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운 순난앵 열린어린이 창작동화 13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지음, 홍재웅 옮김, 일론 비클란드 그림 / 열린어린이 / 2010년 4월
평점 :
품절


우리에겐 <내 이름은 삐삐 롱스타킹>으로 잘 알려진 스웨덴 작가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그녀의 작품을 굉장히 좋아하는 지라 신간이 나왔다는 소식을 듣고 반가운 마음에, 2002년에 돌아가신 그분이 새로운 책을 쓸 리가 없다는 걸 잠시 잊고 덥석 장바구니에 집어넣었던 <그리운 순난앵>.

 

 사실 이 작품은 1959년에 쓴 작품이라고 한다. 가난하고 힘겨웠던 1900년대 스웨덴의 모습이 고스란히 녹아 있는 책인데 솔직히 말하면 내가 그동안 좋아했던 <라스무스와 폰투스>나 <사자왕 형제> <에밀은 사고 뭉치>와는 너무나 달라서 같은 작가의 작품이 맞는 걸까 하고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들었다.

 

 힘들었던 시절이라도 과거를 회상할 때는 누구나 입가에 미소가 피어오르고 눈가는 그 순간을 더듬느라 먼 곳을 헤매는 표정이 되는 것처럼 이 책 역시 작가가 그리는 먼 옛날이야기이다. 소박함과 정겨움은 잔뜩 들어있지만 강렬하고 힘찬 이야기 전개가 사라져서 전체적으로 흐물흐물한 느낌이 들었다.

 

 순난앵이란 스웨덴에 실제로 있는 마을 이름이기도 하지만 ‘순난’은 스웨덴어로 ‘남쪽의’ 혹은 ‘남쪽으로부터 오는’ 또는 ‘남쪽에서 불어오는 바람’ 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앵’은 잔디와 풀이 많이 나 있는 풀밭 혹은 목초지, 초원을 가리키는 말이다. 그러므로 ‘남쪽의 푸른 초원’이나 ‘따스한 바람이 부는 남쪽 풀밭’ 을 떠올리는 말이라고 한다.

 

 마치 ‘무릉도원’을 연상시키는 ‘순난앵’은 그래서 더 정겹게 느껴지긴 하지만 전설이나 설화와 그다지 다를 것 없는 이야기는 솔직히 실망스러웠다. 내가 많은 걸 기대했던 모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