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바이, 사교육>을 읽고 리뷰해 주세요.
굿바이 사교육 - 내 아이를 학원에 보내고 싶지 않은 학부모를 위한 교육 필독서
이범 외 지음 / 시사IN북 / 2010년 1월
평점 :
품절


사교육 시장 규모가 얼마얼마로 어마어마 엄마아빠하고, 사교육비 부담에 부모들 등골이 휘고 뼈골이 빠지고, 자식에게 올인하다 늙어 쪽박찬 기막힌 사연도 텔레비전에 나오고 한다. 이래저래 주워듣고 또 보고 하지만 나에게는 딴나라 달나라 이야기였다. 왜냐? 당근 아이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나이 불혹 넘어 작년에 간신히 후사를 보게 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교육 문제는 관심밖이다. 왜냐? 아이가 아직 어리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책을 읽다보니 슬슬 본인도 교육이란 것에 대해 관심을 좀 가져봐야겠다는 그런 생각이 든다. 우리 아버지 엄마는 7남매 키워 다 대학 보냈는데 사교육 받은 사람은 하나도 없었던 것 같다. 물론 옛날엔 다 그랬다. 나도 그럴려고 한다. 고등학교까지는 보내주고 대학부터는 알아서 하라고 할 작정이다. 애 처음 낳고 마누라하고 둘이서 2인 정상회담을 열어 당내 서열을 정했다. 서열 1위는 자기자신, 2위는 배우자, 자식은 3위, 당내 구성원이 3인이라 금은동메달 하나씩은 차지하게 되어 그나마 다행이다. 우리는 자식에게 올인하지 않고 우리 부부 노후에 올인하기로 했다. 지금 생각해도 썩 잘한 결정인것 같다. 가족내 올바른 서열 책정이 사교육 문제의 해결책이라는 말이다. 내가 이런 이야기 하면 주위에서는 한심하다는 듯이 그런다. ‘어디 키워봐라~ 그리 되는가’  

본인이 철들고 어느 한 순간인들 아국 교육이 백척간두 풍전등화의 위기가 아닌 상황이 있었던가 모르겠다. 4000년전 애급의 파피루스 두루마리에도 적혀 있었다고 한다. “요즘 애들은 정말 큰일이야” 건국 60년 역사의 아국으로서는 교육백년대계란 참으로 아득한 이야기다. 정치인, 학부모, 교수, 무슨무슨 교육단체 등이 한 목소리로 이러다가는 필경 교육이 절딴날 것이라고 가래침을 사방으로 튀기며 핏대를 세운 것도 60년쯤 되지 싶으다. 돌이켜보면 번갯불에 콩을 뽁는지 후라이판에 깨를 뽁는지 조변석개 조령모개의 교육정책으로 지난 세월이 얼마나 분주하고 황망했던가. 이상한 건 그래도 아국은 꾸역꾸역 발전을 하는지 어쨋는지 OECD에도 가입하고 G20이니 어쩌니 나름 잘 나가고 있는 것 같다는 점이다. 혹자는 또 말하길 어쩐다 저쩐다 해도 우리가 이만큼 살게 된 건 다 교육의 힘이다 라고 한다. (물론 다른 의견을 가지신 분들도 수다하시리라 생각한다.)  

본인의 일천한 생각으로는 사교육 문제를 포함하여 교육 전반에 대한 변화와 개혁은 정책 제도적인 측면에서보다는 결국 학부모의 의식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학부모의 의식이 바뀔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물론 이 책을 읽어본다면 말이다. 1교시(이범), 3교시(이수광), 5교시(조기숙), 7교시(송인수) 강의는 현 입시체제와 교육정책에 대한 문제점을 날카롭게 지적은 하고 있지만 뭐 뾰족한 해결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것 같고, 반면에 2교시(이남수), 4교시(신을진), 6교시(허아람) 강의는 어떻게 영어공부를 시키고 어떤 책을 읽고 어떤 식으로 독서교육을 해야 하고, 어떤 방식으로 자녀를 칭찬하고 격려해야 하는지, 자녀를 교육하고 상담하는 보다 실질적이고 실천적인 문제를 다루고 있어 개인적으로 적지않은 도움이 될 것 같다. 우리 혜림씨(본인의 어화둥둥 금지옥엽 딸내미 이름이다)를 위해 나중에 다시 한번 읽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