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부| 아기를 퍼가다
- 5장| 전지전능한 존재들
여기서 전지전능한 존재들이란 아기를 입양보내는 교육을 받고 현장에 투입된 어리고 젊은 사회복지사를 비롯한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을 말한다.
˝1945 년에서 1973 년 사이 150만명 이상의 백인 미혼모들은 교회, 미혼모시설, 입양기관, 공공사회복지 제도의 거짓되고, 비윤리적이며, 강압적인 방식에 의해 갓 낳은 아기를 포기하고 입양을 보내야했다.˝(p24)
‘서문‘부터 시작되는 이 책의 첫 문장이 이러하다.
아기를 낳은 엄마 스스로의 결정이 아니라 강압적인 방식에 의해 아기를 빼앗겼다는 것이 무엇보다 가슴 아픈 일이 아닐 수 없다.
여기에는 대학에서 입양 교육을 받고 현장에 대거 투입되었던 입양 복지사들의 역할이 가장 컸다고 할 수 있는데, 이들은 입양 과정에서 자신들이 휘두른 권력이 무엇인지 잘 이해하고 있었다.
이들의 목소리는 작가가 연도별로 수집했던 자료들에 여실히 드러나 있다. 이들은 아기 입양 결정에 책임있는 사람은 누구든 ˝전지전능한 역할을 한다˝고 하거나 누군가를 ˝구원하려는˝ 열정으로 포장하였으며, 이는 타인에게 일어난 곤란한 일을 처리하고 만족감을 느끼는 숨겨진 권력에 대한 욕망을 반영한 것일 수 있을 것이다.
1970년 초반 입양 지침서에 따르면, 미혼모의 친권이 자발적으로 포기되었든, 법적으로 박탈되었든, 입양 기관은 미혼모 자녀의 친권을 이전할 권리를 가지고 있었다. 단 아동에 대한 권리를 이전할 때 친부모의 동의가 필요했다(Child WelfareLeague of America 1971). 하지만 현실은 달랐다. 아동에 대한 권리 이전 과정에는 권력이 작동하고 있었다. 즉 미혼모에게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입양 기관은 사회적 힘을 표상했다. 입양전문가들인 펄먼은 이 점을 잘 인식하고 있었다.
[핵심은 ... 조력자여야 하는 사회복지사는 변화를 주도하는 주체가 되고, 자기 결정권을 가져야 하는 클라이언트는 변화되는 대상이 되고, 둘 사이에 마땅히 있어야 할 타협은 권력의 조작으로 변했다는 점이다. (Perlman 1971: 100)] - P76
1970년대 후반에 이르면 입양 상담사와 미혼모 사이에 생길 수 있는 긴장감을 다룬 연구가 등장한다. 예를 들면 치담은 미혼모의 의존 정도와 입양 복지사가 가진 권력, 권한과 영향력에 의해 긴장은 심화될 수 있는 점을 지적하며, 상담사들은 선입견과 편견에 솔직해질 것과 모든 결정을 미혼모 스스로가 내릴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위기에 처한 사람은 평소보다 더 의존적인 경향이 있으므로 외부의 영향에 더욱 취약하다. 이는 상담사가 클라이언트에게 어떤 행동 방침을 제안할 때 신중해야 함을 의미한다. 클라이언트는 상담사의 제안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심각하게 생각할 경황이 없으므로 최선이라고 하니 그냥 받아들이자고 생각하기 쉽기 때문이다. ・・・ 일시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상황을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은 비윤리적이다. . 왜냐하면, 사람들은 쫓기듯 내린 결정을 후회하는 경향이 있으며, 자신이 어떤 결정도 할 수 없는 상황에 모욕감을 느끼기 때문이다. 그리고 결정은 클라이언트의 전 생애 동안 영향을 끼칠 것이기 때문에 입양 상담사는 반드시 클라이언트가 스스로 결정을 내리도록 도와야 한다. (Cheetham 1977)] - P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