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서운 심리학 - 심리학이 파놓은 치명적인 함정 9가지
스즈키 고타로 지음, 홍성민 옮김 / 뜨인돌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늑대인간에 관한 얘기를 들은 적이 있다.
인도에 사는 두 아이를 동네 사람들이 늑대굴에서 발견했는데
그 아이들은 늑대처럼 네발로 뛰고 늑대처럼 울부짖었다.
그들은 싱목사에 의해 길러졌지만
끝내 지적 능력을 획득하지 못한 채 각각 1년, 9년을 더 살다 죽었고,
이 사건은 아이들 양육에 있어서 인간의 보살핌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두고두고 회자됐다.
하지만 스즈키 고타로가 쓴 <무서운 심리학>에 의하면 그 사건은 구라 그 자체.
실제로 이 책에 실린 사진들은 의문스러운 점이 한두가지가 아니다.
특히 두 아이의 눈이 어둠 속에서 파랗게 빛났고, 어두울수록 더 잘 봤다는 싱 목사의 일기라든지
새의 내장을 먹고 있는 사진이랄지 네발로 달리는 모습은 조작의 티가 너무 뚜렷해 웃음만 나온다.
늑대인간의 사례는 인간의 보살핌이 중요하다는 증거가 아니라
어떤 획기적인 주장이든지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근거로 삼아야 할 것 같다.
스물두살 때, 동물원에서 늑대를 관리하는 아르바이트를 하던 생각이 난다.
처음에는 무서워서 우리 안에 들어가기조차 꺼려했지만
나중에는 친해져 머리를 쓰다듬기도 했는데,
그런 걸 보면 야생이란 무엇인지, 휴머니즘이란 또 무엇인지 한참을 생각해야 했다.
사람들은 늑대에 대해 많은 편견을 갖고 있다.
밝은 달이 뜨면 언덕에 올라 “오오오~” 하고 운다든지,
죽은 고기는 먹지 않는다든지.
‘말인간’ ‘사자인간’은 없는데 늑대인간에 대한 전설은 여럿 있다는 것부터가
늑대에 대한 묘한 편견을 드러내 준다.
같이 일했던 관리사에 따르면 그런 전설을 만드는 이유는 사람들의 탐욕과 이기심이랬다.
늑대털로 목도리를 뜨고 방한복을 만든다는 건 다들 알 것이다.
늑대가 좀 나쁜놈이어야 그런 짓을 해도 덜 미안하다는 것,
그것이 늑대인간의 전설을 만든 이유라는 것이다.
남자는 곧잘 늑대에 비유된다.
호시탐탐 여자만을 노리는 그 속성 때문에 그런 비유가 만들어졌을텐데,
늑대는 결코 그런 동물이 아니다.
늑대의 맑고 큰 눈을 봤다면 늑대를 그렇게 미워하지 못할 것이다.
늑대굴로 돌아가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