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웃집 프로파일러 하이다의 사건파일 1:
낙인 찍힌 아이> & 마이클 볼튼 공연 후기

정희진 샘 책 읽다가 잠시 머리 식힐 용도로 읽었는데 넘 재밌어서 순식간에 쓱싹 읽어버렸다. 어린이책인데다가 140여 남짓 적은 쪽수라 금방 읽긴 했다. 표창원 기획이라 그런가 작품에도 프로파일러 표소장이 등장하고 하이다와 정한새 두 어린이가 단서를 찾아 사건을 해결해 나가는 스토리이다. 1권이 ‘낙인 찍힌 아이‘인데
표소장의 추리칼럼이란 코너에서 ‘낙인이론‘이 무엇인지 그리고 낙인효과, 프로파일링에 대하여 간단하게나마 설명해 놓았다.
흠..2권이 궁금하네.
2권도 딸램에게 부탁해봐야겠다.

딸램은 21세기북스 아울북 아동마케터이다.
지난주 토요일 분당 잡월드에서 기획자인 표창원 강연이 있어서 왔을때 사인북을 챙겨 주었다. 내가 딸이 마케터로 이름 박힌 책 기념으로 갖고 싶다니 갖다준 것이다. ㅎㅎ
하필 아동마케팅팀이어서 좋다 말았다.
21세기 북스는 성인도서가 별로다.

그나저나 마이클 볼튼 콘서트는 사실 좀 심했다.
유미, 정홍일은 분명 게스트인데 공연은 15분이나 늦게 시작하고-나와 딸램이 10년 넘게 기아대책과 인연을 맺고 있는데 초청공연으로 갔었다-게스트 공연이 각 40분? 정도, 거기다 중간에 준비시간이 또 15-20분, 마이클 볼튼은 8시쯤 나와서 딱 1시간 공연하고 앵콜도 없이 끝났다. 게스트 공연이 두 시간 소요! 처음 경험한 신기방기한 사건!
그래두 마이클 볼튼 나이든 티는 났지만 노래는 그럭저럭 소소!
내가 언제 또 마이클 볼튼을 보겠냐 싶어 만족하기로...



낙인 이론이란?
사람은 누구나 실수나 잘못을 저지른다. 그러나 간혹 사회에서는 가난하거나 행동이 남다른 사람이 잘못을 저지르면 더 크게 혼내고 벌을 주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말썽꾸러기 혹은 나쁜사람등으로 ‘낙인‘이 찍히면 주위 사람들도 그를 의심하고 경계하게 된다. 결국 누가 했는지 모를 사건이 발생하면, 사람들은 ‘낙인찍힌 그 사람이 범인이라고 의심하거나 단정하고 그 사람을 처벌하는 일이 생기기도 한다. 이를 ‘사회적 낙인‘ 혹은 ‘1차 낙인‘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1차 낙인이 찍힌사람이 열심히 노력하고, 주변 사람의 도움을 받아서 낙인을 극복하고 벗는 경우도 많다. 이와 달리 낙인을 벗기 위해 노력해도 소용없다고 느껴, 스스로 ‘어차피 난 틀렸어.‘ ‘난 이미 찍혔어."라고받아들이기도 하는데, 이를 ‘자기 낙인‘, ‘2차 낙인‘이라고 한다. 이렇게 자기 낙인, 2차 낙인이 찍힌사람이 잘못을 저지르면 학교나 사회는 더 큰벌을 내리고, 그 결과 낙인찍힌 사람은 사회와 사람에 대한 반감을 더 키우게 된다. 결국 더 크고 나쁜 말썽을 저지르게 되는데, 이를 ‘일탈의 증폭 현상‘이라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