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허태구} 병자호란
이후 청나라는 조선을 통제하고 압박하는 수단으로 심양에 볼모로 와 있던 소현세자를 활용합니다. 인조가
말을 안 들으면 왕위 교체론을 들먹이면서 인조를 긴장시키죠. 인조는 삼전도에서 항복하면서 반정의 명분을
스스로 허물지 않았습니까? 이런 상황이었기 때문에 광해군을 몰아낸 친명배금(親明排金)이라는 명분으로 누군가가 다시 반정, 즉 쿠데타를 일으켜도 하등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었죠. 게다가 소현세자의
장인, 즉 강빈의 친정아버지 강석기가 척화파의 지지와 신망을 받았습니다. 정치적 구도가 이렇게 짜인 이상 부자간의 정이 아무리 애틋했다고 하더라도 인조와 소현세자의 관계는 아주 작은
불씨와 오해에도 큰 분란으로 악화될 소지가 다분히 있었죠.
(47)
(그날) 훌륭한
리더였다는 희망을 버리고 싶지 않았던 거죠. 지금까지 했던 얘기를 종합해 보면 볼모를 자처했던 희생정신, 용골대에게 호통친 담력, 서양의 과학과 문물을 받아들이는 개방성, 거기다가 사업 수완까지 있네요. 그래서 ‘소현세자가 왕이 되고, 봉림대군이 뒤에서 무(武)를 좀 키워서 받쳐 줬다면 지금 우리가 아는 조선보다는 좀 나은
조선이 되지 않았을까?’하는 생각이 듭니다.
(99)
(박금수) 전투
결과를 보면 러시아군의 배는 총 11척 중 7척이 불에 탑니다. 그리고 러시아 지휘관 스테파노프를 포함해서 총 220여 명이 전사합니다. 조청 연합군의 피해는 전사 120여 명인데, 그중 조선군 전사자는 총 8명밖에 안 되는 일방적인 결과였고요. 이상으로 2차 나선정벌의 전투 경과보고를 마칩니다.
(112)
(계승범) 조선
측 전사자가 생기지 않습니까? 그래서 신유가 거의 분노하다시피 하면서 일기를 쓴 게 나오는데, 원래는 원거리에서 불화살을 쏴서 적의 함선을 일단 불태우고 그다음에 소통하러 가려 했습니다. 그런데 청나라 총사령관이 러시아 함선에 적재되어 있을 값나가는 물건들이 아깝다면서 불태우지 말고 배 위에 올라가서
러시아군을 직접 제압하라고 지시하죠. 그러니까 청나라 군대와 같이 움직이던 조선권도 선종에 있던 부대가
근접전을 벌이다가 전사자가 많이 생기고요. 신유가 그걸 보고 저 장수의 탐욕만 없었으면 죽지 않았을
우리 병사가 죽었다며 울분을 토합니다.
(161)
(신동주) 그렇죠. 대동법이 시행되면서 세금을 다 쌀로 바치니까 국가에 필요한 물품을 직접 제작해야 할 필요가 생깁니다. 그러다 보니 수공업과 상업이 발달하면서 유통경제가 발달하죠. 또한
유통 과정에서는 당연히 화폐가 필요합니다. 이런 방면에서 김육은 선구적 모습을 보였죠. 십전통보라는 화폐를 주조해서 유통하려 했고, 수차도 보급하는 등
개혁적이고 실용적인 성과가 상당히 많아요. 이런 내용을 보면 ‘어? 조선 후기 실학자의 모습 아니야?’라는 생각이 탁 들잖아요. 보통 실학자들은 재야의 약자들이에요. 정치권에서 소외되었던 사람들인데, 김육은 영의정까지 맡으면서 최고 핵심의 자리에서 실용적이고 개혁적인 여러 가지 정책을 시행했다는 점에서 세상에
미쳤던 효과가 훨씬 더 컸다는 점을 주목해야 해요.
(164)
조선의 왕 중에서 정통성으로 가장 우위에 있는 왕은 누구일까?
스물일곱 명의 조선 왕 중에서 적장자는 문종과 단종, 연산군, 인종, 현종, 숙종, 순종으로 총 일곱 명이다. 그리고 적장자 출신의 왕 중에서 가장
존재감이 있는 왕은 현종과 명성왕후의 외아들로 태어난 숙종이다. 숙종이 즉위했을 당시 조선은 중기부터
시작된 당쟁이 절정에 오른 시기였고, 그만큼 신하들의 위상이 컸다. 그러나
열네 살이라는 어린 나이에 왕이 되었지만, 숙종은 결코 신권에 휘둘리지 않았다. 오히려 정통성을 바탕으로 강력한 왕권을 행사해 나가는 왕의 모습을 보였다.
(191)
(노대환) 숙종은
기본적으로 왕권을 강화한다는 것이 본인의 지상 과제입니다. 그래서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남인과 손을
잡든 서인과 손을 잡든, 아니면 자신의 외척과 손을 잡든 문제가 아닙니다. 숙종은 상대방을 견제할 수 있다면 어느 세력과도 손을 잡을 수 있죠. 그런데
남인이 결정적으로 발목을 잡힌 이유는 “우리 이제 북벌하자. 북벌하려면
새로운 군사 기구가 필요하지 않겠냐.”라며 도체찰사부라는 것을 만들자고 주장합니다. 그런데 이게 괘씸하게 보인 거죠. ‘이 녀석들이 병권까지 도전하는구나.’ 이건 숙종에게 못마땅한 것이니 어떻게 보면 남인 스스로 발목을 잡힌 거죠.
(247-248)
(최태성) 조선이
건국되고 난 뒤인 15세기를 이끌었던 세력이 훈구파였죠. 이
훈구파가 16세기에 사람에 의해서 물러납니다. 그리고 사림은
인사권을 놓고 동인과 서인으로 분당되는데, 이후 정여립 모반 사건과 정철의 건저의 같은 사건이 일어나면서
동인이 정권을 잡습니다. 그런데 동인도 서인을 어떻게 처리할 것이냐를 놓고 강경파인 북인과 온건파인
남인으로 나뉩니다. 여러분도 잘 아시겠지만, 북인이 광해군과
연결되었잖아요. 그래서 광해군이 인조반정으로 실각하면서 북인도 몰락합니다. 이제 남은 건 남인과 서인이죠. 현종 때의 예송 논쟁과 숙종 때의
환국 정치를 거치면서 이 두 세력이 충돌하는데, 최종적인 승자는 바로 서인이었습니다. 마찬가지로 서인도 남인을 어떻게 처리할 것이냐에 따라서 강경파인 노론과 온건파인 소론으로 나뉘는데, 노론을 이끌던 대표적 인물이 바로 송시열이었고, 소론을 이끌던 인물이
윤증이었습니다. 이후 이들은 왕위 계승과 관련해서 또 다시 부딪히는데,
노론은 영조를 지지하고, 소론은 경종을 지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