 고개를 주억거리게 만들었다.

읽다 던져둔 <몰락의 에티카>를 꼼꼼히 읽어봐야겠다는 다짐도 더불어 해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