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두사의 시선>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메두사의 시선 - 예견하는 신화, 질주하는 과학, 성찰하는 철학
김용석 지음 / 푸른숲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견하는 신화, 질주하는 과학, 성찰하는 철학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신화야 누구나 좋아한다. 물론 혹자 중에는 별 시덥지않게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어린이부터 어른에 이르기까지 대충적으로다가 재미있어 한다. 사실 그리스 로마 신화는 재미있다. 야리꾸리한 이야기도 많이 나오고, 별별 괴상한 짐승과 호색한 신들과 영웅들과 미녀들이 등장하고, 말하자면 드라마틱한 드라마의 연속이다. 상징과 은유의 바다요 상상력의 보고라 할만하다. 

반면 과학과 철학은 대충적으로 어려운 학문이다. 요즘은 쉽게 쓰여진 대중적인 관련도서들도 많이 나오고는 있지만 어쨌든 과학이나 철학이라고 하면 어렵다는 생각이 우선적으로다가 먼저 든다. 소생이 어릴 때는 장래 희망에 과학자라고 당당하게 적는 어린이들도 많았는데 요즘은 거의 없지 싶다. 철학은 뭐 더 말할 것도 없다.  

한번 슬쩍 보기만 해도 땡땡하게 굳어버리는 뱀대가리 메두사, 수간으로 태어났다가 영웅 테세우스의 몽둥이에 맞아 죽은 소대가리 미노타우로스, 어줍잖은 수수께기로 사람들 놀리다가 똑똑한 오이디푸스에게 걸려 절벽에서 떨어져 죽은 스핑크스, 공자앞에서 문자쓰다가 - 물론 잘 쓰기는 했는데 - 뒤지게 귀싸때기 맞고 피 본 아라크네, 영화 마네킹의 모델 피그말리온, 등등 신화는 그 속의 무수한 상징과 은유를 다 해석하고 풀이하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이야기 그 자체로서 무척이나 재미있는데, 그 재미있는 이야기를 철학적으로 풀이한 본 책은 소생같은 문외한이 읽기에도 별 재미도 감흥도 없다. 그래도 혹시 신화의 철학적 해석에 관심있는 분들은 일독을 하시든지 말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