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한 아이 - 무엇으로도 가둘 수 없었던 소녀의 이야기
모드 쥘리앵 지음, 윤진 옮김 / 복복서가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영하 때문이었다. 그의 아내와 함께 만든 출판사가 내놓은 첫 작품이라고 했다.

일단 그의 안목을 믿기로 했다.

'무엇으로도 가둘 수 없는 소녀 이야기'라는 부제는 순간적으로 '야생'을 스치게 했으나,

제목 자체는 플로렌스 하이드의 ≪줄어드는 아이≫가 겹쳤다.

https://blog.naver.com/wall612/80098060495

잡아당기는 듯한 숲속으로부터 빨간 옷을 입은 소녀가 뛰어나오는 표지 그림이 불길하다.


그리고 또 하나 지은이 소개글 (평소에는 잘 인용하지 않지만 이번에는 꼭 필요하므로)



이것으로 완벽한 흥미유발 성공이다.

이 책은 자신의 이야기를 담담하게 해나가는 모드 쥘리앵의 에세이지만

도저히 있으면 안 되는 이야기이기에 끝까지 소설로 장르를 바꿔 읽어야만 했다.

어린 시절 그 역시 아버지에게 선택되어 대학까지 마쳤지만 그 모든 것은

남편이 된 그 남자에게 자식을 낳아주고 그 자식에게 교육을 시키기 위한 것이었음에도

끝까지 자식을 사랑할 줄 몰랐던 그 어머니조차 이런 말로 아이를 겁주기 일쑤다.

네가 거짓말을 하면 난 곧바로 알 수 있어.

내일 아침 네 아버지가 죽어있을 테니까

193쪽

아버지란 사람은 또 이런다.

즐거움을 누리는 것은 중대한 과오다. (84쪽)

오염된 인간들이 절대 너를 건드릴 수 없다는 게 얼마나 큰 행운인지 알아야 한다

(37쪽)

그래서 모드는 방에 난방은 꿈도 못 꾸고, 캄캄한 지하실에 홀로 남아 쥐들이 돌아다니는 걸 견뎌야 하고, 밥도 15분 안에 급하게 먹어야 하고, 안 맞는 구두라도 1년 내내 신어야 하며, 기계체조를 배우고, 싫은 악기들을 배우고, 잘 씻지도 못하고, 읽고 싶은 책도 마음대로 못 읽으며, 아침마다 제일 먼저 일어나 어머니와 아버지를 깨우고, 아버지가 소변을 볼 때 병을 드는 시중도 들어야 했고, '6시에 일어나서 밤 11시 30분에 잠자리에 들 때까지 하루 일과를 빈틈없이 정확히 지켜야(96쪽)' 했다.

이 모든 것들은 프리메이슨이었던 아버지가 성전 건축 책임자였던 히람의 환생이라고 믿는 데서 출발한다.

히람의 죽음은 나에게도 절망을 안겼다. 그가 비겁한 동료들에게 배반 당해서 죽지 않았더라면 아버지는 정상적인 삶을 살았을 테고, 그러면 나도 세상을 구원하라는 내 능력 밖의 임무를 맡지 않았을 것 아닌가

179쪽

따뜻한 말 한 마디, 포옹 한 번이 그리운 아이에게 그나마 위안이 되는 것은 집에서 키우던 동물들이다. 린다라는 개와, 아르튀르라는 말, 망아지 페리소, 우연히 돌봐준 비둘기, 오리들..그들이 있어 그녀는 죽음의 유혹에서 벗어날 수 있었노라고 고백한다. 그리고 몰래 보던 책들 (아홉 살 나이에 읽은 니체의 『짜라투스투라는 이렇게 말했다』가 재미있었다고 하는 그녀의 말이 충격적이었지만)은 숨 쉴 구멍을 마련해주었다.

무엇보다, 그녀를 구원해준 건 역시 몰랭 선생님이라고 할 수 있다. 됭케르크에서 제일 좋은 악기점을 운영했던 몰랭 씨가 중형그랜드 피아노를 사려는 아버지의 부탁으로 집에 왔을 때부터 모드의 앞날이 밝아지기 시작했다. 한 눈에 사정을 짐작한 그로 인해 모드는 비로소 음악에 취할 수 있었고 시내에 나가 사람들과 어울릴 수도, 마침내 악몽같은 집에서 탈출할 수 있었으니까.

결혼도 하고 아이도 낳았지만 과거는 수면 위로 올라와 끈질기게 그녀를 괴롭힌다.

나에게는 과거를 돌아볼 시간이 없었고, 되풀이할 시간은 더더욱 없었다. 하지만 한참이 지난 뒤, 내 안에 남아 있던 두려움들이 결국 나를 장악해버렸다. 더이상 유년기의 상처를 외면할 수 없게 된 것이다.

315쪽

보이는 상처는 치료가 쉽다. 괜찮게 보이지만 내부에서 곪은 이런 상처는 쉽게 치유되지 않는다는 걸 우리는 안다. 그러면서도 사랑하는 이들에게, 가까운 이들에게 상처를 주는 말을 서슴지 않고 해댄다. 따뜻한 말 한 마디가, 다정한 포옹이, 잘 들어주는 태도면 된다는 것 역시 알면서도 안 한다. 특히, 아이들에게는 이러지 말자.

그 어떤 출구도 보이지 않는 곳에서, 철저히 혼자가 되어 갇혀 있다고 느끼는

모든 이들에게 이 책을 권하고 싶다.

김영하 추천의 말 중에서 1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