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작고한 이청준(사진)씨는 1965년 등단 이래 40여 년을 한결같은 보폭과 열정으로 소설 쓰기의 외길을 걸어 온 장인적 작가였다.

지난 2003년 완간된 ‘이청준 문학전집’ 전24종 25권에다 그 뒤 추가된 장편 및 창작집 5권을 합해 무려 30권의 소설이 그의 이름으로 한국 문학사에 등재되었다. 한때 문단에서 유행했던 대하소설을 쓰지 않았고 긴 장편이라고 해도 두 권짜리였던 점을 감안하면 놀라운 생산력이라 할 만하다.

물론 이청준 문학 세계의 놀라움이 양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등단 이후 한눈 팔거나 게으름 피우지 않고 그는 끊임없이 새로운 이야기와 주제를 탐색했다. 그의 대표작인 장편 <당신들의 천국>에서 추구했던 유토피아의 가능성 및 자유와 사랑의 변증법을 비롯해, 정치적 질곡과 해방, 한으로 대표되는 전통 정서, 예술적 장인의 세계, 그리고 분단의 역사와 신화적 상상력 등을 그는 두루 문학적 도전의 대상으로 삼았다. 그의 친구이자 문학적 반려와도 같았던 평론가 김현은 이처럼 다채로운 그의 문학 세계를 ‘부정의 세계를 부정하려는 부정성을 간직하고 있는 부정의 세계’라는 까다로운 말로 요약한 바 있다. 강인한 부정의 정신이 이청준 소설의 핵심을 이룬다는 뜻이겠다.

이청준 소설의 밑바탕에 깔려 있는 것은 유년기와 성장기의 가난 체험에서 비롯된 부끄러움과 복수심이라 할 수 있다. 소설 <지배와 해방>의 한 작중인물의 입을 빌려 작가는 이렇게 말한다: “문학 욕망은 애초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질서와의 싸움에서 패배한 자가 그 패배의 상처로부터 자신을 구해내기 위한 위로와 그를 패배시킨 현실을 자기 이념의 질서로 거꾸로 지배해 나가려는 강한 복수심에서 비롯된다.” 극심한 가난이 초래한 한과 눈물겨운 모성의 풍경은 대표 단편 <눈길>에 아름답게 그려져 있다. 영화 <서편제>의 원작 소설 역시 남도 소리를 한의 승화라는 관점에서 형상화했다.

창작집 <소문의 벽> 후기에서 밝힌대로 그의 문학 작업은 “애초에는 자기구제의 한 몸짓으로서 출발되었”음이 분명하다. 그러나 그렇게 해서 씌어진 소설이 작가 개인 차원의 위안과 구원에 그치지 않고 더 넓은 의미와 가치를 확보한다는 데에 문학적 화학작용의 신비가 있다. 이청준 소설이 보편적 맥락을 획득하는 데에는 4·19 세대로서의 세대 감각이 큰 구실을 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4·19에 이어 곧바로 겪은 5·16의 체험을 두고 “삶에서 어떤 정신 세계가 열렸다가 갑자기 닫혀 버린 것”이라고 표현했다. 유신체제와 새마을운동에 대한 알레고리로도 읽을 수 있는 <당신들의 천국>을 비롯해 중편 <잔인한 도시>와 같은 1970년대 작품에서 집중적으로 다루어진 정치적 억압과 자유를 향한 몸부림 사이의 길항은 4·19 세대로서 그의 정체성과 무관하지 않다.

광주에서 중등학교를 다닌 그에게 80년 5월 광주학살은 또 다른 문학적 도전의 대상으로 다가왔다. 그 자신 중편 <비화밀교>를 가리켜 “광주 사태를 염두에 두고 쓴 소설”이라고 술회한 바도 있지만, 이창동 감독의 영화 <밀양>으로 재탄생한 단편 <벌레 이야기> 역시 광주학살에 대한 알레고리로 읽힐 소지가 다분하다. 그런가 하면 단편 <흰철쭉>과 중편 <가해자의 얼굴>, 그리고 장편 <흰옷> 등에서 그는 민족의 근원적 한이라 할 분단과 통일의 문제를 다뤘다. 중편 <이어도>와 단편 <해변 아리랑> 및 <선학동 나그네> 등에서 보이는 신화적 상상력 역시 이청준 소설의 뚜렷한 한 축을 형성한다.


그의 생전 마지막 저서가 된 지난해 11월의 소설집 <그곳을 다시 잊어야 했다>에는 <씌어지지 않은 인물들의 종주먹질>이라는 ‘에세이 소설’이 들어 있거니와, 소설로 씌어지길 기다리며 그의 내부에서 작가를 향해 종주먹질을 해 대던 숱한 인물들을 채 거두지 못하고 작가 이청준은 멀고 먼 길을 떠났다.


최재봉 문학전문기자 bong@hani.co.kr (한겨레, 2008년 8월 1일)

*********

약속이나 한 듯 모두들 세상을 떠나시는구나.

박경리 선생님도, 권정생 선생님도, 이번엔 이청준 선생님까지..

지금쯤 모두들 모여서 담소하고 계실까?

부디..세 분 모두 천국에서 쉬실 수 있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