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장 읽기 시작!




이 분야는 1880년대부터 제1차 세계대전 발발까지의 시기를 중심으로 대중 민주주의와 대중 소비문화라는 커다란 두 흐름 속에서 제국주의를 둘러싼 여론의 형성과 선전의 효과에 초점을 맞춘다." 중심부 사람들의 생활과 의식구조 속에 제국을 <실재화(實在化)시킨 다양한 경로를 주목하는 것이다. - P189

그 가운데 특히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제국주의의 
선전과 전파는 크게 두 방향에서 논의되어왔다. 
하나는 중. 상류층 자제를 대상으로 하는 퍼블릭 스쿨의 교육 과정에 제국주의가 어떻게 침투했는가를 알아보는 연구로, 퍼블릭 스쿨의 교육이 궁극적으로 제국의 리더가 될 인재의 양성에 목표를 두고 있었음을 강조한다.  - P189

한편 다른 연구 경향은 퍼블릭 스쿨 교육에서 시행되었던 교육 이념이 사회 저변으로 확대되어가는 것을 주목한다. 이 분야의 연구들은 19세기 말에
퍼블릭 스쿨의 가치들이 중간계급을 넘어 노동계급 상층에 침투하고 퍼블릭 스쿨의 언어가 전국적으로, 나아가 제국의 언어로 부상하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최근의 학계 동향은 후자의 논의를 발전시키며 20세기 전후로 급성장하는 사회단체의 역할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노동자 계급이 주축을 이룬 <프림로즈 동맹>을 위시하여 엘리트 중심의<제국연방동맹>,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보이스카우트> 등 각양각층의 사회단체들이 제국주의의 선전에 중추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이런 시각의 저변에는 많은 사회단체가 지향한 정신적 가치들이 곧퍼블릭 스쿨에서 가르쳐온 것으로, 그것이 곧 공립학교의 교육에 도입되고 이후 여러 단체와 조직에 도입되었다는 가정이 깔려 있다. - P190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25-01-16 07:5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우어어어 진도 많이 나가셨네요!
저는 왜이렇게 시작하지 못하고 다른 책만 건드리고 있죠? ㅋㅋㅋㅋㅋ

은하수 2025-01-16 08:49   좋아요 0 | URL
읽으면서 드는 생각이지만..
우리가 지금 머릿 속에 박힌 가부장제하의 남녀역할이 다 인위적으로 만들어지고 강요된거란 생각에 참... 맘이 착잡합니다.
다음세대를 생각하게 되네요^^
시작하면 금방입니다.~~
어여 들어오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