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3부작 Mr. Know 세계문학 17
폴 오스터 지음, 황보석 옮김 / 열린책들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 책을 받아봤을 때 표지 디자인도 괜찮았고, 무엇보다도 책이 작고 헤깝해서(다소 무게가 나갈 것이라고 짐작했는데 의외로 가벼울 때 경상도 사투리로 헤깝하다는 표현을 쓴다. 그냥 가볍다고 하는 것보다 내 느낌을 더 적절하게 나타내는 것 같다. 남들이 이해하고 못하고는 별개의 문제로 치고 말이다.) 무척 마음에 들었다. 손에 착 감기는 것이 화장실에 앉아 똥을 누면서도 한 손으로는 담배를 피우고 다른 한 손으로는 책을 들고 읽기에 따닥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말았다하는데 돌이켜보니 나는 이제 담배를 안피운다. 그건 그렇고, 다만 글자 크기가 작고 빽빽하여 처음 보기에 답답한 느낌이고 오래 읽기에 눈알이 조금 아프고 피곤하지 않을까 우려도 있었다. 항상 그렇듯이 적응하니 또 그런데로 괜찮았다.


한심한 본인 생각에, 우리나라 책들이 대부분 특별 소장본도 아닌 것이 종이 질이 뺀질하니  너무 좋고 또 무게가 많이 나가서 이사라도 할라치면 책 때문에 여간 고생이 아니다. 국내 도서관들이 장서의 무게로 건물의 안전성에 문제가 생기고 있다는 보도도 있었다. 외국 문고판 책들을 보면서 우리나라도 저런 책이 나오면 값도 좀 헐할 것이고 근수도 덜 나갈텐데 하는 생각을 했었다. 금번 열린책들에서 나온 책을 보니 반가운 마음이다.


 Mr. Know시리즈는 이른바 페이퍼백 세계문학전집이다. 페이퍼백이 뭐신가. 인터넷을 대충 찾아보니 설명이 이렇다. 종이표지에다 본문도 중질지 이하의 용지를 쓰고, 흔히 대량 염가판으로 보급되는 책으로 우리나라의 신서판이나 문고본도 넓은 의미의 페이퍼백에 속한다. 1935년 영국의 펭귄북스가 최초이고 2년후 자매서 펠러컨 북스가 나왔다. (펭귄과 펠리컨이 자매라고 생각하니 어울리는 것 같기도 하다. 배다른 자매쯤 될까) 대량생산과 대중화 현상을 구현한 페이퍼백은 1950년대 이래 전세계를 정복했다고 표현하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 신서판이 무언가 또 궁금하다. 대충 찾아봤다. 책의 판형의 한가지로 가로 103mm×세로 182mm(3.4치×6.0치)의 크기로 만든책이다.  4.2치×6.2치 치수의 책자를 사륙판이라고 하듯이 3.4치×6.0치의 책자이므로 삼륙판이라고도 한다. 미국과 유럽에서의 페이퍼백은 대부분이 이 신서판형이다. 라고 한다.


폴 오스터의 책은 처음이다. 빛나는 명성이야 익히 듣고 있었지만, 소위 베스트셀러에 대한 가당찮은 반감을 가지고 있던 본인의 도서목록에서는 항상 뒤로 밀려 있었는데, 어느날 문득 한 번 보고 싶은 마음이 들어서 읽게 되었다. <유리의 도시>, <유령들>, <잠겨있는 방> 세편의 작품이 《뉴욕3부작》이라는 제하에 한데 묶여져 있다. 배경이 뉴욕이라서 그런 제목을 붙였는지 아니면 뉴욕이라는 현대의 거대도시 속에 매몰되어 가는 인간관계를 암시하고자 하는 것인지. 제목이 왜 뉴욕3부작인지는 잘 모르겠다. 


<유리의 도시>는 잘못 걸려온 한 통의 전화로부터 이야기가 시작된다.(누구 소설인지 모르겠지만 '크리스마스에 걸려온 전화'인가 뭔가 하는 소설이 문득 생각난다.) 그것이 우연인지 아닌지는 확실하지 않다. 결말부분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 부랑자 행세까지 해가면서 보초를 설 필요가 있었는지 모르겠다. <유령들>은 서로를 감시하는 두남자의 이야기이다. 블랙이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블랙의 문제가 무엇인지 역시 오리무중이다. <잠겨있는 방>은 화자의 어릴 적 친구이자 천재적인 소설가가 되어버린 한 남자의 행방을 쫓는 이야기이다. 세편의 작품중에 제일 재미있는 것 같다. 《뉴욕3부작》은 대체로 요령부득이고 외롭고 쓸쓸하고 답답한 느낌이다. 읽는 동안 문득 문득 에드워드 호퍼의 그림이 떠올랐다가 사라지곤 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강호 2006-03-12 10: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크리스마스에 걸려온 전화'는 이탈리아 작가 알베르토 베빌라콰의 단편입니다. 예전 삼성세계문학전집에 실려 있었지요^^

붉은돼지 2006-03-13 23: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기억을 더듬어 찾아보니 이문열 세계명작산책 8권(부제 : 시간의 파괴력과 돌아보는 쓸쓸함)에 나오는군요. 읽기는 읽었는데 무슨 꽈배기 비슷한 작가의 이름도 초문인 것 같고 내용도 전혀 기억나지 않고, 다만 제목만 머리에 남아 있습니다. 그 쓸쓸한 느낌하고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