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과 소설가 - 오르한 파묵의 하버드대 강연록
오르한 파묵 지음, 이난아 옮김 / 민음사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웨덴 한림원이 2006년도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터키의 오르한 파묵을 선정하면서 밝힌 선정 이유는 이러하다. “고향 이스탄불의 우울한 영혼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문화간 충돌과 얽힘에 대한 새로운 상징을 발견했다.”는 것이다. 파묵의 소설은 세편 정도 읽은 것 같다. <하얀성>, <검은책>, <내이름은 빨강> 우선 <하얀성>. 읽은 지 2~3년은 된 것 같다. 내용이 하나도 기억나지 않는다. 안타깝다.

 

다음은 <검은 책>. 이건 작년에 읽어서 내용은 대충 기억이 난다. 어느날 갑자기 없어진 마누라를 찾아다니는 어떤 변호사의 이야기다. 집나간 마누라의 이복오빠도 역시 어느날 갑자기 실종되었는데 그는 유력한 일간지의 유명한 칼럼작가다. 마누라의 행적을 추적하는 변호사는 나중에는 자신이 실종 칼럼작가를 대신해 신문에 칼럼을 기고한다. 칼럼 중에 이슬람 신비주의 시인 루미에 대한 칼럼이 인상적이어서 기억에 일부 남아있다. 칼럼은 루미와 그의 영적 스승이자 동지인 샴스 타브리즈와의 관계를 동성애로 해석하고 있다. 그건 그렇고 읽는 내내 몹시 복잡한 미로 속을 헤매고 다니는 듯한 기분이었다. 어두운 동굴속에서 더듬더듬 길을 찾는 느낌. 뭐 별로 좋은 느낌은 아니다. 결국 집나간 마누라를 찾았는지 못 찾았는지는 모르겠다. 실종 마누라를 찾느냐 못찾느냐가 문제가 아닌 그런 소설이다. '고향 이스탄불의 우울한 영혼을 더듬더듬 탐색하는' 소설인 것이다.

 

그리고 그 유명한 <내 이름은 빨강>. 이 세편 중 제일 재미있다. 오랜 전통과 관습을 고수하려는 이슬람 세밀화가들이 베네치아에서 건너온 이교적이고 충격적인 새로운 화풍에 반응하고 갈등하는 말하자면 문화간의 충돌과 얽힘에 대한 이야기다. 인상적인 장면은 전설로 남아 인구에 회자될 세밀화의 대가가 되기를 욕망하는 화원장 오스만이 스스로 장님이 되기 위해 황금 바늘로 제 눈을 찌르는 장면. 으으으...

 

파묵의 노벨상 수상에도 이런 저런 말들이 있다. 어느 해인들 없었겠나. 동네 미인대회를 해도 뒷말이 무성하게 우거지는데, 하물며 노벨상임에야 말해 무엇하겠는가. 파묵의 수상에 그의 정치적 언행이 작용했다는 것이다. 그는 이슬람 세계에서 살만 루시디에게 내려진 처형명령을 공개적으로 비판한 작가일뿐만 아니라 터키에서는 금기시되고 있는 쿠르드족 및 아르메니아인 대학살에 대하여 공개적으로 비난한 최초의 작가이기도 하다. 노벨상 수상 한해 전인 200510월 파묵은 스위스의 한 잡지와의 회견에서 우리는 아르메니아인 100만명과 쿠르드인 3만명을 학살했다.”고 말했다. 이 발언으로 터키의 조야가 분노의 도가니로 들끓고 보수주의자들은 파묵을 매국노 혹은 배신자로 규탄했다. 하지만 파묵은 다음해에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파묵은 터키정부로부터 국가모독죄로 기소되었지만 국제적 여론 때문에 기소는 중지되었다.

 

<소설과 소설가>는 노벨문학상 수상작가인 파묵의 하버드대 강연록이다. 찰스 엘리엇 노튼 강연이라고 파묵 이전에는 보르헤스, 칼비노, 에코 등이 강단에 섰다고 한다. 노벨문학상 + 하버드대 = 관심 폭발. 이런 공식이 성립하는 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하버드대학교에서 강의한 강연록이라고 하니 뭔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내용은 별 것 없다. 소설을 읽는 사람들의 독서 방식 , 작가의 개인적인 경험과 소설 쓰기의 관계, 소설의 캐릭터, 플롯 등에 대하여 그냥 쉽게 쓰여져 있다. 소설의 형식이나 작법에 대한 전문적인 글은 아니다. 책 뒷표지에 이런 문구가 있다. ‘문화의 변방 터키에서 고전을 통해 독학으로 소설을 써온 노벨상 수상 작가 오르한 파묵이 들려주는 소설 창작의 비밀’ “어쩌면 지금 나는 직업상의 비밀을 너무 많이 털어놓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작가협회에서 제명당 할 지도 모르겠군요아시겠지만 문구 중 앞에 나오는 소설창작의 비밀 운운은 과장과대 광고이고, 뒤에 나오는 직업상의 비밀 운운은 파묵의 농담이다.

 

소득이 없는 것은 아니다. 노벨상 수상작가의 하버드대 강연인데 어찌 소출이 없겠나. 파묵이 어린 시절부터 무척 많은 책을 읽었다는 것을 알았고, 작가가 된 이후로 수십년 동안 하루에 10시간 이상씩 책상에 앉아 글을 쓰고 있다는 것도 알았다. 성실하게 고독한 작업에 매진하는 그 모습이 바로 작가 지망생들이 파묵으로부터 배워야 할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는 생각이다. 요것이 바로 파묵이 들려주는 소설 창작의 비밀인 것이다누군가 말했듯이 역시 글은 머리로 쓰는 것이 아니라 궁뎅이로 쓴다는 말이 맞는 말이다. 그렇지 않나?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억의집 2015-01-16 19: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파묵의 눈을 읽었는데, 엄청 진보적인 작가라 놀랐어요. 터키가 굉장히 보수적이고 종교적인 국가라 파묵도 그럴 줄 알았는데 아니더라구요. 눈은 터키가 정치적으로 이슬람으로 확고하게 다지는 과정을 그린 작품인데, 파묵을 다시 생각하고 터키를 한번 가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게 만든 작가였어요. 전 종교적인 나라인 터키나 인도 싫어하거든요. 그런데 터키는 파묵때문이라도 가 보고 싶은 나라가 되었어요.

붉은돼지 2015-01-17 08:48   좋아요 0 | URL
지금은 순수박물관을 보고 있습니다. 눈도 한번 읽어봐야 겠습니다 저도 터키에 한번 가보고 싶은데 특히 이스탄불은 꼭 한번 가보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