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부에서의 우체국 아가씨

ㅡ크리스티네는 다시 우체국 아가씨로 돌아온 자신과 주변 사람들, 상황들을 받아들이기 힘들고 결국 무기력해진 채 무작정 빈으로의 주말 여행을 감행한다.
그곳에서 돌아오기 전 언니네 가족을 방문하고 우연히 형부의 옛 전우를 만난다.

그의 이름은 페르디난트
전쟁(제 1차 대전)이 끝나 체코와 오스트리아 국경에서 고국으로 돌아오기를 기다리던 중 체코군이 철로를 폭파하는 바람에 다시 시베리아로 돌아가야 했고, 볼셰비키와 차르 지지군(백군)의 내전에 휘말리기도 하고 죽을 고비를 넘기는 고생 끝에 적십자사의 노력으로 귀환한다. 귀환하던 중 압사할 것 같은 기차 안에서 겨우 버티다 손가락 힘줄이 끊어지고 손가락 두개가 기형적으로 굽는 몹시 비극적인 사고를 당한다. 이 손가락 때문에 건축설계를 하고 싶지만 할 수가 없었고 타자기도 칠수가 없어 일자리를 구하기 어려운 사태에 직면한다.
하지만 손가락 두개를 잃고 살아남았으니 운이 좋았다고. 사소한 부상일 뿐이라고 사람들은 말한다. 그는 이제 정부도 정부의 어떤 고위 관료도 믿지않는 사람이 되었다. 지극히 냉소적이고 비관적이며 현실적인 사람이 되었다.

그런데 이 페르디난트의 생각에 공감할 수밖에 없지 않나! 전쟁이 끝났는데도 2 년이나 남의 나라 내전에 휩쓸리고 돌아오지도 못하고 죽을 고비를 수없이 넘겼지만, 국가는 국민의 귀환도 관심없고 팽개쳐 두었다. 돌아와보니 국적회복도 되지 않는 상황에 직면하고 바뀐 정책에 대해 누구도 설명해 주지 않는다. 일을 할 수도 없다. 국가와 국민을 위해 목숨을 건 전쟁에서 돌아왔는데 말이다.


크리스티네가 전쟁으로 무엇을 잃어버렸는지 모르고 ˝치졸한 안락 속에 사는˝ 언니를 미워하게 된 것이 십분 이해된다.
크리스티네와 이 페르디난트는 어떻게 인연이 이어져 스토리 전개가 될지 자못 궁금해진다.





"아니야, 프란츠, 내가 자네를 비난하는 게 아니야. 자네가 얼마나 좋은 친구인지 잘 알고 있어. 자네는 할 수만 있다면 국립은행을 털어서라도 나를 장관으로 만들어 주고 싶겠지. 자네가 선량한 친구라는 것을 잘 알아.
하지만 그게 바로 우리의 잘못된 점이자 어리석었던 점이야. 우리는 너무 착하고, 의심할 줄도 몰랐어. 그래서 이용만 당했지.  - P293

하지만 나보다 더 불행한 사람들도 있다는 식의 이야기에는 앞으로 절대 안 속을 거야. 내가 아직 사지가 멀쩡하고 목발 없이도 돌아다닐 수 있으니 행복한 것 아니냐는 따위의 이야기에 설득당하지도 않을 거야. 숨 쉴 수 있고 먹을거리 있으면 충분하지 않냐는 이야기, 그 정도면 만사가 제대로 돌아가는 것 아니나는 이야기에 설득당하지도 않을 거야. 나는 아무것도믿지 않아, 신도, 국가도, 삶의 의미라는 것도 믿지 않아. - P293

내 권리를 보장받지 못한다면, 생존권을 보장받지 못한다면, 나는 아무것도 믿지 않을 거야. 그런 권리를 찾지못하는 한, 세상이 내 인생을 빼앗아 갔고 나를 속였다고 생각할 거야. 언젠가 진정한 삶을 살고 있다고 느낄때까지, 다른 사람들이 내다 버리거나 토해낸 찌꺼기를 먹고 있는 것은 아니라고 느낄 때까지 나는 계속 그렇게 할 거야. 이해할 수 있겠어?"
"이해할 수 있어요!"
사람들이 일제히 소리 나는 쪽을 바라보았다. 누군가 정열이 담긴 큰 목소리로 ‘이해할 수 있어요!‘라고 소리쳤다. 크리스티네는 사람들의 시선을 느끼자 얼굴이 붉어졌다. 여자는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자기도 이 남자와 똑같은 감정을 강하게 느끼고 있었다. 그래서 무심결에 그런 말이 튀어나왔던 것이다. 침묵이 흘렀다. - P29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