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제목 : 인생의 역사 '공무도하가'에서 '사랑의 발명'까지
◎ 지은이 : 신형철
◎ 펴낸곳 : 난다
◎ 2022년 10월 31일, 초판 1쇄, 326쪽
◎ 내 마음대로 별점 : ★★★★
평론하는 글이라면 고개를 외로 꼬고 질색하는 표정을 짓는 게 보통의 경우일 텐데도 그의 글이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는 이유가 뭘까? 아마도 사유가 살아 있으면서도 아름답게 빛나는 문장들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시나 소설을 써도 엄청난 작품이 될 것 같은 그의 글을, 이가 다 닳아 없어지고 잇몸만 남은 사람처럼 조금씩 침으로 녹여 오래도록 우물거렸다.
그는 시화詩話 라고 명명한 이 책에서 「공무도하가」, 「욥기」, 에밀리 디킨슨의 시 두 편, 에이드리언 리치 「강간」, 최승자 「20년 후에, 지芝에게」, 윌리엄 셰익스피어 「소네트 73」, 라이너 마리아 릴케 「두이노 비가」, 이영광 「사랑의 발명」, 나희덕 「허공 한줌」, 메리 올리버 「기러기」, 김시습 「나는 누구인가」, W. H. 오든 「장례식블루스」, 황동규 「홀로움은 환해진 외로움이니」, 윌리스 스티븐스 「아이스크림의 황제」, 한강 「서시」, 고대 그리스의 서정시 두 편, 윤동주 「사랑스런 추억」, 황지우 「나는 너다 44」, 밥 딜런 「시대는 변하고 있다」, 신동엽 「산문시 1」, 레이먼드 카버 「발사체」, 김수영 「봄밤」, 필립 라킨 「나날들」, 로버트 프로스트 「가지 않은 길」, 박준 「우리가 함께 장마를 볼 수도 있겠습니다」 등의 시를 다루고 있다.
이 책은 2016년 한겨레에 '신형철의 격주시화'에 연재되었던 것들과 연관된 글 몇 개, 새로 쓴 프롤로그, 고쳐 쓴 에필로그를 더해 만들어졌다. '인생은 불쌍한 것이지만 그래서 고귀한 것이라고 (못) 말하는 아주 작은 사람, 그런 그가 기루어서 나는 이 책을 엮는다.' (9쪽) 막 태어나 '기룬'이라는 이름을 얻게 된 아들, 한용운의 '님의 침묵'에 등장하는 그 말 '님만 님이 아니라 기룬(그리운) 것은 다 님이다'에서 이름을 차용한 아들 때문에 이 책을 엮게 되었다는 이 부분이 정겹다.
김연수의 소설집이 아니었더라면 스쳐지났을 이름 ' 메리 올리버'를 여기에서 다시 만나니 반갑고, 레이먼드 카버가 시도 썼구나 (이런 무식한!) 하고 놀라고, 여태까지 내 나름으로 시를 해석하며 읽었다 생각했건만 어쩌면 이렇게도 다 어려운지 그의 설명이 없었더라면 제대로 이해를 할 수 있었을까?
대부분의 시는 내가 즐겨 보는, 혹은 좋아하는 것들은 아니어서 내 곤궁한 취향에 대해 낙담하였으나 말할 거리, 생각할 거리들을 찾자면 이렇게 시대를 담은 시들이 필요하겠다 싶었고 그것으로 내 취향의 정당성을 다시 취득했다고 혼자 또 기뻐했다. 쯧쯧. 어쨌든 그가 조곤조곤 풀어주는 이야기를 듣다보면 내 취향이 아닌 것들도 갑자기 친근하게 여겨지니 이런 것이 신형철의 힘이다.
책 속에 낑겨 도착한 엽서에는 이렇게 써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