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오루가 본가에 가 있는 사이, 도쿄에 있던 나의 마음속에는 다큐멘터리 영화
감독으로서 뻔뻔한 구상이 스멀스멀 피어오르고있었다. 이미 오륙 년 전부터 제주4.3사건에 대해 이야기하는 어머니의 증언을 조금씩 촬영하면서 어떻게 영화로 만들지 고민하던 중이었다. 지금까지 한 번도 다루지 않았던 그 일에 대해 말해야만 데뷔작인 <디어 평양>을 겨우 마무리할 수 있을 것 같았다.
제주도에 뿌리를 둔 부모님이 한국을 부정하고 북한을 지지하며살아온, 논리적으로는 설명하기 힘든 이유가 거기 있을지 모른다고 직감했기 때문이다.
- P167

어머니와 카오루가 처음 만나는 순간은 
<수프와 이데올로기>에 나오는 그대로다. 어머니는 진심으로 카오루를 환영했고, 카오루는 존경을 담아 어머니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였다. 서로를 존중하는 두 사람의 하모니에서 캠코더를 들고 관찰하던 나는 배움을얻었다. 어머니가 직접 만든 닭 백숙이 훌륭한 중개 역할을 완수했다는 사실은 구태여 덧붙일 필요도 없다. - P170

오사카 집에 방문해서 환대를 받은 카오루는 어머니가 만든닭 백숙에 진심으로 감동했다. 다섯 시간이나 우려낸 수프(국물)의 맛도 맛이지만, 형식에 구애받지 않는 어머니의 따스한 응대에도 감격한 것 같았다. ‘미국 놈, 일본 놈은 안 돼!‘라는 돌아가신 아버지의 단호한 신념은 물론, 늘 아버지 의견이 우선인 어머니의 성정 또한 내게 들어서 익히 알고 있었다. 소금을 뿌리시면 어쩌나,
김치를 던지실지도 모르겠다며 농담 섞인 불안을 내비쳤으니 그만큼 긴장했을 것이다. 그는 어머니가 웃으며 환대를 해주셨다고무척이나 기뻐했다. - P171

카오루는 어머니의 웃는 얼굴에서도 홀로 사는 이의 외로움을 감지했다. 만나지 못하는 가족들 대신 가족사진에 둘러싸여 사는 어머니가 안됐다고, 자신이 네 번째 아들이 되겠다고 시간을 내서 오사카를 오갔다. - P172

어머니와 카오루가 테이블에 마주 앉아 함께 장을 봐온 마늘껍질을 벗기면서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 모습을 목격했을 때, 이 장면이 작품의 핵심이 되리라 확신했다. 이데올로기가 달라 서로 탓하고 싸우고 죽이는 세상에서, 이데올로기가 다른 사람들이 새로운 가족이 되어 함께 밥을 해서 나눠 먹는다는 사실이 무척 숭고하게 느껴졌다. 생각이나 가치관이 달라도 같이 살 수 있다는 것을 어머니와 카오투가 증명해주는 것만 같았다.

--이래서 영화의 제목이
<수프와 이데올로기> 인가보다.
요즘 이 영화가 상영되고 있긴한데, 보고 싶지만...
상영관도 멀고 시간 맞추기도 너무 힘들다. - P174

오사카에 가기 전 재일코리안의 역사와 제주4.3사건에 관한 책을 탐독한 그의 적확한 질문에 어머니는점점 적극적으로 자신에 대해 털어놓았다. 시간이 가는 것도 잊고어린 시절부터 이야기하던 어머니는 제주4.3사건에 대해서도 말하게 되었다. 기억의 뚜껑이 열리는 소리가 들리는 듯했다. 그 안에는 오랜 세월 봉인해온 기억, 말하면 죽을지도 모른다고 두려워할 만큼 비장한 기억도 있었다. 가슴속 깊숙한 곳에 묻어두고 무거운 돌을 여럿 올려두었던 기억의 뚜껑을 카오루와 내가 조금씩 조금씩 움직이는 것 같았다.
가족이란 혈연이 다가 아니라는 사실을 절절히 믿게 되었다.
서로 이해하려는 노력이 있어야, 기능하는 관계성이 있어야 집합체가 비로소 가족이 되는 건지도 모른다. 이해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기억을 공유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비록 당사자는 될 수 없지만, 타인의 삶을 완전히 이해하기란 불가능하지만, 적어도 윤곽정도는 앍고 싶다는 겸손한 노력 말이다. 그러기 위해 알고자 하는 것이다. 사건과 사실을, 감정과 감상을, 그리고 말할 수 없는 상상과 망상까지도. - P175

사랑하는 내 동생 영희에게.
놀라지 말고 들으렴. 건오 형이 죽었다. 심장마비로 쓰러져서그날로 돌아올 수 없는 길을 떠났어. 이미 장례식도 다 치렀다. 우편보다 빠를 거 같아서 평양에서 도쿄로 돌아가는 K씨에게 이 편지를 맡긴다. 이 소식을 들으면 오사카에 홀로 계시는 어머니가 얼마나 충격을 받으실지, 평양에 있는 가족과 친척들 모두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이런 슬픈 이야기를 네게 전할 수밖에 없는 한심한 오빠를 용서해주면 한다. 
그리고....... - P178

어머니의 증언은 일본에서 태어나 중학교 때 오사카 대공습을 피해 제주도로 간 데서 시작되었다. 열다섯부터 열여덟까지3년간의 제주도 생활과, 열여덟 제주의 4월 3일에 무엇을 보고 들었는지 이야기했다. 한라산에서 타오르는 불길을 본 일, 의사였던약혼자가 무장대에 참가했다 산에서 죽은 일, 친한 친구와 가솔린을 옮긴 일, 밀항선을 타고 일본으로 돌아온 과정 등을 구체적으로 묘사했다. - P190

일주일 후부터 어머니가 변해갔다. "아버지! 건오! 상철이!
어디 있니?" 어머니는 이미 죽고 세상에 없는 가족들을 찾기 시작했다. 아버지, 장남, 당신의 남동생을 부르며 2층 계단을 올라가방안을 둘러봤다. 눈빛이 멍해졌고 말도 바로 나오지 않았다. 검사 결과 알츠하이머라는 진단을 받았다. 자기 상태에 어머니 스스로도 당황스러운것 같았다. 나와 카오루는 의사의 조언에 따라 어머니가 말하는 내용을 부정하지 않았다. - P192

충성의 노래
기억을 잃어가던 어머니가 김일성을 기리는 노래를 불렀다.
그런 어머니의 모습은 잔혹하고 순수하고 활기차고 사랑스럽고가엾고 성숙한 소녀 같았다. 인간의 불가사의한 면모가 응축된 이장면은 <수프와 이데올로기> 118분 중에도 가장 보는 이의 마음을사로잡는다. 떠올릴 때마다 숨이 답답해질 정도다.
살아가다 보면 이루 말할 수 없이 아픈 상황들을 조우한다. 그순간을 카메라가 포착할 때 기적 같은 장면이 탄생하고, 그 작품을보는 사람의 마음을 뒤흔든다. 잔인한 이야기다. 이제 와 무슨 말인가 싶지만. - P194

어떻게든 초상화를 치우는 장면을 넣고 싶었다. 넣어야 했다.
나 자신과의 결별로서, 새롭게 걸어나가기 위한 생의 마디로서.
낡은 시대에 고하는 결별이자 가족과의 결별이기도 했다. 그런시대는 이제 끝냅시다!‘ 하는 결별. 평양에 있는 가족이 걱정되지않을 리가 있을까. 지금까지도 그래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그러므로 더욱더 가족과 헤어져야 한다고 생각했다. 북에 가족이있어서 아무 말 못 했던 시대를 끝내고 싶었다. 이제 충분하지 않나. 무엇보다 나는 북에 살고 있는 것이 아니었다. - P198

어머니가 양손을 모으고 기도하는 모습과 관객을 향해 던지는 시선. 그 장면을 <수프와 이데올로기>의 마지막 장면으로 정한것은 당연한 결과였다. - P20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