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아침 홍성으로부터 봄이 전송되었다. 은빛 솜털이 후광처럼 빛나는 꽃이다. 이런 빛깔의 봄 앞에서 내 언어는 초라하기 짝이 없다.

여기저기서 꽃소식이 전해지는데 한편에선 부고가 다투어 세 개나 날아들었다. 겨우 30분 남짓한 시간이었다. 가고 오는 것의 유한함이 사무치는 날이다.
사람들이 꽃놀이 가는 걸 이해할 수 없었다. 물론 그러면서도 나는 뜬금없이 차를 몰아 과천 미술관 가는 길의 벚꽃그늘을 둘러보거나 하르르 하르르 지는 꽃잎아래서 넋을 놓곤 했다.
올해는 아주 마음먹고 꽃을 맞으러 가기로 했다. 백련사 동백은 피지도 않은 것이 누군가의 객혈처럼 멍울져 있었다. 봉오리만 점점이 박혀있는 동백을 뒤로 두고 다산의 족적을 따라 백련사에서 다산초당으로 오솔길을 걸었다.
산청의 매화를 보러 가던 날은 찬비가 차창을 심하게 두드렸다. 그 빗줄기가 매화의 꽃모가지를 다 꺾지나 않을까 염려스러웠지만 雨中梅花를 생각하면서 기대도 컸다. 산청에는 삼매가 있다. 원정공 하즙의 원정매, 통정공 강회백의 정당매, 남명 조식이 수식한 남명매를 산청삼매라 한다. 남명매가 수령 400년을 넘었고 나머지는 600년을 넘겼다.
일찍이 청나라 사람 궁몽인은 《독서기수략讀書紀數略》에서 네 가지 매화를 귀히 여기고 있다.
귀함불귀개(貴含不貴開) 꽃망울은 머금고 있는 것을 귀하게 치고 활짝 핀 것은 귀하게 치지 않는다. 귀희불귀번(貴稀不貴繁) 꽃은 드문드문 핀 것을 귀하게 여기고 번잡하게 핀 것은 귀히 여기지 않는다. 귀로불귀눈(貴老不貴嫩) 나무는 늙은 것을 귀히 여기고 어린 것은 귀히 여기지 않는다. 귀수불귀비(貴瘦不貴肥) 가지는 마른 것을 귀히 여기고 살진 것은 귀히 여기지 않는다.

남명 조식 선생이 심었다는 남명매다. 위의 네 가지를 모두 만족시키는 자태다. 그런데 빗물에 매향이 다 녹아 내렸는지 향기가 나지 않았다. 가지를 살며시 흔들면 그야말로 가느다란 향기가 코끝에 닿을듯 말듯 했다. 아쉬운 마음에 고목 주위를 빙 눌러보는데 그런 내가 가여웠던걸까. 남명매는 그 귀한 향기를 희미하게 흘려주었다. 마치 영혼을 긋고 가는 향기의 메스라고 해야할까. 참으로 야릇하게도 이런 때는 갈증이 심하다. 아무런 죄의식도 없이.......
단속사지 뒤쪽에 있는 정당매는 초라했다. 골다공증에 걸린 다리를 씨멘트로 채우고 있어 안타까웠다. 하지만 더 안타까웠던 것은 그 귀함을 초라하게 만드는 나무 아래의 쓰레기들이었다. 남명매와 참으로 비교되는 모습이다. 남명매가 늙었으나 정갈한 마님같다면 정당매는 그 마님의 시중을 들면서 늙은 삼월이 같았다. 그러나 어느 누구도 돌보지 않는 가운데 자신의 본분을 잊지 않았다는 듯 그 늙고 투박한 등걸에는 분첩같은 꽃을 피웠다.
원정매는 본가지는 고사하고 옆으로 작은 가지 하나가 삐져나와 홍매를 피웠다. 꽃피우는 일이 난산인듯 보여 오래 보기가 힘겨웠다.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그루누이처럼 향기에 굶주린 나는 멀찍이 떨어져 핀 어린 가지의 꽃모가지를 기어이 비틀고야 말았다. 봉우리가 벙글지 않은 세 송이를 몽돌을 쥐듯 동그란 주먹 안에 감추고 나와 몰래 흡입했다. 두어 번 흡입을 하고 나니 그제서야 갈증이 좀 가시는 듯 했다. 가방에 있던 책 속에 매화와 향기를 가두어 두었다.

이 향기 코끝에 스치면 그대는 내게 물을 것이다.
어찌 이리 향기로운가라고.
나의 대답은 질문이다.
그것이 단지 향기 때문이겠습니까?
그리고 나는 시린 내 왼손을 내밀겠다.
거기 생명선에 못다한 내 말이 고여있을 것이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