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 운명 1》
세계 제2차 대전의 전환점이 된 스탈린그라드 전투에 종군기자로 참전한 경험이 이 책 전반에
녹아있음을 알 수 있다. 직접 보고 경험하지 않았다면 결코 알 수 없었을 전쟁의 실상이 문장마다 가득하다.
전쟁조차도 아름답고 웅장하게 만들어버린 바실리 그로스만의 역작을 읽는 기쁨을 맘껏 누리고 있다.

11
연기와 화염으로 다른 사람들에게서 유리되고 굉음으로 귀가 먹먹해진 병사의 직관이 참모부가 지도 앞에서 도출한 전투의 전체적 결말에 대한 판단보다 더 진실에 가까운 경우가 종종 있다. - P59

놀라운 변화와 함께 전투는 전환의 순간을 맞는다. 공격하던 병사가 마침내 목표 지점에 다다라 멍한 상태에서 주위를 돌아보다가, 자신과 함께 목표를 향해 나아오던 이들이 더이상 보이지 않음을, 그동안 내내 혼자이고 나약하고 바보 같아 보이기만 했던 적병이 이제는 다수이며 따라서 자신이 대항할 수 없음을 깨닫는다.  - P60

그 상황 속에 있는 이에게는 너무도 분명한 이 전환의 순간, 멀리서 이를 보고 예견하고 이해하려 애쓰는 사람으로서는 결코 알 수도,설명할 수도 없는 이 순간에 지각에 깊은 변화가 일어난다. 
용감하고 현명한 ‘우리‘는 소심하고 허약한 ‘나‘로 바뀌고, 운 나쁜 사냥감으로만 여겨지던 적은 끔찍하고 위협적인, 뭉쳐진 ‘그들‘로 변모하는 것이다. - P60

성공적으로 저항을 제압하며 나아온 이 병사에게 그때껏 전투의 모든 사건은 각각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것들이었다. 포탄의 폭발도, 기관총 연발사격도 그랬다. 이제 저자가 엄폐물 뒤에서 총을 쏘네, 지금 달아나는구나, 달아나지 않을 수 없지. 그는 혼자이고,기관총과 단절되어 있고,
 그의 옆에서 역시나 단절된 채 총을 쏘는 병사와도 단절되어 있으니까.  - P60

하지만 나, 나는 우리지, 나는 거대한 공격으로 나아가는 보병대 전체야, 나는 나를 지지하는 포병부대야, 나, 나는 나를 지지하는 전차들이야, 나는 우리 공동의 전투를 비춰주는 조명탄이야. 그랬는데 이제 갑작스러운 공격으로 나는 혼자가 되고, 서로 분리되어 나약하기만 했던 모든 것들이 적의 소총과 기관총과 대포의 화염이라는 무시무시한 단합체로 바뀐 것이다. 이렇게 하나가 된 적은 이미 무적이다. 살아남을 길은 달아나는 것, 머리를 감추고 어깨와 이마와 턱을 가린 채 내달리는 것밖에 없다. - P60

한편 밤의 어둠 속에서 기습을 당해 무력감과
 고립감만을 느끼던 이들은 이제 자신들을 파괴한 적의 단합체를 분쇄하고 자신들만의 단합체를, 승리의 힘을 품은 자신들 고유의 단합체를 느끼기시작한다.
종종 전쟁을 예술이라 부를 권리를 부여하는 근거는 바로 이러한 변환을 이해하는 데 있다.
이 고립과 단합의 감각 속에, 고립의 의식으로부터 단합의 의식으로 향하는 이 변환 속에 중대들과 대대들이 감행하는 야간 돌격만이 아니라 전쟁을 치르는 군 전체와 국민 모두의 승패 여부가 달려 있는 것이다. - P61

전투의 참가자들에게 거의 완전히 잊히는 하나의 감각이 있다면 그것은 시간 감각이다. 새해맞이 무도회에서 아침까지 춤을 춘 소녀는 그 시간이 빨리 갔는지 아니면 천천히 흘렀는지 묻는 질문에 아무런 대답도 내놓지 못한다. 또 실리셀부르그 정치범 감옥에 스물다섯해 동안 감금되었던 사람의 소회는 어떤가. "감옥에서영원을 보낸 것 같네. 하지만 동시에 몇주 잠깐 살았던 것도 같아."
- P6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