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클라라와 태양
가즈오 이시구로 지음, 홍한별 옮김 / 민음사 / 2021년 3월
평점 :
사랑하는 딸과
아들에게 보내는 독서편지
0.
일본계 영국인으로 2017년 노벨문학상을 받은 가즈오 이시구로의 <클라라와 태양>을 읽었단다. 노벨문학상 수상한 이후 그의 첫 번째 작품으로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졌던 소설이고, 기대를 져버리지 않은 작품이라고들 이야기했던 작품이란다. 아빠는
가즈오 이시구로 작품은 <나를 보내지 마> 이후
두 번째 작품이란다.
<클라라와 태양>이라는
소설은 인공지능을 가진 로봇이 등장하는 이야기란 걸 읽기 전에 알고 있었단다. 어떻게 이야기를 꾸려나갈까
기대를 하면 책을 펼쳤단다. 가즈오 이시구로의 작품을 많이 읽어보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나를 보내지 마>도 그렇고 <클라라와 태양>도 그렇고 가까운 미래에 일어난 법한 이야기를
잘 만들어낸 것 같더구나. 그러면서 인간이란 무엇인가? 라는
생각거리를 던져주고, 인공지능 로봇이 등장했을 때의 윤리적인 문제, 로봇의
권리 등은 어떻게 하면 좋은지에 대한 생각거리도 던져 주었단다.
아빠는 이번에 읽은 <클라라와 태양>이 <나를 보내지 마>보다
더 좋았단다. 그리고 <클라라와 태양>을 읽으면서, 천선란 님의
<천 개의 파랑>이라는 소설도 많이 떠 올랐단다. 그 소설도 인공지능 로봇이 등장하는 세상을 다뤄서 그랬던 것 같구나. 아빠는 <천 개의 파랑>이 좀 더 좋았단다. 따뜻하니 더 사람 냄새는…
1.
클라라는 AF라고 부르는 인공지능 로봇으로 가게 진열되어 주인을 기다리고
있단다. AF는 Artificial Friend 의 약자이니
인공 로봇 친구쯤 생각하면 될 것 같구나. 친구도 인공로봇이 대신해주는 그런 시대인가? 클라라는 AF의 B2 모델로
최신 모델은 아니었어.. 최신모델은 B3까지 나와 있었지. 클라라는 한창 동안 주인을 만나지 못했다가 조시라는 하는 소녀가 샀단다.
조시는 엄마 크리시, 가정부 멜라니아와 함께 살고 있었어. 아빠는 이혼해서 같이 안 살고, 언니 샐이 있었는데 어렸을 때 죽었단다. 이 시대 아이들은 아이들의 재능이나 지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임의로 ‘향상’이라는 조치를 취했어. 그런데 그것이 몸이 허약해지고 자주 아프게
되는 부작용이 있었단다. 그래서 부모들은 망설이기도 하지만, 자식들의
경쟁력을 업그레이드시키기 위해서 그 조치를 하게 된단다. 소설의 분위기 상 조시의 언니 샐이 그 부작용으로
그만 죽고 만 것 같았어. 그렇다면 둘째는 안 할 것 같은데, 조시의
엄마 크리시는 조시에게도 또 ‘향상’ 조치를 했단다.
대부분의 아이들이 ‘향상’ 조치를
하고, 교류 모임을 갖더라도 그런 아이들만 모였단다. 그런데
조시에서도 부작용이 나타나서 몸이 허약하고 자주 아팠단다. 물론 이런 조치를 안 하는 극소수의 사람들도
있단다. 조시의 이웃집 친구 릭도 그런 사람들 중에 하나야. AF나
‘향상’에는 관심이 없는 릭. 순수한 인간이라고 할까. 릭은 ‘향상’을 한 조시를 안타깝게 생각했어.
이런 조시가 클라라를 선택을 한 것이란다. 조시는 천성이 착했어. 클라라가 인공지능 로봇이지만, 장난감 대하듯 하는 것이 아니고 사람
대하듯 해주었단다.
….
엄마들이 마련한 친구들의 정기 교류 모임이 있었는데, 조시는 릭도
초대했어. 릭은 어렸을 때부터 친한 친구였으니까. 그런데
릭도 꺼림칙했고, 교류 모임에 참석한 다른 친구들도 릭을 탐탁지 않게 생각했어. 릭은 ‘향상’을 하지
않았으니까 말이야. 다른 친구들은 조시와 달리 AF를 장난감
다루듯이 했어. 클라라를 보고 조롱하기도 했고, 지난 모델이라면서
멸시하기도 했어.
이것이 이 소설에서 그리는 가까운 미래의 모습이란다. 임의의 조치로
재능이나 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인간성이 점점 사라지는 모습이 유토피아보다는 디스토피아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구나.
2.
일요일을 맞이하여 조시의 제안으로 다 같이 모건이라고 하는 폭포 구경을 가기로 했어. 클라라가 집에 와서 제대로 된 외출을 한 적도 없어서 말이야. 그런데
조시가 몸이 갑자기 더 안 좋아져서 엄마는 조시에게 못 가게 했어. 그리고 엄마는 클라라와 단 둘이
다녀와도 되는지 물어봤어. 클라라에게 외출을 시켜주기 위한 목적도 있었으니까 말이야. 조시가 반대를 할 수 없었지.
엄마와 클라라 단둘이 폭포에 다녀왔단다. 조시의 엄마와 클라라는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었어. 조시의 엄마는 무척 외로워 보였어. 조시마저
‘향상’의 부작용으로 몸이 허약하니 죄책감도 있는 것 같고, 조시가 죽으면 어쩌나 걱정하기도 했어. 그걸 견딜 수 없을 것 같아서, 조시의 엄마는 조시가 죽으면 클라라가 조시를 대신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 것 같아. 그래서 클라라에게 조시의 걷는 모양도 배우게 하고, 조시의 모든
것을 배우라고 했어. 음, 그랬다고 그 상실감을 채울 수
있을 지…
클라라는 조시가 몸이 좋지 않다는 생각에 조시를 회복시키려는 노력을 했어. 자신이
알고 있는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서… 그리고 클라라는 한 가지 믿음이 있었단다. 태양에서 나오는 자양분이 죽어가는 생명도 되살릴 수 있다는 믿음. 그래서
햇빛을 클라라 방에 비추게 하려고 이런 저런 노력도 했어.
….
조시가 아파서 병석에 있으면서도 가끔 시내에서 가서 초상화를 그리곤 했단다. 클라라가
온 이후 초상화를 그리러 갈 때 클라라도 동행을 했고, 조시의 아빠 폴도 동생을 했단다. 폴은 이혼해서 따로 떨어져 살고 가끔씩 조시를 만나는 것 같았어. 조시의
엄마와 아빠는 조시의 초상화를 그리는 것을 두고 심한 말다툼을 하기도 했단다. 왜 싸우나 했더니 그
초상화를 그리는 목적 때문이었단다. 초상화가 일반적인 초상화가 아니고
3D로 그리는 초상화인데, 이는 조시가 죽은 다음에 클라라가 조시를 대신할 수 있게 하는
조치였던 거야. 그러니까 조시의 엄마는 이미 조시를 거의 포기한 상태이고, 조시의 아빠는 그런 엄마를 인정할 수 없던 거지.
그에 비해 클라라는 여전히 조시를 살리려는 노력을 했단다. 시내에
있는 먼지를 만드는 기계가 햇빛을 방해한다고 생각해서 그 먼지를 만드는 기계를 고장내기로 했어. 그런데
그 먼지를 만드는 기계를 고장내기 위해서는 클라라 자신의 두뇌에 있는 액체 절반을 써야 한다고 했는데, 그
위험까지 무릅쓰고 먼지를 만드는 기계를 고장 냈단다. 하지만, 클라라는
몰랐어. 그 기계가 한 개가 아니라는 걸.. 그러니까 큰
효과를 낼 수 없었지.
클라라는 태양에 대한 믿음은 절대적이었어. 클라라는 조시의 방에 햇빛이
많이 들어오도록 블라인드를 최대한 열어두었고, 멀리 창고에 거울을 이용하여 햇빛이 조시의 방으로 들어오게도
했어. 이런 노력들 때문인지 다른 요인 때문인지 모르겠지만, 조시는
몸이 많이 좋아져서 회복했단다. 그리고 원하는 대학도 갈 수 있게 되었어. 클라라가 무척 뿌듯했겠구나.
….
시간이 흐르고 클라라는 AF들이 모여 있는 창고 같은 곳에서 있었어. 옛 가게의 매니저가 찾아와서 재회를 하게 된단다. 구형 모델의 클라라의
삶은 그렇게 마무리되는 거 보구나. 소설은 이렇게 끝이 났단다. 어느
정도 예상이 되었지만, 굳이 클라라를 버렸어야 했나 싶구나. 조시가
집에 방문하게 되면 반갑게 맞아줄 수도 있고, 엄마의 벗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은데 말이야.
클라라는 비록 인공지능 로봇이지만 사람보다 더 따뜻한 마음을 가지고 있었단다.
그리고 자신의 경험을 하지고 학습하는 능력도 가지고 있단다. 그렇다면 클라는 사람인가? 아닌가? 육체는 사람과 다르지만,
영혼은 더 사람답다.. 사람의 기준을 삼을 때 육체로 삼아야 하나? 마음이나 영혼으로 삼아야 하나… 세상은 점점 삭막해지고, 지구 환경이 점점 살기 어려워져도 인간의 따뜻한 본 모습을 잊지 말고 살아가자꾸나.
PS:
책의 첫 문장: 로사와 내가 세상에 나온 지 얼마 안 되었을 때 우리는
매장 중앙부 잡지 테이블 쪽에 있었는데, 그 자리에서도 창문이 절반 넘게 보였다.
책의 끝 문장: 그러더니 다시 가던 길을 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