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한국문화>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왕세자의 입학식 - 조선의 국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ㅣ 키워드 한국문화 4
김문식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1월
평점 :
궁벽한 향촌의 미관말직이 왕세자의 입학례에 참례하게 되니 실로 황공하여 몸둘 곳을 알지 못하겠거니와 성은이 참으로 지극망극하다. 오호 지국총 지국총 어사와 어강다롱디리....그건 그런데 아무튼간에 예로부터 학문을 지극히 숭상했던 나라 조선이고 왕권 못지 않은 신권이 행사되었던 성리학자 사대부들의 나라 조선으로서 왕세자의 성균관 입학식이 뭐 대수로울 것도 없고 어찌보면 당연한 것인 지도 모른다. 또 미루어 짐작해 보면 예식을 무척 중시했던 성리학의 나라 조선이니 왕세자로서 치루어야 할 의식이 수도 없이 많았을 것이다.
왕세자의 입학은 보통 8세쯤에 이루어졌다고 하는데 지금으로 보자면 초등학교 입학연령으로 그 나이에 한 의식을 주관하기에는 왕세자나 스탭들이나 모두 애로가 많았을 것이다. 한편으로 생각해보면 어리석은 백성을 다스릴 군주가 되자면 그 정도야 당연한 것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영국의 왕자들도 전쟁통에는 전투기 조종사로 출전해 장렬히 죽기도 하고 했던 것이니 권력에는 당연 책임과 의무가 따르는 법이다.
이 책은 <왕세자입학도첩>에 나오는 6장의 그림으로 왕세자의 입학식을 설명하고 있다. 역시 그림으로 설명하니 이해가 쉽고 빠르다. 세자가 여러 수행원들에 둘러싸여 궁을 나서는 <출궁도>, 성균관에 도착한 세자가 공자 등 성현들에게 절을 하고 잔을 올리는 <작헌도>, 작헌을 마친 세자가 대성전에서 스승이 있는 명륜당으로 나아가 배움을 청하는 <왕복도>, 세자가 스승에게 예물을 올리는 <수폐도>, 세자가 제자로서 스승에게 가르침을 구하며 문답이 오고가는 <입학도>, 입학례를 마친 세자가 궁으로 돌아와 백관으로부터 축하를 받는 <수하도>. 참고로 그림에 왕세자는 나타나지 않는다. 장차 지엄하신 지존이 될 몸으로 옥체를 직접 그리지는 않고 다만 그 자리만 표시한다.
문학동네에서 야심찬 기획으로 <키워드 한국문화>라는 제하의 문고판 출간을 시작했으니 본인이 소장하고 있는 몇가지 문고판과 비교해보지 않을 수 없다. 본인이 가지고 문고판은 <살림지식총서>, <시공디스커버리총서>, <창해ABC문고>, <빛깔있는 책들> 4종이다.
<살림지식총서>는 근400권 가까이 나온 걸로 알고 있다(찾아보니 368권까지 나왔다). 위 열거한 것들중 크기도 제일 작고 분량도 제일 얇지 싶다. 진정한 의미의 포켓 문고판에 가장 접근하는 듯하다. 그러나(역시 그러나가 중요하다) 내용이 너무 소략이고 사진이나 그림이 전혀 없어 무미건조하다.
<시공디스커버리총서>(129권까지 나와 있다)는 프랑스 갈리마르 출판사 시리즈의 한국어판이다. 인류의 문화유산을 총 망라한다는 방대한 기획이다. 사진이나 그림, 기타 기록과 증언 등 다양한 자료를 수록하고 있다. 그러나 본문에 사진이나 그림이 너무 많아 읽기에 몹시 산만하다. 본문을 읽다가 사진을 보다가 본문 읽다가 그림 보다가 하다 보면 이야기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헷갈린다. 맥을 놓치기 십상이다.
<창해 ABC 문고>는 내가 제일 좋아하는 문고판이다. 하지만 50권까지 나오고는 감감 무소식이다. 안타깝다. 프랑스 플라마리옹에서 발행한 'ABCdaire'의 한국어판이라고 한다. 시공디스커버리와 비슷한 기획인 것 같다. 표지나 내용이 형형색색 화려하고 보기에 좋다. 재질이나 구성 편집도 마음에 든다. 내용이 가나다라마바사아 사전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빨리 재간되기를 바란다.
대원사의 <빛깔있는 책들>은 우리 전통문화와 민속에서부터 생활, 건강, 음식 등 우리 것에 대하여 폭넓게 다루고 있어 한국문화키워드와 취지에서 가장 비슷한 것 같다. 크기도 비슷한 것 같다. 아마도 열거한 문고판 중에서 역사가 가장 오래되었지 싶다. 현재 273권정도 나와 있다. 내용은 알차고 읽을 만 한 것 같은데 표지 디자인이나 재질(다소 두꺼운 모조지) 판형 등에서는 개선이 필요한 것 같다.
<키워드 한국문화>는 그 기획 의도나 표지 디자인, 편집 등은 마음에 드는데 책 크기가 별로 인 것 같다. 좀더 길쭉했으면 좋을 것 같다.(물론 이건 내 생각이다.) 어쨌든 목록을 훑어 보면 흥미진진할 것 같은 제목들도 더러 보이고 앞으로 어떤 책들이 더 나올지 기대도 된다. 끊이지 않고 계속 줄기차게 나왔으면 하는 바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