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친구들과 안동여행 가는 날~~~
카니발 렌트해서 친구들이 우리 집 방향으로 달려오고 있다. 오랜만에 화장도 하고 짐도 싸서 준비를 마치고 친구들 기다리며 잠시 독서 중...
고래를 생각하는 시간이다.
여행하는 동안엔 고래를 잊겠지만
이승우 작가의 《고요한 읽기》 일단 챙겨간다^^
읽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포경의 후유증은 육상과 수상 환경에 큰 변화를 불러왔다. 그런데 이제 우리는 그것이 지구의 대기도 바꿔 놓았음을 알게 되었다. 2010년대 중반에 호주 플린더스 대학의 과학자들이 놀라운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그들은 깊이 잠수할 수 있어서 서식 반경이 심해까지 미치는 향고래 같은 고래의 활동이 전 세계 대기질의 구성에 크게 영향을미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고 했다. 후속 연구에서는 혹등고래도 그러하다고 밝혔다. - P97
(1) 연구자들이 그 이유를 밝혔다. 고래는 심해에서 오징어와 크릴을먹고 배설을 해서 영양 ‘펌프‘ 구실을 한다. 얕은 바다로 올라와 오렌지 색깔의 길고 북슬북슬한 배설물을 굴뚝 연기처럼 뿜어낸다. 이런방식으로 거대 고래는 심해에서 정체되어 있거나 느리게 이동하는 수많은 유기 물질을 더 빠르게 유동하는 유광층 (광합성이 가능한 수심150~200미터의 표층수, 식물 플랑크톤이 살 수 있는 곳이다-옮긴이) 위로 이동시킨다. (고래는 높은 압력 때문에 신체 기능 일부를 차단해야 하므로 심해에서는 배설을 앓는 것으로 보인다.) - P97
(2)철분이 고갈된 차가운 바닷물에서는 먹이 사슬의 하부에 있는 단세포 유기체와 작은 식물이 먹을 영양소가부족하다. 그런 곳에서 고래의 배설물은 특히 플랑크톤 번성의 결정적 기폭제가 된다. 고래의 수직 하강과 상승도, 성운을 통과하는 다크에너지가 그 꼬리에 우주 먼지를 달고 다니듯, 심해 유기물을 휘저어요란하게 이동시킨다. 그런 요동을 전문 용어로 밀도 간 혼합이라 한다. 이 과정에서 더 많은 식물이 더 많은 빛에 노출되고 더 많은 광합성과 성장이 가능해진다. - P97
(3) 이 플랑크톤들은 지구적 규모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한다. 동물성 플랑크톤과 물고기 애벌레가 이 플랑크톤들을 먹고 배설하면 그것이 미세하게 분해되어 해저로 눈 내리듯 흩뿌려져 가라앉는다. (그래서 바다눈이라 한다.) 플랑크톤의 유해는 대기 중 탄소를 끌고 가서 바다 바닥에 안착한다. 그 위로 더 많은 침전물 부스러기가 쌓이면 실트가 되어 그 아래에 묻힌 탄소를 압착하여 오랜 세월 봉쇄한다. - P98
(4) 이런 플랑크톤 순환의 메커니즘이 화석 연료를 태워 배출된 이산화탄소 총량의 절반가량을 흡수하여 처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열대 우림과 모든 육상의 식물이 흡수량을 합한 것보다 더 크다. 고래낙하도 이와 비슷하게 탄소를 바다 아래로 끌고 간다. 40톤의 고래 사체는 평균적으로 2톤 정도의 탄소를 해저로 옮긴다. 그 정도의 탄소를다른 방식으로 해저에 쌓으려면 2천 년이 걸린다. 숲이 기후 조절의역할을 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이제 동물도 그럴 수 있음이 드러났다. 고래 한 마리는 탄소 흡수에서 1천 그루 이상의 나무보다 더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디언>의 조지 몬비오는 고래를 ‘부작용 없는 탄소 포집기‘라고 불렀다. - P9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