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네이버를 보다가 우연히 “내 맘대로 뽑은 최고의 첫문장 best 10” 이라는 포스팅을 발견했다. 세계문학전집이 가지런히 꽂힌 멋진 서가 사진을 배경으로 한. 들여다 보지 않을 수 없다.
1. 톨스토이 <안나 카레리나>의 그 유명한 첫 문장 “행복한 가정은 모두 고만고만하지만 불행한 가정은 나름나름으로 불행하다”
2. 가와바타 야스나리 <설국>의 그 유명한 첫 문장 “국경의 긴 터널을 빠져나오자, 눈의 고장이었다. 밤의 밑바닥이 하얘졌다.”
3. 이상 <날개>의 그 유명한 첫 문장 “박제가 되어버린 천재를 아시오? 나는 유쾌하오. 이런때 연애까지가 유쾌하오.”
4. 알베르 까뮈 <이방인>의 첫 문장 “오늘 엄마가 죽었다. 아니 어쩌면 어제인지도 모른다.”
상기한 4개의 첫 문장은 소생도 인정하고 또 알고 있는 그 유명한 첫 문장인데, 하기한 2개의 첫 문장이 빠진 게 소생의 심사에 몹시도 서운해서 본 페이퍼를 작성해 본다. 어차피 ‘마음대로 뽑은 최고의 첫 문장’인데 누가 누구를 뭐라 할 수 있겠나만은 소생이 소생 마음대로 뽑는 다면 이 두 문장은 꼭 넣고 싶다는 이야기다. 특히 박상륭은.
1. 박상륭 <죽음의 한 연구>의 그 놀라운 첫 문장 “공문의 안뜰에 있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바깥뜰에 있는 것도 아니어서 수도도 정도에 들어선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세상살이의 정도에 들어선 것도 아니어서, 중도 아니고 그렇다고 속중도 아니어서, 그냥 걸사라거나 돌팔이중이라고 해야 할 것들 중의 어떤 것들은, 그 영봉을 구름에 머리 감기는 동녘 운산으로나, 사철 눈에 덮여 천 년 동정스런 북녘 눈뫼로나, 미친년 오줌 누듯 여덟 달간이나 비가 내리지만 겨울 또한 혹독한 법 없는 서녘 비골로도 찾아가지만, 별로 찌는 듯한 더위는 아니라도 갈증이 계속되며 그늘도 또한 없고 해가 떠 있어도 그렇게 눈부신 법은 없는데다, 우기에는 안개비나 조금 오다 그친다는 남녘 유리로도 모인다.“
2. 강신재 <젊은 느티나무>의 감각적인 첫 문장 “그에게는 언제나 비누냄새가 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