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만 보는 바보 ㅣ 진경문고 6
안소영 지음 / 보림 / 2005년 11월
평점 :
시간을 나눈다는 것은, 반드시 얼굴을 마주 대하고 있는 사람들끼리만 할 수 있는 일은 아니다. 옛사람들로부터 나는, 그들의 시간을 나누어 받기도 한다. 옛사람들이 살아온 시간이 오롯이 담겨 있는 책들, 그들의 발자취가 고스란히 묻어 있는 산과 들을. 내 안에 스며있는 그 시간들을 느낄 때면 나는 그들과 이야기를 주고 받는다. (......) 오랜 세월이 흐른다 하더라도 누군가 나의 마음 속에 스며들어와 나의 진심을 이해할 수 있을 때, 우리는 서로 시간을 나눌 수 있다. 옛사람과 우리가, 우리와 먼 훗날 사람들이, 그렇게 서로 나누며 이어지는 시간들 속에서 함께하는 벗이 되리라.
책 속에서 이 글을 읽고 난 고개를 갸웃거렸다. 옛사람들과 시간을 나누고 서로의 마음속에 스며드는 일을 난 생각도 해보지 못했다는 생각이 들어서였다. 특히나 우리 역사 안에서 고요히 빛나고 있는 옛사람들은 만나기가 쉽지 않았다. 왜그랬을까..
생각해보니 홍대용이나 연암 박지원, 박제가, 이덕무 등등의 사람들을 교과서의 메마르고 딱딱한 글귀로만 소개받았던 것 같다. 요즘들어 역사서적이 많이 출판되고 있지만 아이들에게 사준 역사서적 안에서도 역사적 사건들 속에 파묻혀 사람 하나하나와 마음을 나누기에는 턱없이 모자란 감이 없지 않았다.
지은이 안소영씨는 어떻게 이런 글을 쓸 생각을 했을까. 참 예쁘고 고운 사람이다.
푸른 달빛을 받아 더욱 하얗게 빛나는 백탑 아래서 친구와 스승으로 만나는 소중하고 빛고운 인연들의 이야기가 도포자락 살랑살랑 날리며 걷는 선비의 걸음처럼 서두르는 법 없이 조용하게 펼쳐진다. 서자라는 운명으로 제 뜻을 펼치지 못하는 아픔과 자식에게 그 아픈운명을 대물림해야 한다는 현실에 힘들어하는 이덕무와 박제가, 유득공, 백동수의 처지가 유난히 크게 다가왔다. 그래도 서로서로
"하늘아래 가장 고귀한 우정은 가난할 때의 사귐이라 합니다. 벗과의 사귐은 술잔을 앞에 두고 무릎을 맞대고 앉거나 손을 잡는 데에만 있지 않습니다. 차마 말하고 싶지 않은 것도 저절로 말하게 되는 것, 여기에 벗과의 진정한 사귐이 있습니다. " 라고 위로하고 의지하는 벗이 되어주고 있었기에 덜 절망스러웠을 것이다.
그런 아픈 운명의 굴레 안에 있었기에 백성의 아픔을 이해했고 백성의 아픔을 알기에 실학자가 될 수 밖에 없었던 것일게다. 그나마 정조의 시대에 벼슬의 길로 들어서게 되었으니 그들의 한 평생이 위로받지 않았을까. 버림받은 운명같았던 삶에서 자기의 존재를 인정받는 기쁨은 그들에게 너무나 큰 것이었을 것이다.
빛을 보지 않아도 좋다. 버려진 물건처럼 이리저리 구르던 우리들의 삷도 이제 쓰일 데가 있다는 것이 감격스럽기만 했다. 규장각 서고에 가득한 책들 속에서 좀벌레로 늙어 간다고 해도, 이 세상 어딘가에 나의 자리가 있다면 기꺼이 받아들일 수 있었다. 뽀얗게 쌓인 먼지를 털어내고 세상의 빛을 향해 나온 책들처럼, 벗들과 나의 시대는 그렇게 새롭게 열리고 있었다.
좀벌레로 늙어가도 좋으니 인정받아 기쁘다는 조선시대 책만보는 바보들이 일으킨 새로운 물결은 정조시대로만 끝난 게 아닐 것이다.
새로운 물결은 한 번 일어나기는 어렵지만 일단 새 물결이 일고 나면 그 파장은 멀리, 그리고 오래 가는 법이므로 우리가 사는 오늘날의 이 시대가 그들의 영향 밖에 있다고 감히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읽고 나면 향긋한 묵향에 온전히 마음을 적신 듯한 느낌이다. 새로운 옛사람을 또 만나고 싶다. 매화향도 맡고 싶고 옛사람들의 땀내음도 맡고 싶다.
또한 내 친구들이 보고싶어 진다. 세상사에 바쁘다고 늘 뒷전에 앉혀두었던 23년지기 내 친구들.. 결혼이나 아기 돌잔치, 집들이나 집안 경조사 때나 겨우겨우 얼굴을 볼 수 있는 내 친구들. 내가 그들과 진정한 사귐을 하고나 있는 건지.. 한번 친구들을 불러 밥이라도 한 끼 먹어야겠다. 친구들 눈빛도 찬찬히 들여다 보고 웃을 때 입가에 지는 주름도 내 것인양 바라봐야지. 함께 할 시간들이 아직 남아있음을 고마워하면서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