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4월 10일) 부산에서 이우환 미술관이 개관한다고 한다. 사실 대구에서는 2010년부터 부산보다 훨씬 큰규모로 “이우환과 그 친구들”이라는 미술관 건립을 추진하고 있었다. 설계자로 선정된 안도다다오가 직접 대구에 오기도 했다. 미술관의 위치는 두류공원내 성당못 근처로 결정되었고 청사진도 나왔다. 2016년 완공예정이었다. 아무생각없는 소생은 잘 되어 가고 있는 줄로만 알았다. 그런데 얼마전에 이 계획이 전면 취소되었다는 신문 기사를 봤다. 여러 가지로 복잡한 속사정이 있는 모양이다. 사실 소생은 역시나 불초하여 이우환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없다. 시민으로서야 미술관 같은 문화공간이 자꾸만 생기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기는 하나 무슨 국제공항도 아니고 무엇 때문에 부산과 대구가 서로 미술관을 건립하려고 난리인지는 잘 모르겠다. 왜 꼭 이우환이어야 하는지 말이다. 그러나저라나 어쨋거나 대구에서도 안도다다오의 작품을 볼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가 무너져 몹시 안타깝고 실망스럽다. 부산의 이우환 미술관은 안도의 작품이 아니다. 이우환이 직접 설계를 했다.
일본 나오시마에도 이우환 미술관이 있다. 나오시마는 일본을 구성하는 4개 섬 중에 가장 작은 시코쿠에 위치한 섬이다. 한때 구리 제련소가 자리하고 있던 그냥 그런 섬이었지만 지금은 “예술의 섬”으로 이름났다. 1989년부터 시작된 재생 프로젝트로 환골탈태에 성공했다. 프로젝트는 지금도 진행중이라고 한다.
안도다다오가 베네세하우스와 지중미술관, 이우환 미술관을 설계했다. 야요이 구사마의 거대한 호박도 명물이다. 뭐 먹음직스러워 보이진 않는다. 더불어 <춤추는 대수사선>의 감독 모토히로 가쓰유키의 영화 ‘우동’의 배경이 되기도 한 섬이다. (dvd로 나온건 없는 모양이다. 알라딘에 우동으로 검색해보니 어우동이 나온다. 음...) 현의 중심도시인 다카마쓰를 중심으로 900여개의 우동집이 밀집해 있는 우동천국이다. 야간에만 영업을 하는 우동집도 있으며 맛집을 순회하는 우동투어 전문택시도 다닐 정도다. 아,,, 갑자기 우동이 먹고싶네...와삭와삭 닥깡 하고...
수년전에 홋카이도에 갔을 때 토마무 리조트 안에 있는 안도다다오의 “물의 교회”를 본 적이 있다. (여름 휴가철에 갔는데 여름 홋카이도도 멋지더라는, 자연 풍광이 너무 멋지더라는 말씀도 드리고 싶다. 아무리 홋카이도라도 여름에는 역시 덥다.) 안도의 트레이드 마크인 노출 콘크리트 건물은 거칠고 삭막한 듯하지만 각지고 단조로운 노출 공구리가 물과 어우러져 독특한 아름다움을 만들어내고 있었다. 사람이 살고 활용하는 실용적인 건물은 아니라는 느낌. 건축물 자체가 하나의 작품이라는 인상이다. 여기서 가끔 결혼식이나 이런 저런 문화행사도 열리는 모양이지만 주일마다 신자들이 모여 예배를 보고 찬송가를 부르고 하는 교회로서의 역할은 하고 있지 않은 듯 했다. 빛의 교회, 바람의 교회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교회 삼부작?) 아래 세 번째 도서의 표지가 아마도 빛의 교회일 것이다. 물의 교회나 빛의 교회나 모두 규모는 자그마하다. 안도는 한때 권투선수였다. 트럭운전사도 했다. 다리를 달달 떠는 구렛나루의 앨비스씨도 트럭운전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