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섬
쥴퓌 리바넬리 지음, 오진혁 옮김 / 호밀밭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터키의 행동하는 양심 쥴피 리바넬리의 <마지막 섬>을 2024년의 첫 책으로 읽었다. 세상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섬은 작품 속의 화자인 '소설가'가 말하길 '마지막 은신처, 마지막 남은 인간적인 자투리땅'이라고 표현하는 유토피아였다. 결국 오래가지 못했고 낙원과 같았던 섬은 디스토피아로 막을 내리고 말지만. 


처음에 작은 하나를 내어주었지만 그것이 점점 커져 결국 아무것도 남지 않을 때까지 권력의 탐욕스러운 칼날은 멈추지 않는다는 것을 우리는 처음엔 알지 못한다. 아무도 승리하지 못하리라는 것을, 작은 것에 굴복했던 우리들, 독재자와 그에 동조했던 사람들 모두 결국엔 그들이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한다. 


     "우리는 굴복해서 패배했다. 점차 수위를 높여가던 권력의 폭압이 얼마나 더 극에 달할 수 있는지 예상하지 못했기에 패배했다. 그 나무들이 잘려 나갔을 때, 그리고 구멍가게 아들이 얻어맞았을 때, 우리는 우리의 목소리를 냈어야 했다. 저항했어야 했다. 우리는 그러지 않았다. 전 대통령이 시도했던 모든 것들을 너무나 순진하게 받아들였다. 하지만 갈매기들은 저항했고, 타협하지 않았기에 승리했다." (286쪽)


     "인간은 저항한다는 정의를 망각한 것, 이기주의, 예측 부재, 외면, 독재에 굴복, 작은 것에 대한 탐닉과 같은 죄의 대가를 치르고 있다. 이 글은 우리 일상에서의 작은 굴복들이 만들어낸 작은 원죄들에 관한 이야기이다." (286쪽)   



1960년, 1980년 두 번의 군사 쿠데타가 일어났던 터키의 상황은 우리와 많이 닮아 있다. 친이슬람 정당의 집권과 군부의 통제는 이에 맞서고자 하는 터키 국민들의 저항을 강하게 억압했고, 저항 세력은 미약했다. 그 가운데서 쥴피 리바넬리는 독재에 저항하였다. 군 형무소에 투옥되기도 하였고 해외로의 도피와 망명 시간도 길었다. 그의 경험들은 그의 여러 작품에도 투영되어 있고 <마지막 섬> 역시 마찬가지이다. 작가는 군부 독재 정권 뿐만 아니라 친이슬람 독재 정권에서도 자신의 신념을 굽히지 않는다. 민주주의라는 이름으로 자행되고 있는 억압적인 독재 정권을 그냥 두고 볼 수만은 없었다.


모든 결정이 민주적인 절차에 의하여 결정이 내려졌다고 하지만 결국은 독재자의 뜻대로 모든 것이 이루어지는 작품의 줄거리를 보면서 오늘 내가 오랜만에 영화관 가서 보고 온 영화 "서울의 봄"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었다. 영화를 꼭 봐야겠다는 생각을 하지 않았는데 <마지막 섬>을 읽다 보면 '전前 대통령'으로 표현되는 권력자의 모습에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그 "전前 전全대통령"이라는 인물을 떠올리지 않을 수가 없었다. 영화 속 그 사람이 원하는 방향과 작품 속 '전 대통령'의 모습은 동전의 양면처럼 한 몸으로 보이기까지 한다. 


작가는 우리가 익히 들어 왔던 '다수가 정의다 '라는 말의 당위성?을 부정하고, '민주주의'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다수의 독재' 라는 말로 대답한다. 정말로 민주적인 권력이 되려면 다수의 민주주의가 아니라 다원주의에 바탕을 두어야 하고, 권력분립이 완벽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말한다. 완벽한 권력분립이 과연 가능한가. 터키에서의 사정도 그렇지만 지금 우리의 상황을 봐도 그것이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우리 모두는 알고 있다. 한 번 권력을 잡은 자는 그 권력에 중독이 되고 다시 권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억압적인 방식으로 나아갈 수 있을 뿐이고, 자신들이 주도한 '무력 선전' 방식으로 인해 스스로 무덤을 파게 되는 독재의 딜레마에 빠지게 된다. 


<마지막 섬>에서는 모두가 패하고 오로지 갈매기들만이 '저항했고, 타협하지 않았기에' 승리한 암울한 상황이 벌어진다. 작품에서 '소설가'는 말한다. "사실 어딘가에 악이 존재한다면, 그곳에 있는 모든 사람에게는 조금씩의 책임이 있는 거야."(172쪽)라고. '소설가'의 이 말에 동의한다면, 우리에게 온갖 정신적, 물리적 폭력을 행하던 독재자들은 결국 우리가 방관하고 물러서고 타협했기 때문에 생겨난 것이다. "저항하는 것은 고귀한 것"이고 희생이 따르지만 저항했기에 승리할 수 있었다고 말한다. 서서히 독재자의 자리를 차지한 자들에게 처음부터 '아니오'라고 말해야 한다. 저항함으로써 승리를 쟁취한 갈매기들처럼!


<마지막 섬>은 독재자의 권력에 저항하지 못하고 동조함으로써 모두가 패배하는 극단의 상황이 우리와 너무 닮아 있어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 더 많았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마지막 섬'은 특정 국가에 한하는 이야기는 아닐 것이다. 우리가 무시하고 관심을 끊고 진저리를 치면서 감시를 게을리하는 사이에 수많은 진실들은 묻혀버릴 것이고,  결과적으로 그들에게 동조하는 꼴이 되지는 않을까 걱정이 된다. 내가 관심을 기울이고 감시의 눈길을 번뜩이고 있는 것이 무슨 도움이 될까 싶지만, 오늘도 나는 뉴스를 보며 핏대를 올린다. 쉽게 굴복하고 싶지 않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