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동 한 그릇
구리 료헤이 지음, 북타임 편집부 옮김 / 북타임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새해를 맞이하는 풍습이 나라마다 다르다는 건 이미 알고 있었지만 묵은 세배를 하고, 연말에 음식을 남기지 않으려고 비빕밥을 해먹던 풍습이 있던 우리나라와는 달리 한참 전에 재미있게 본 영화 <우동>에서 보여주는 대로 일본은 우동에 대한 애정이 각별한 것 같다.
그런 바탕에서 탄생한 것이 이《우동 한 그릇》일 것만 같다. 맛있는 우동 한 그릇을 먹기 위해 굳이 북해정을 찾은 가난한 가족들.
모르는 척 양을 조금 더 넣어 삶아준 무뚝뚝한 주인과 12월 31일이면 비워놓는 예약석 2번 테이블.
어느 늦은 저녁 풍경. 아이들 넷이 쪼르르 누워 잠이 든 곁에서 꼬박꼬박 졸던 엄마는 술이 얼큰해서 들어오시는 아버지를 맞아 양복을 받아 거신다. "여보, 국수 좀 삶아 줘." 한 번도 싫은 내색 없이 부엌으로 나가 국수를 말아오시던 우리 엄마. 여름이면 시원한 오이 냉국에 겨울이면 뜨끈한 멸치국물 국수를 주로 내주셨으나, 가끔 속이 탄다 하시면 마당에 묻어놓은 김칫독에서 김치국물을 넉넉히 담아와 얼음이 아삭아삭한 김치말이국수를 정갈하게 차려내오시던 그 풍경. 가끔 혼자서 국수를 삶아먹을 때면 냄비 속에서 부글거리는 거품 사이로 보이는 풍경이다.
지금도 가끔 술을 마시다가 먹으라는 밥은 안 먹고 국수가 먹고 싶다고 이구동성으로 외치면 "으이구! 누굴 닮아가지고!" 곱게 눈을 흘기시면서도 국수를 말아주시는 우리 엄마. 그 모습이 오늘 다시 찾은《우동 한 그릇》과 묘하게 겹친다. 다른 추억에 비해 음식에 관한 추억은 맛과 함께 기억되어서인지 더 오래도록 남는다. 북해정 우동을 먹던 그 가족들과 국수냄새 퍼지던 그 저녁에 대한 추억은 그렇게 닮은 셈이다. 이런 추억은 또다시 아들에게로, 조카들에게로 남아 행복한 한 순간을 떠올리게 만들 것이다.
구리 료헤이. 발음이 엉키기 쉬운 작가 이름을 가만히 불러보았다. 나이 지긋하신 분이니 굉장한 실례이겠으나 이렇게 멋진 동화를 쓰신 분이라면 이름만 불러도 용서해주실 것 같은 묘한 착각이 든다. 비단 <우동 한 그릇>뿐만 아니라 <산타클로스가 된 소년>이나 <켄보우의 행진곡이 들려온다> <하얀 카네이션> 등 모든 작품이 짧지만 강렬한 여운을 지녔다. 두고두고 보아도 좋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