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지금까지 어떤 말을 쓰고 살았을까요? 글쓰기회 겨울배움터에서 우리 말 공부를 시작하고 공부하다 우연히 최종규님을 만났습니다. 누리사랑방에서 이오덕 선생님 책 갈무리한 글을 읽었지요. 쉽고 아름답게 읽히는 글에 빠져들었고 깊이 있는 글에 또 한번 놀랐어요. 누리사랑방에 있는 우리말 바로쓰기 글들도 보았지요. 이것 말고도 아이 키우는 이야기, 사진이야기, 헌책방 이야기 등 곳곳에 읽을거리가 많았어요. 하루 아침에 쓴 글은 아니었지요. 아마도 십년이 넘는 시간동안 차곡차곡 쓰고 모아둔 듯 싶어요. 그도 그랬지요.

 

한 걸음씩입니다. 꼭 한 걸음씩입니다. 아주 더디다고 할지라도 한 걸음씩입니다. 좀 느린 듯 보일지라도 한 걸음씩입니다. 아직 모자라거나 엉성할지라도 한 걸음씩입니다. 앞으로 갈 길이 멀다지만 한 걸음씩입니다.” -생각하는 글쓰기 70-

 

 나도 한 걸음 내딛어보렵니다. 내가 쓰고 있는 말들을 돌아보고 말결을 천천히 다듬어 보렵니다. 나는 꿈이 있어요. 그것은 바로 세상이 더 나아지는데 내가 보탬이 되는거지요. 그런데 내 말투 하나 바꾸지 못하는데 어찌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요? 거창하지요. 생각해보면 우리말을 바로 써야겠다는 마음은 크지 않았어요.

 

 요즘 우리말을 쓰려고 애썼던 기억이 있습니다. 바로 우리 딸 소율이와 이야기할 때입니다. 차안에서 늘 자기가 듣고 싶은 노래만 떼쓰는 딸에게 아내는 김동률 노래를 켜고 이렇게 말했지요.

 

엄마가 좋아하는 가수야. 이 가수 노래 좋지?”

엄마, 가수가 뭐야?”

, 노래하는 사람.”

, 그렇구나.”

 

 네 살 딸아이에게 어려운 한자말을 쓰면 다시 풀어 말해줘야 합니다. 두 번 이야기 안하려면 아주 쉬운 우리말로 얘기해줘야 하지요. 교실에서도 마찬가지예요. 어려운 말을 쓰면 아이들은 꼭 다시 물어보죠. 어린이들을 가르치는 선생(가르치미)이기에 쉬운 말을 써야 돼요. 처음에는 어려운 한자말을 자꾸 써야 어휘도 늘고 좋은 줄 알았어요. 하지만, 아름다운 우리말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어찌 그리 어려운 말을 쓰려했을까요.

 

 어려운 한자말, 영어를 섞어 쓰는 사람들 보면 어떤 생각이 드나요? 요즘은 처방전을 친절히 설명해주기도 하지만, 예전에는 막 휘갈겨 썼죠. 그런 처방전을 보면 의사가 전문가라는 생각도 들지만 그 내용이 궁금할 때가 많아요. 말은 내가 남보다 뛰어나다 자랑하는 수단이 아니죠. 한글이 있기 전 어려운 한문을 배운 일부만이 지배층이 되어 나라를 다스렸던 아픈 역사가 우리에게도 있어요. 말은 못 배운 시골 할머니도 많이 배운 대학 교수도 서로 통하는 말이어야 합니다. 그리해야 서로 더불어 살며 마음이 어우러지는 그런 세상이 되겠죠. 배운 사람, 돈 있는 사람만의 세상이 아닌 함께 사는 세상을 위해서는 쉬운 우리말을 살려 써야겠어요.

 

 한자말이 우리말을 풍부하게 했다지요. 나도 그리 믿었지만 아닙니다. 되려 한자말은 우리말을 잡아먹었어요. ()이라는 말은 뫼, , 갓이라는 토박이말 셋을 잡아 먹었지요. 어떤 사람은 너절한 말들을 또렷하게 만들었다고 좋아하기도 합니다. 과연 그럴까요? ‘은 집을 짓거나 연장을 만들거나 보를 막을 적에 쓰려고 일부러 가꾸는 입니다. 그래서 옛날에는 그런 을 지키는 사람을 갓지기라고도 불렀죠. ‘는 마을 뒤를 둘러 감싸는 를 말하지요. 마을을 둘러 감싸고 있기에 오르내리고 넘나들며 길도 내고 밭도 만들어 삶터로 삼습니다. ‘를 싸잡고 그보다 높고 커다란 것까지 뜻하지요.

 

 옛 우리 조상들은 붉은 빛을 띠는 말이 참 많았어요. 붉다. 불그스름하다. 불그죽죽하다. 불그레하다. 발그레하다. 그런데 적색(赤色)이 이 말들을 다 잡아 먹었지요. 우리 겨레의 아주 작은 마음결과 숨결까지 빼앗긴거죠.

 

 촌스럽게 왜 그래. 글로벌 시대에 우리말을 꼭 써야해? 말은 도구일 뿐 편하게 쓰면 되지. 이렇게 말하는 사람도 많지요. 영어, 한자말을 쓰지 말자는 말은 아닙니다. 꼭 써야 할 때 쓰자는 말이예요. 영어와 한자말은 외국사람과 대화할 때 쓰면 됩니다. 우리나라에 사는 사람들끼리는 우리말을 쓰면 되지요. 어렵고 아리송한 한자말 대신 쉬운 우리말을 쓰자는 얘기예요. 우리말을 다 잡아 먹은 잘못된 말투를 바로잡자는 것이구요. 수천 년 동안 이어온 우리말은 우리 겨레의 얼과 혼, 문화가 담겨있어요.

 

 이렇게 우리말을 살려 바로 써야 하는 이유를 써 보았어요. 나도 내 생각이 부족해 글로 적바림해봅니다. 내 삶부터 잘 가꾸고 잘못된 말투부터 배우고 고쳐야 겠어요. 그러면 말결, 삶결도 조금씩 나아지겠지요. 그리하여 세상도 그리 나아지겠지요.

 

말 한 마디 자그마한 구석을 알뜰히 가구는 동안 우리 삶 모두 알뜰히 가꾸게 되고, 말 한 마디 자그마한 대목이라고 업신여기며 내팽개치면 우리 삶 모두 대충대충이 되면서 우리 스스로 우리 삶을 업신여기는 셈입니다.” -생각하는 글쓰기 35-

 

(민들레처럼. 2015.02.23)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2015-02-23 15:4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누구나 스스로 깨닫고 스스로 첫걸음을 내딛을 수 있어야 스스로 배워요. 스스로 첫걸음을 내딛지 못하면 스스로 배울 수 없어요. 저도 이를 두고두고 느끼면서 깨달아요.

곰곰이 살피면, `말`은 생각을 담는 그릇(도구)이 맞아요. 다만, 생각을 담는 그릇은 아무렇게나 다루거나 엉터리로 쓰면 제대로 `말`을 부리지 못할 테고, 내 생각을 말에 옳게 실어서 이야기를 나누기 어려우리라 느껴요.

그러니까, `생각을 담는 그릇`인 말을 제대로 바라보고 살펴서 제대로 쓰고 사랑할 때에, 내 생각을 제대로 밝힐 수 있으니, 우리는 말을 제대로 바라보고 다룰 때에 비로소 생각도 삶도 제대로 선다고 할 수 있어요.

연장(도구)은 `편하게` 써야 하지 않고 `제대로` 써야 한다고 느껴요. 제대로 쓰다 보면 차츰 익숙해지면서 `잘` 쓸 테고, 잘 쓰는 모습이 바로 `편하게` 쓰는 모습이 될 테지요. 처음부터 제대로 쓰려 하지 않고 엉성하게 쓰거나 엉터리로 쓰니까, 잘모된 버릇을 고치지 못한 채 엉터리가 되고 말지 싶어요.

언제나 즐겁게 한 걸음씩 힘차게 내딛으시리라 믿어요. 즐겁게 이 길을 걸어 보셔요~

저도 아이들한테는 `가수`라는 말은 안 쓰고 `노래하는 사람`이라 쓰는데, 큰아이가 이제 여덟 살이다 보니, 동영상에 나오는 `가수`라는 말을 듣고는 ˝아, 가수가 노래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로구나.˝ 하고 알아채더군요 ^^

민들레처럼 2015-02-24 00: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군요. 제대로 써야지요. 제가 아직 아는 게 없어요. 글 쓰면서도 이게 맞나 싶을 때가 많지요. 모자란 글과 생각 살펴주셔요. 많은 도움과 힘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천천히 즐겁게 이 길 걸어보지요. ^^