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미안의 네딸들 14 - 완결
신일숙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1995년 6월
평점 :
절판


고삼때였지 싶으다. 야자시간이고 대입 원서를 쓸때여서 교실이 조금 두런두런 삼삼오오 어수선하기도 하고 했는데, 그 와글중에도 선견지명을 보지한, 향후 우리사회를 지탱할 탱탱한 동량임을 자부하는 모모한 넘들은 눈알이 빠져라 공부에 여념이 없었고, 천길 낭떠러지를 떨어져도 한참 덜 떨어진 한심한 넘들은 교과서에 침을 질질흘리며 엎드려 자느라고 잠꼬대에 두 손을 허우적 거리는 넘까지 있었던 거이다. 당연지사 본인은 정신없이 책을 보고 있었던 것인데, 굳이 시비곡직을 가리자면 그 책이 다름아닌 만화책이었던 것이 문제라면 문제되겠다. 본인을 포함하여 교실 뒷자리 - 일명하여 대포석(대학포기석) - 에 앉은 4-5명은 그렇게 독서삼매경을 아득하게 헤매고 있었던 것이었다....

우리 대포석 동학들도 처음에는 이현세, 허영만, 박봉성, 고행석, 이재학 등등의 남성 작가들을 좋아하고 또 즐겨봤던 것인데, 그러던 그 어느날(항상 그 어느날이 문제다) 한 넘이 문제의 순정만화 "아르미안의 네딸들"을 가져오던 바로 그날, 드디어 우리들은 눈이 확 트이는 새로운 세계를 경험하게 되었으니.....우리들은 모두 눈물을 철철 흘리며 끝내 울음을 터뜨리고 말았던 것이다. 

그날 이후로 우리들의 책가방에는......성문종합이니 수학정석이니 무슨 사전이니 하는 것들은 제 자리를 잃어버리고, 대신에 황미나의 "일곱번째 봉인"(베르히만의 영화가 생각나누만).., "우리는 길잃은 작은 새를 보았다", 김혜린의 "북해의 별" 등등 편편이 주옥같고 보석같은 불후의 명편들이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되었던 것인데........아~ 세월이 지난 지금 생각해보아도 가슴이 벌러덩 벌러덩...뛴다..(하기사 가슴은 항상 뛰고 있다. 지금 이순간에도) 그 당시 우리들은 '황미나' '신일숙' '김혜린'을 일러 한국만화계의 '성스러운 여류 3인방'이라 부르며 흠모해 마지 않았던 것이었다..

그렇고 그러한데 순정만화는 다음편이 무지하게 늦게 나오는 것이 또 문제라면 문제였던 거이다. 길때는 서너달은 기둘려야 되고, 그러다 보면 전편 내용은 다 까먹어버리고......허참.... "아르미안의 네딸들"은 본인이 고3때부터 보기 시작하여 대학들어가서도 보고 군대갔다가 휴가나와서도 보고, 제대해서 또 보고........참 오랜 세월을 두고 봤던 것이었으니...(참고로, 그때 대포석 아새이들은 그래도 모두 대학에 들어가 지금은 장가들도 가고, 잘먹고 잘자고 그래저래 잘 살고들 있다....참고다..) 단맛을 조금 볼라치면 참을 줄도 알아야 한다는 이야기 되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두심이 2004-05-28 17: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ㅋ..저도 소장판으로 나와 있는걸 가지고 있지요.. 완결편이 있다는게 제일 뿌듯하더군요.
친구들이 한번씩 와서는 얼마나 좋아들 하는지.. 그시절이 기억나네요..

붉은돼지 2004-05-29 11: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14권짜리 소장판 가지고 있습니다. 반갑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