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마스는 조용히 지나갔다.
옆지기는 일 때문에 부산에 갔다가 크리스마스 새벽에 산타처럼 조용히 들어왔다.
크리스마스 이브날 밤에 잠든 막내 머리맡에 선물을 놔주고, 또 이렇게 한 해가 가는구나 싶어서 뒤숭숭.
이불 속에 들어가서 <감각의 박물학>을 읽다가, 들어오는 옆지기랑 몇 마디 나누고 나서야 잠이 들었다.
아무래도 <감각의 박물학>을 읽는 도중에 해가 바뀔 것 같다.
이 해를 보내며, 새해를 맞으며 읽는 책이 되겠구나.
이브에 문학교실 마지막 쫑파티를 했다. 명색이 '문학교실'인데 그 이름에 걸맞는 이벤트가 뭐가 있을까 고민하다가 우리집에 있는 책들 중에 몇 권 골라서 책나눔 이벤트를 했다. 도서관 곳곳에 쪽지를 숨겨두고 보물찾기처럼 쪽지를 찾아오면, 쪽지에 적힌 숫자에 해당하는 책을 선물로 주었는데, 역시 아이들은 책 선물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게다가 시즌이 시즌인만큼 아이들은 학원에서, 학교에서, 교회에서 열리는 마켓데이며 파티에 참석하느라 스케줄이 바빴다.
문학교실 쫑파티 하는 날에도 영어학원에서 파티를 마치고 온 아이, 문학교실 파티 끝나면 교회 파티에 갈 아이, 이미 선물을 가방 가득 받아서 들고 온 아이.. 준비한 피자도 과자도 음료도 과일도.. 시큰둥.. 아이들은 이제 파티도 시시하다.
얘들은 무슨 재미로 사나.... 싶었는데, 그래도 종알종알 이야기를 하고, 가위바위보 몇 번에 즐거워하고, 실뜨기 대결을 벌이며 으쓱해 하고, 찾아온 보물쪽지 모아서 번갈아 다시 숨겨놓고 찾는 놀이를 하며 진지하게 집중했다.(나눠줄 보물도 다 떨어졌는데!!)
문학교실 과정을 다 끝내고 나면 속이 시원하고 개운할 것 같았는데, 막상 끝내고 돌아오는 길은 그리 신 나지 않았다. 나름 신경쓰고 준비한 파티가 재미있지 않아서 속상했었던 것 같기도 하고, 파티가 끝나고 나서 아이들과 마무리 인사를 제대로 나누지 못한 게 아쉬웠던 것 같기도 하다.
책을 많이 갖고 있는 알라딘 서재의 장서가 분들에 비하면 우리집에는 책이 많다고 볼 수는 없는데, 그런데도, 요즘 집에 있는 책들이 마음에 거슬리기 시작했다. 한동안 책 사들이기에 여념이 없던 시기가 있었고, 그러다가 책에 대한 욕심을 덜어내야 겠다는 결심을 하면서 도서관을 이용했다. 요즘은 장바구니에 욕심나는 책들을 잔뜩 담아놓고서 마지막 순간 '주문하기'를 클릭하기 전 잠시 멈춤, 결국 책들을 장바구니에 담아둔 채 결제를 며칠 미루게 된다. 그렇게 며칠 미루다가 결국 주문하는 책도 있지만 대부분의 책들은 보관함으로 옮겨지거나, 도서관에서 빌려 읽게 되거나, 삭제를 당하기도 한다. 덕분에 책이 더 늘어나지는 않았지만, 가끔 집에 있는 책들을 가만히 둘러보고 있노라면... 뭐랄까.. 좀 부끄럽다. 욕심에 사두고는 읽지 않은 책들이 태반인데, 그 태반의 책들이, 읽고 싶은 욕심에 산 책들이 분명한데도 더이상 매력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내가 이 책을 왜 샀지?'하는 의구심이 솟아나는 책들도 여러 권 된다. 새해에는 책장을 정리해서 작고 간소하고 소박하고 단출한 서가를 만들어 보려고 한다. 책을 소비하고 소유하는 나의 태도가 변한 것과 맞물려 내가 책을 왜 읽는지에 대한 의문도 마음 한 켠에 자리잡게 되었다. '왜' 읽는지에 대한 의문은 앞으로 책을 어떻게 읽을 건지에 대한 고민도 불러왔다.
얼마 전에 도서관에 갔을 때, 한 손에 분홍색 텀블러를 들고 서가의 책들을 유심히 살펴보는 은발의 할머니를 보았다. 서가 옆 책상에는 짙은 갈색 목도리를 두르고 회색 헌팅캡을 쓰신 은발의 할아버지가 조용히 책장을 넘기고 있었다. 도서관 문을 연지 얼마 안된 이른 시간이었다. 아마도 노부부는 아침을 먹고 서둘러 설거지를 끝내고 나서 함께 집을 나섰겠지, 오늘은 날씨가 추우니 감기 걸리지 않게 잊지말고 목도리 둘러요, 준비하는데 뭐 그렇게 오래 걸려, 퉁명스럽게 한 마디씩 주고 받았을지도 모르지, 도서관까지 오면서 말 한마디 하지 않고 묵묵하게 걸어왔는지도. 그래도 그 노부부의 모습이 참 아름다웠다.
우리 부부로 말하자면, 할머니 할아버지가 되어도 함께 도서관에 갈 일은 없을 게 뻔하다. 옆지기는 책보다는 TV를 좋아하고, 나는 도서관에서 책을 읽는 것보다 집에서 읽는 걸 더 좋아하니까. 그래도 도서관에서 본 노부부의 모습은 인상적이었다. 책을 평생의 친구로 삼고 있는 사람의 모습이라서 그랬던 것 같다. 할머니 할아버지가 책을 읽는 모습이 흔하게 볼 수 있는 익숙한 풍경이 되었으면 좋겠다. 내가 그렇게 늙어갔으면 좋겠고.
예전에는 책을 읽는 목적이 여러 가지였다면, 이제 여러 목적들을 털어내 버리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