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원곡을 표절한 <은하철도 999(기차가 어둠을 헤치고 은하수를 로 시작하는)>주제가와는 별개로 당시 <은하철도 999>의 우리말 녹음연출을 담당했던 박순웅 PD가 작사하고 마상원이 작곡한 <은하철도999>의 오리지널 삽입곡. 국내 공중파 방영 애니메이션으로는 이례적으로 일요일 아침 8시부터 9시까지 2회분씩 1시간 편성되었던 <은하철도 999>는 편과 편 사이를 이어주는 매개가 필요했고, 그러한 이유로 원판에는 없는 창작곡이 만들어져 삽입되었다. 오프닝 주제가에 대한 잔상이 워낙 강렬해 상대적으로 널리 알려진 곡은 아니지만 1980년대 초반 <은하철도 999>를 리얼타임으로 시청한 세대에겐 잊을 수 없는 명곡으로 후에 백록 비디오 프로덕션판 <은하철도 999> 비디오 발매 당시 이곡이 주제가로 수록되기도 했다. 출처 : CAPSULE☺블로그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붉은돼지 2006-03-14 13: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듣고 있자니 실로 비장한 심사를 주체할 길이 없다. 눈물이 줄줄 흘러 내릴 것만 같다. 시황 시해하러 가는 형가의 노래가 또 문득 생각난다. 풍소소해여~
 

 

1981년 4월 5일 <푸른하늘 은하수>라는 제목의 공휴일 특집 만화영화로 방영되었던 <은하철도 999>는 이후 본래의 타이틀(은하철도 999)을 달고 일요일 오전 8시에 고정 편성되면서 유명한 이 주제가가 오프닝을 장식하게 된다. 그런데 최초 방영 당시 김관현 작사/금수레 작곡으로 표기되었던 이 노래는 실제로는 하시모토 쥰 작사/히라오 마사아키 작곡의 일본 원곡을 반이상 표절한 곡으로, 때문에 1996년 재방영 당시에는 작사/작곡자 이름이 삭제된 모습을 위의 동영상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출처 : CAPSULE☺블로그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붉은돼지 2006-03-14 13: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기차가 어둠을 헤치고 은하수를 건너오면~~
....정말 가슴이 벅차 올랐었지, 그 옛날 어느 일요일아침..
 

 

아직도 버리지 못했다. 시간 다 되어 간다. 빨리 사러 가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뉴욕 3부작 Mr. Know 세계문학 17
폴 오스터 지음, 황보석 옮김 / 열린책들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 책을 받아봤을 때 표지 디자인도 괜찮았고, 무엇보다도 책이 작고 헤깝해서(다소 무게가 나갈 것이라고 짐작했는데 의외로 가벼울 때 경상도 사투리로 헤깝하다는 표현을 쓴다. 그냥 가볍다고 하는 것보다 내 느낌을 더 적절하게 나타내는 것 같다. 남들이 이해하고 못하고는 별개의 문제로 치고 말이다.) 무척 마음에 들었다. 손에 착 감기는 것이 화장실에 앉아 똥을 누면서도 한 손으로는 담배를 피우고 다른 한 손으로는 책을 들고 읽기에 따닥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말았다하는데 돌이켜보니 나는 이제 담배를 안피운다. 그건 그렇고, 다만 글자 크기가 작고 빽빽하여 처음 보기에 답답한 느낌이고 오래 읽기에 눈알이 조금 아프고 피곤하지 않을까 우려도 있었다. 항상 그렇듯이 적응하니 또 그런데로 괜찮았다.


한심한 본인 생각에, 우리나라 책들이 대부분 특별 소장본도 아닌 것이 종이 질이 뺀질하니  너무 좋고 또 무게가 많이 나가서 이사라도 할라치면 책 때문에 여간 고생이 아니다. 국내 도서관들이 장서의 무게로 건물의 안전성에 문제가 생기고 있다는 보도도 있었다. 외국 문고판 책들을 보면서 우리나라도 저런 책이 나오면 값도 좀 헐할 것이고 근수도 덜 나갈텐데 하는 생각을 했었다. 금번 열린책들에서 나온 책을 보니 반가운 마음이다.


 Mr. Know시리즈는 이른바 페이퍼백 세계문학전집이다. 페이퍼백이 뭐신가. 인터넷을 대충 찾아보니 설명이 이렇다. 종이표지에다 본문도 중질지 이하의 용지를 쓰고, 흔히 대량 염가판으로 보급되는 책으로 우리나라의 신서판이나 문고본도 넓은 의미의 페이퍼백에 속한다. 1935년 영국의 펭귄북스가 최초이고 2년후 자매서 펠러컨 북스가 나왔다. (펭귄과 펠리컨이 자매라고 생각하니 어울리는 것 같기도 하다. 배다른 자매쯤 될까) 대량생산과 대중화 현상을 구현한 페이퍼백은 1950년대 이래 전세계를 정복했다고 표현하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 신서판이 무언가 또 궁금하다. 대충 찾아봤다. 책의 판형의 한가지로 가로 103mm×세로 182mm(3.4치×6.0치)의 크기로 만든책이다.  4.2치×6.2치 치수의 책자를 사륙판이라고 하듯이 3.4치×6.0치의 책자이므로 삼륙판이라고도 한다. 미국과 유럽에서의 페이퍼백은 대부분이 이 신서판형이다. 라고 한다.


폴 오스터의 책은 처음이다. 빛나는 명성이야 익히 듣고 있었지만, 소위 베스트셀러에 대한 가당찮은 반감을 가지고 있던 본인의 도서목록에서는 항상 뒤로 밀려 있었는데, 어느날 문득 한 번 보고 싶은 마음이 들어서 읽게 되었다. <유리의 도시>, <유령들>, <잠겨있는 방> 세편의 작품이 《뉴욕3부작》이라는 제하에 한데 묶여져 있다. 배경이 뉴욕이라서 그런 제목을 붙였는지 아니면 뉴욕이라는 현대의 거대도시 속에 매몰되어 가는 인간관계를 암시하고자 하는 것인지. 제목이 왜 뉴욕3부작인지는 잘 모르겠다. 


<유리의 도시>는 잘못 걸려온 한 통의 전화로부터 이야기가 시작된다.(누구 소설인지 모르겠지만 '크리스마스에 걸려온 전화'인가 뭔가 하는 소설이 문득 생각난다.) 그것이 우연인지 아닌지는 확실하지 않다. 결말부분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 부랑자 행세까지 해가면서 보초를 설 필요가 있었는지 모르겠다. <유령들>은 서로를 감시하는 두남자의 이야기이다. 블랙이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블랙의 문제가 무엇인지 역시 오리무중이다. <잠겨있는 방>은 화자의 어릴 적 친구이자 천재적인 소설가가 되어버린 한 남자의 행방을 쫓는 이야기이다. 세편의 작품중에 제일 재미있는 것 같다. 《뉴욕3부작》은 대체로 요령부득이고 외롭고 쓸쓸하고 답답한 느낌이다. 읽는 동안 문득 문득 에드워드 호퍼의 그림이 떠올랐다가 사라지곤 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강호 2006-03-12 10: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크리스마스에 걸려온 전화'는 이탈리아 작가 알베르토 베빌라콰의 단편입니다. 예전 삼성세계문학전집에 실려 있었지요^^

붉은돼지 2006-03-13 23: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기억을 더듬어 찾아보니 이문열 세계명작산책 8권(부제 : 시간의 파괴력과 돌아보는 쓸쓸함)에 나오는군요. 읽기는 읽었는데 무슨 꽈배기 비슷한 작가의 이름도 초문인 것 같고 내용도 전혀 기억나지 않고, 다만 제목만 머리에 남아 있습니다. 그 쓸쓸한 느낌하고 말이죠...
 

 

열다섯 살,

하면 금세 떠오르는 삼중당 문고

150원 했던 삼중당 문고

수업시간에 선생님 몰래, 두터운 교과서 사이에 끼워 읽었던 삼중당 문고

특히 수학시간마다 꺼내 읽은 아슬한 삼중당 문고

위장병에 걸려 1년간 휴학할 때 엠포젤 엠을 먹으며 읽은 삼중당 문고

개미가 사과껍질에 들러붙듯 천천히 핥아먹은 삼중당 문고

간행목록표에 붉은 연필로 읽은 것과 읽지 않은 것을 표시했던 삼중당 문고

경제개발 몇 개년 식으로 읽어간 삼중당 문고

급우들이 신기해하는 것을 으쓱거리며 읽었던 삼중당 문고

표지에 현대미술 작품을 많이 사용한 삼중당 문고

깨알같이 작은 활자의 삼중당 문고

검은 중학교 교복 호주머니에 꼭 들어맞던 삼중당 문고

쉬는 시간 10분마다 속독으로 읽어내려간 삼중당 문고

방학중에 쌓아놓고 읽었던 삼중당 문고

일주일에 세 번 여호와의 증인 집회에 다니며 읽은 삼중당 문고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지 않는다고 교장실에 불리어가, 퇴학시키겠다던 엄포를 듣고 와서 펼친 삼중당 문고

교련문제로 고등학교 진학을 포기했을 때 곁에 있던 삼중당 문고

용돈을 가지고 대구에 갈 때마다 무더기로 사온 삼중당 문고

책장에 빼곡히 꽂힌 삼중당 문고

싸움질을 하고 피에 묻은 칼은 씻고 나서 뛰는 가슴으로 읽은 삼중당 문고

처음 파출소에 갔다왔을 때, 모두 불태우겠다고 어머니가 마당에 팽개친 삼중당 문고

흙 묻은 채로 등산배낭에 처넣어 친구집에 숨겨둔 삼중당 문고

소년원에 수감되어 다 읽지 못한 채 두고 온 때문에 안타까웠던 삼중당 문고

어머니께 차입해 달래서 읽은 삼중당 문고

고참들의 눈치보며 읽은 삼중당 문고

빧다맞은 엉덩이를 어루만지며 읽은 삼중당 문고

소년원 문을 나서며 옆구리에 수북히 끼고 나온 삼중당 문고

머리칼이 길어질 때까지 골방에 틀어박혀 읽은 삼중당 문고

삼성전자에 일하며 읽은 삼중당 문고

문흥서림에 일하며 읽은 삼중당 문고

레코드점 차려놓고 사장이 되어 읽은 삼중당 문고

고등학교 검정고시 학원에 다니며 읽은 삼중당 문고

고시공부 때려치우고 읽은 삼중당 문고

데뷔하고 읽은 삼중당 문고

시영 물물교환센터에 일하며 읽은 삼중당 문고

박기영 형과 2인 시집을 내고 읽은 삼중당 문고

계대 불문과 용숙이와 연애하며 잊지 않은 삼중당 문고

쫄랑쫄랑 그녀의 강의실로 쫓아다니며 읽은 삼중당 문고

여관 가서 읽은 삼중당 문고

아침에 여관에서 나오 짜장면집 식탁위에 올라앉던 삼중당 문고

앞산 공원 무궁화 휴게실에 일하며 읽은 삼중당 문고

파란만장한 삼중당 문고

너무 오래 되어 곰팡내를 풍기는 삼중당 문고

어느덧 이 작은 책은 이스트를 넣을 빵같이 커다랗게 부풀어 알 수 없는 것이 되었네

집채만해진 삼중당 문고

공룡같이 기괴한 삼중당 문고

우주같이 신비로운 삼중당 문고

그러나 나 죽으면

시커먼 배때기 속에 든 바람 모두 빠져나가고

졸아드는 풍선같이 작아져

삼중당 문고만한 관 속에 들어가

붉은 흙 뒤집어쓰고 평안한 무덤이 되겠지

---------------------------------------

나이가 불현듯 마흔을 넘어섰거나 아니면 그 근처쯤 어디를 어정거리고 있는 세대는 알 것이다. 삼중당 문고. 크기는 손바닥만 하고 종이질은 누리끼리 똥색이고 글짜는 정말로 깨알같아 흔들리는 버스같은 데 앉아서 읽자면 눈알이 다 빠져버릴 것만 같았던, 하지만 그 목록만은 동서고금의 기라성같은 작가들의 보석같은 명편들로 빽빽하게 넘쳐났던 그 삼중당 문고. 서점마다 빼곡하게 꼽혀있던 그 많던 삼중당 문고들은 모두 어디로 갔을까? 이 시는 지금은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린 삼중당 문고에 바치는 헌사다. 없어진 삼중당 문고를 생각하니 쓸쓸한 마음이다. 혹시 '잊혀진 책들의 묘지' 에 간다면 만날 수 있을까


계대 불문과 용숙이는 장정일의 아내로 <숨어있기 좋은 방>을 쓴 신이현을 말하는 것이리라. 계대 불문과에는 시인 이성복이 있었는데(지금도 있나?), 용숙이 따라다닐 당시의 장정일이 이성복을 만났을까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