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로 배우는 곤충의 진화 - 한빛비즈 교양툰 한빛비즈 교양툰 1
갈로아 지음 / 한빛비즈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뭐라 소개하면 좋을까? 읽으면 참 유익한데 뭔가 2% 부족하다고 느낄 때, 할 말이 참 없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빛비즈>의 '교양툰' 시리즈의 첫 번째라는 이름만으로도 의미가 남다를 수밖에 없는 책이기도 하다. 벌써 두 번째 리뷰를 쓰고 있는 것만 봐도 그렇다.

 

  외계인이 지구를 관찰하고 있다면 가장 유심히 바라볼 대상은 무엇일까? 아니, 질문이 좀 잘못 되었다. 지구에 대한 첫인상을 물어본다면 무어라 대답할까? 라고 질문해야 할 것이다. 그러면 가장 먼저 눈에 띠고, 가장 '개체수'가 많은 무엇을 꼽을 것이다. 그렇다면 정답은 바로 '미생물'일 것이다. 비록 인간의 눈으로는 잘 보이지 않은 대상이지만, 외계인의 '시각'에서는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체수가 가장 많은 '미생물'에 가장 큰 관심을 가질 것이다. 아닌 게 아니라, 외계인이 지구 침공을 할 수 없는 까닭도 바로 '미생물' 때문일 것이다. 영화 <우주전쟁>에도 지구인을 먹이(?)로 삼는 외계인이 허무하게도 지구의 미생물에 대한 면역체계가 없는 까닭에 전멸하고 만 것처럼 말이다.

 

  하지만 이 책의 주인공은 아쉽게도 '미생물'이 아니라 '곤충'이다. 세상은 참으로 더럽게도 1등만 기억한다고 하지만 미생물 다음으로 많은 개체수를 자랑하는 대상이 바로 '곤충'이기 때문이다. 또한 '진화적인 관점'에서도 곤충은 참으로 신기한 대상이 아닐 수 없다. 대부분의 생물이 바다를 벗어나지 못한 때에 최초로 '육상'으로 나아간 생물도 곤충이며, 거의 대부분의 생물이 육상에서 머물고 있을 때에 최초로 '하늘'을 날아오른 생물도 곤충이기 때문이다. 거기다 아주 단단한 '외골격'을 갖고 있는 탓에 다른 천적으로부터 스스로 몸을 지킬 뿐만 아니라 조그만 덩치로도 자기보다 30배가 넘는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릴 수 있는 괴력의 소유자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유리한 장점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대멸종 시기'에도 꿋꿋하게 살아남아 오늘까지 살아남아 '살아있는 화석'으로 불리는 생물 가운데 곤충이 가장 많은 것도 전혀 이상하지 않을 정도다. 따라서 '곤충의 진화'에 대한 역사를 관찰하다보면 자연스레 '지구의 역사'와 맥을 함께 한다는 것을 아주 손쉽게 눈치 챌 수 있다.

 

  그래서 이 책의 제목이 <곤충기>가 아니라 <곤충의 진화>인 것이다. 여담이지만, <곤충기>의 대명사인 '파브르'는 다윈과 동시대 사람이며 친분을 갖고 있었지만, 정작 다윈의 '진화론'을 지지하지 않은 것으로 유명하다. 그런 까닭에 <파브르 곤충기>를 읽으면, 그저 '곤충의 생태'를 살펴볼 수 있을 뿐, 지구의 장대한 역사를 눈치 챌 수 없다. 하지만 <종의 기원>을 읽으면 다르다. 아주 오랜 시일동안 서서히 환경에 적응해가며 '살아남은 생명들의 이야기'를 읽다보면 '지구의 역사'가 고스란히 담겨 있곤 하기 때문이다. 그런 까닭에 이 책은 <곤충의 진화>이면서 동시에 <지구의 역사 또는 생명의 진화>라는 제목으로 읽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책은 '진화론의 곤충 버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처럼 '진화'에 대한 맥락이 매우 중요한 이 책은 '진화의 매커니즘'을 이해하지 못하면 반쪽만 즐길 수 있는 책이기도 하다. 진화론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환경 적응'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이 책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진화란 무엇일까?> 그건 우선 '살아남았다'는 것으로 개념이해를 시작해야 한다. 다윈은 '적응과 도태'라는 핵심으로 환경에 잘 적응하면 살아남고, 적응하지 못하면 절멸한다고 설명했다. 다시 말해, 시시때때로 변하는 '환경'에 살아남기 유리한 쪽으로 진화를 한 생물만이 살아남고, 그렇지 못한 생물은 '멸종'에 이른다고 말했다. 하지만 진화는 '목적성'도 '방향성'도 없다고 말했다. 다시 말해, 수컷 공작새의 화려한 깃털이나 수사슴의 거대한 뿔은 암컷을 유혹하는데에 쓸모가 있을지 몰라도 천적에게 잡아먹힐 가능성을 높이기 때문에 진화에 목적이나 방향성이 있다면 '잘못된 선택'이 아닐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공작새의 깃털과 수사슴의 뿔은 점점 더 화려하고 거대해질 뿐이다.

 

  그래도 의심을 한 다윈은 '성선택'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자신의 유전자'를 후대에 남기는데 더 유리한 쪽으로 진화가 이루어진 것은 아닐지 의문을 달았다. 다윈이 살았을 당시에는 '유전자'라는 것을 알지도 못했을텐데도 말이다. 맞는 말이다. 아무리 거추장스러운 장식일지라도 '종의 번성'을 위해서는 짝짓기에 성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일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래도 의문은 남는다. 왜 하필 '목숨'을 걸어야 짝짓기에 유리해진단 말인가? 얼마든지 환경에 적절히 적응하는 방향으로 오래오래 살아서 '종의 번성'을 선택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는 간단한 진리가 있는데도 말이다. 따라서 진화에 '목적성과 방향성'은 아무런 연관 관계가 없다는 것만 기억하면 된다.

 

  곤충에 관한 이야기로 간단한 진화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예가 있다. 바로 '산업화 이전과 이후의 런던'을 배경으로 한 이야기다. 바로 이곳에 '같은 종'의 흰색 나방과 검은색 나방이 함께 살았다고 한다. 둘은 같은 종이지만 색깔만 다를 뿐이었다. 그런데 산업화 이전에는 공기도 맑고 주변도 밝았기에 '흰색 나방'이 천적의 눈에 덜 띠어서 더 많이 살아남았고, '검은색 나방'은 천적에게 잡아먹히기 일쑤였단다. 이대로라면 검은색 나방은 오래 가지 않아 멸종에 이르게 되었을 것이다. 그런데 반전이 일어났다. 영국에 산업화가 활발해지면서 곳곳에 매연을 뿜는 공장이 들어섰고, 그 때문에 주변 환경이 거무튀튀해졌기 때문이다. 바로 '환경'이 달라진 것이다. 그러자 이번에는 주변과 색의 차이가 없는 검은색 나방이 생존에 유리해졌고, 흰색 나방은 멸종에 다다를 정도로 개체수가 줄어들게 되었다.

 

  여기서 우리는 두 가지를 알 수 있다. 하나는 환경은 '진화의 속도'를 기다려주지 않는다는 것이고, 진화는 '우연적인 요소'에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나방은 생존에 유리해지기 위해서 자신의 몸색깔을 흰색에서 검은색으로, 반대로 검은색에서 흰색으로 손쉽게 바꿀 수 없다는 얘기다. 즉, 진화의 속도는 매우 느리다. 반면에 환경의 변화는 상대적으로 순식간에 일어나기 때문에 '생존의 갈림길'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또한, 생존에 유리해지도록 '변신'이 일어날 확률은 매우 낮다는 점이다. 이런 변신을 자연계에서는 '돌연변이'라고 불리지만, 이런 돌연변이가 생존에 유리해질 확률이 매번 높다는 것을 보장할 수도 없다. 따라서 돌연변이가 일어났는데, 그 돌연변이가 생존에 유리해지는 것은 순전히 운에 달렸다. 어쩌면 돌연변이로 힘들게 살아남았다가 오랜 시일이 지나, 갑자기 생존에 유리하도록 환경이 바뀌게 되면 '살아남아서' 어엿한 종으로 대접받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런 것을 이해한다면, 왜 유독 '곤충의 종'이 대체로 비슷하지만 매우 다양한가를 이해할 수 있다. 개미만 해도 수없이 많은 다른 종들이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며 살아가고 있다. 풍뎅이는 또 어떤가? 사슴벌레도 비슷하지만 엄연히 서로 다른 종이 저마다 환경에 적응하며 살아가고 있다. 현재까지 인류에게 알려진 것만으로도 이렇게 다양한데 아직 학계에 보고가 되지 않은 '미지의 곤충'까지 계산에 넣으면 정말 엄청날 것이다.

 

  이쯤 되면, 인간이 오직 '사피엔스'라고 하는 단 하나의 종만 살아남은 것이 참으로 희귀한 일인 셈이다. 동시에 인류는 수많은 종들이 멸종의 단계에서 보여주는 '마지막 단계'에 도달한 것은 아닌지 합리적인 의심조차 할 지경이다. 따라서 우리는 곤충에게 배울 점이 참 많다. 참으로 들여다보면 볼수록 경이롭지 않을 수 없다.

 

한빛비즈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